Samsung Display, Audi에 버추얼 익스테리어 미러용 7 inch OLED 공급

Samsung Display는 글로벌 자동차 기업 Audi가 최근 선보인 전기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e-Tron에 7인치 OLED 디스플레이를 공급한다고 3일 밝혔다.

e-Tron은 Audi가 처음으로 양산·판매하는 순수 전기차로 ‘버추얼 익스테리어 미러(virtual exterior mirrors)’ 옵션을 제공해 출시 전부터 큰 화제를 모았다.

Audi의 버추얼 익스테리어 미러는 기존의 사이드 미러 대신에 작은 사이드 뷰 카메라를 장착했다. 운전자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차량 내 A필러(전면유리 옆 기둥)와 도어 사이에 설치돼 있는 OLED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Audi e-Tron에 적용 된 버추얼 익스테리어 미러, Source: news.samsungdisplay.com>

Samsung Display가 공급하는 OLED 디스플레이는 차량 대시보드 좌우에 각각 한 대씩 장착돼 카메라와 함께 기존의 사이드 미러 기능을 대신하며, 터치 센서가 내장돼 있어 스마트폰을 조작하듯이 터치로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Audi는 ‘버추얼 익스테리어 미러’는 일반적인 사이드미러와 비교해, 사각지대 없이 보다 넓은 시야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흐린 날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보다 원활하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해주고 고속도로 주행, 회전, 주차 등 각각의 운전상황에 적합한 ‘뷰 모드’를 제공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차량 외부로 툭 튀어나온 사이드 미러를 없앰으로써 공기저항 및 풍절음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차체 폭을 5.9인치 가량 줄인, 슬림하면서도 아름다운 디자인이 가능하다.

특히 버추얼 익스테리어 미러에 적용된 Samsung Display의 OLED는 소비전력이 적고, 얇고 가벼운 디자인적 특성으로 운전자들에게 최적의 시각적 솔루션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뛰어난 색재현력과 완벽한 블랙 컬러 표현력, 빠른 응답속도로 저온의 환경에서도 화면이 끌리는 현상 없이 자연스럽고 선명한 영상을 보여준다.

백지호 Samsung Display 전무는 “Samsung Display의 OLED가 Audi의 버추얼 익스테리어 미러에 탑재된 것은 OLED가 차량용 첨단 시스템에 최적화된 제품임을 입증하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며 “고화질, 디자인 가용성, 저소비전력 등 OLED만의 차별화된 특장점을 활용해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도 적극적으로 개척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OLEDON, 대형 OLED TV 제조용 수직 면소스 증착 기술 개발

중소형 OLED용과 대면적 OLED용 면소스 증착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OLEDON의 황창훈 대표는 최근 77인치 이상 초대형 OLED TV의 제조가 가능한 수직형 면소스 증착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황 대표는 수직 면소스 증착 기술을 사용 시, 12세대(3300 x 4000 mm)급 대형 기판의 처짐 문제 없이 77인치 이상의 OLED TV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고 관련 기술을 소개하였다.

황 대표 설명에 따르면, 기존의 인라인형 증착기로 75인치 이상의 TV의 생산 시 기판의 처짐이 심하고 다수의 리니어 소스 제어가 어려워 생산 수율이 매우 낮을 수 있다. 황 대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개념의 12세대용 대면적 클러스터형 증착 기술이 필요하다고 밝히며, 수직 면소스 증착 기술이 적절한 대안이 될 것임을 언급하였다.

한편, OLEDON은 면소스 증착 기술의 원천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고해상도 AMOLED 제조용 곡면소스 FMM 증착과 대면적 OLED TV 제조용 수직 면소스 증착 기술과 관련 된 특허를 출원하였다.

프리미엄 TV존 OLED TV와 Micro LED?

2분기 실적 갱신을 하며 OLED TV 덕을 톡톡히 보고 있는 LG전자에 비해 삼성전자는 최근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고군 분투하고 있다. 마케팅을 앞세워 QD-LCD로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대응해 오다 점차 그 힘을 잃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7년부터 IFA, CES등 가전 전시회에서 QLED TV 개발 발표, 프라이빗 부스 전시 등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지만 개발이 더딘 와중 삼성전자의 Micro LED 상용화의 공식 발표로 향후 프리미엄 TV 시장의 구도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2018 CES와 2018 IFA에서 대중에 공개한 삼성전자의 Micro LED (Mini LED) TV “The Wall”은 상당 수준 발전한 Micro LED 기술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만의 관련 업체 들의 주가도 높아지고 있다. 이런 흐름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2018 IFA에서 LG전자도 173인치의 Micro LED TV를 전시한 것으로 보인다.

넓은 시야각, 완벽한 블랙의 표현, 빠른 응답 속도 등이 OLED TV의 장점으로 언급되며 프리미엄 TV 시장을 점유해 가고 있다. 산업에서는 아직까지는 Micro 수준이라고 할 수 없는 픽셀을 더 줄이고 가격을 경쟁 가능한 수준으로 하락, 전사에서 오는 신뢰성을 극복하는 등의 한계점 들을 극복한다면 150인치 정도의 초대형 디스플레이 시장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Micro LED는 OLED 와 같이 RGB가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디스플레이이며, 작은 부피와 높은 명암비, 사이즈를 줄임으로서 단위 면적당 더 많은 화소수를 넣을 수 있어 고해상도 구현에 유리하다. 또한, 초소형 픽셀사이즈로 구부러지는 디스플레이 구현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가정용 TV로 생산하기에 Micro LED 는 제조 비용의 문제와 발열등 극복해야될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본격적인 상용화 까지는 시일이 꽤 걸릴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각종 전시회에서 지속적으로 발전된 제품을 공개하고 있는 만큼 산업의 기대도 큰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시에 OLED TV 또한, CSO(Crystal Sound OLED) 등 다양한 각도로 진화하고 있어 앞으로의 프리미엄 TV 시장이 기대된다.

 

(사진: 삼성전자, The wall, 2018 IFA, 출처: 유비리서치)

 

Apple, Apple Watch Series 4에 배터리 지속 시간 늘리는 LTPO TFT 적용

Apple이 현지시간으로 9월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애플 파크 스티브 잡스 극장에서 이전보다 더 큰 화면에 헬스케어 기능을 강화한 Apple Watch Series 4를 발표했다.

<Apple Watch Series 4, Source: apple.com>

Apple은 이번 발표에서 Apple watch Series 4에 LTPO라는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 전력 효율을 향상시켰다고 밝히며 이목을 끌었다.

LTPO는 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의 약자로써, 전하 이동도가 우수한 poly-Si과 저전력 구동이 용이한 IGZO의 장점만을 활용한 TFT의 일종이다. LTPO TFT는 누설전류가 적고 on/off 특성이 좋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낮고 배터리의 지속 시간은 늘어난다.

<Apple의 LTPO TFT 특허>

또한, Apple은 Apple Watch 4의 본체 규격을 40mm와 44mm로 키우고 bezel을 좁혀 이전 모델들에 비해 display area를 35%와 32%로 늘렸으며, 화면 해상도도 44mm 모델은 368×448 픽셀, 40mm 모델은 324×394 픽셀로 증가시켰다고 설명했다. Apple Watch4의 디스플레이는 LG디스플레이에서 제작한 plastic OLED이며 최대 밝기는 1,000 nit이다.

Apple Watch Series 4의 출시 가격은 GPS 모델이 399달러부터이며 셀룰러 모델이 499달러부터다. 예약 주문은 9월 14일부터 진행되고 제품 출시는 21일부터다.

IFA 2018 TV 전시 동향

2018 8 30일부터 9 5일까지 베를린에서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인 IFA2018이 개최되었다. IFA2018에서 전시된 TVOLED TV를 비롯하여 LCD TV micro LED TV, laser TV 4종류가 있었으며, 전시 참가 업체는 삼성전자, LG전자, 소니, 파나소닉, 샤프, 도시바, TCL, 하이센스, 창홍, 필립스, 베스텔, 메츠, 그룬딕, 레베 등이 있었다.

유비리서치는 IFA2018에 전시된 전세계 주요 TV 업체들의 전시 제품을 조사하여 OLED TV를 중심으로 전시 동향 분석 보고서를 출간하였다.

본 보고서에 따르면 IFA2018에서 TV 전시 주요 특징은 75인치 LCD TV 부상과 8K TV, micro LEDTV 세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LCD TV75인치가 중점적으로 부각된 이유는 65인치 LCD TV 가격 하락으로 2,000달러 이상의 프리미엄 TV시장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75인치 이상의 LCD TV가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부스에서는 75인치가 65인치에 비해 차이가 별로 나지 않음을 홍보하였다.

두번째 특징은 8K TV이다. 이전 전시회까지는 샤프만이 8K LCD TV를 전시하여 왔으나 IFA2018에서 삼성전자가 8K LCD TV (QLED TV)를 처음으로 전시하며 많은 관람객을 끌었다. 88인치 8K OLED TV도 처음으로 LG전자 전시장에서 공개되었다. 완벽한 블랙과 OLED만의 생동감 있는 화면에 8K 고해상도가 겹쳐 가장 현실감이 있는 TV로 인정받았다. 8K LCD TV는 삼성전자와 샤프 이외에도 베스텔에서도 전시되었다.

<삼성전자 8K QLED TV>

<LG전자 88인치 8K OLED TV>

<베스텔 75인치 8K LCD TV>

 

세번째는 올해의 화두로 떠오른 micro LED TV. CES2018에 처음으로 삼성전자가 공개한 micro LED TV 100인치 이상 크기의 초대형 TV와 퍼블릭 시장을 만들수 있는 제품으로 인지되고 있다, 이 시장에 LG전자도 가세하기 위해 IFA2018 173인치 4K micro LED TV를 출품하였다.

 

소니 모바일에도 OLED 탑재

OLED TV로 프미리엄 TV 사업을 성공적으로 부활시킨 소니가 모바일에도 OLED를 탑재했다. 기존의 Xperia 시리즈와 유사한 살짝 굴곡있는 유리 뒷면과 6인치 디스플레이를 채택했다. 뒷커버의 디자인을 두고 소니는 삼성과 애플등과 비교했을 때 손에 잡기 쉽도록 했다고 발표했다. 최근 iPhone의 M자형 디자인과 유사한 디자인의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있는 것과 비교, 소니는 뒤쪽 하단에 작은 홈을 만들었다. 이 홈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으나 디자인 차별성의 의미로 해석해 본다.

경쟁사의 OLED 채택 스마트폰 출시에 비해 많이 늦었지만 스크린 사이즈를 최대한으로 키우고, 가장 경쟁력 있다고 할 수 있는 부분인 색감, 색재현율 등에서 많은 노력을 하였다. 19메가 픽셀 센서 카메라에는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하며 AI 기능을 더했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물리적 버튼도 동기화 했다. Xperia XZ3의 마케팅 포인트 중 하나는 점점 디스플레이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한손으로 동작하기 불편함에 대해 “한손으로 동작가능한 디자인”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의 끝 부분에 두번 탭을 통해 바로가기 메뉴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했다. Xperia XZ3은 2018년 9월 말부터 한국을 제외하고 다양한 국가 및 지역에서 출시될 예정이다.

OLED TV에 이어 소니의 감성을 담은 스마트폰을 기다려온 소비자들에게는 신규제품에 대한 희소식이고, 디스플레이 산업에 또한 그동안 모바일 사업에서 부진을 겪어온 소니가 OLED 채용으로 TV사업에서와 같은 부활을 할 수 있을지 지켜 볼 수 있는 제품이 아닐까 생각한다.

[IMID 2018] 청색 TADF와 hyperfluorescence, 효율과 수명 두 마리 토끼 모두 잡을 수 있을까

8월 31일 부산 BEXCO에서 열리고 있는 IMID 2018에서 Kyulux의 CEO, Junji Adachi는 기존의 형광재료 host와 dopant에 TADF dopant를 첨가하는 hyperfluorescence의 성능들을 공개했다.

Junji Adachi가 공개한 노란색 hyperfluorescence의 색좌표는 (0.49,0.50), 반치폭은 76 nm, 1,000 nit 기준 EQE는 15.7%, 1000 nit 기준 LT50은 6만 2천시간이며, 녹색 hyperfluorescence의 색좌표는 (0.28,0.65), 반치폭은 31 nm, 1000 nit 기준 EQE는 20.6%, 1,000 nit 기준 LT50은 4만 8천시간이다.

이 자리에서 Junji Adachi는 현재 개발 중인 청색 hyperfluorescence의 성능도 공개했는데, 최대 발광 파장은 470 nm, 1000 nit 기준 EQE는 22%, 750 nit 기준 LT50은 100시간이라고 밝혔다. 특히, 2018년 상반기부터 청색 hyperfluorescence의 성능이 빠른 속도로 향상되기 시작했다며 앞으로 성능이 더욱 더 향상 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CYNORA의 Dr. Georgios Liaptsis는 현재 개발 중인 진한 청색(deep blue)을 설명하며 파장은 460 nm, CIEy는 0.15 이내가 되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한 청색(sky blue)로 갈수록 수명이 길어지는 특징이 있는데, CYNORA는 진한 청색으로 연한 청색만큼의 수명을 가질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성능을 공개했다.

현재 모든 OLED application의 청색은 형광 청색이 사용되고 있다. 청색 TADF나 청색 hyperfluorescence가 상용화 되어 기존의 형광 청색보다 더 개선 된 효율과 수명을 보여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IMID 2018] Samsung Display, 미래에 스마트 세계와 개인을 연결할 핵심 소재는 디스플레이

8월 29일 부산 BEXCO에서 개최된 IMID 2018 에서 곽진오 Samsung Display 부사장은 ‘The Infinite Evolution with Display’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하며, “디스플레이가 스마트 세계를 연결해줄 핵심 소재가 될 것이며 새로운 세계와 환경의 창조를 가속화 할 것”이라 강조했다.

곽 부사장은 생물의 진화와 디스플레이의 진화를 비교하며 ‘소형부터 대형까지 디스플레이 크기의 다양성(size diversity)과 full screen, flexible 등 디자인 적응(adaption in design), 다른 기술들과의 통합(convergence)’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

크기의 다양성에서 곽 부사장은 “중소형 부분에서는 현실감을 느낄 수 있는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대형 부분에서는 영화관의 큰 화면처럼 몰입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요구된다”라고 밝혔다.

이어서 디자인 적응에서는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가치 중 하나로 디자인 자율성을 언급하며, 중소형 디스플레이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롤러블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가치를 강조했다.

곽 부사장은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롤러블 디스플레이도 개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와 다르게 패널 전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고려해야 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말려져 있는 시간과 말았다 펴지는 횟수 등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많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자유자재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도 소개하며, 낮은 스트레스와 함께 높은 신뢰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해 RGB 픽셀 유닛과 스트레처블 유닛을 활용한 다양한 구조들을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융합 부분에서는 바이오 기술들을 거론하며 헤모글로빈에 빛을 투과해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거나.멜라토닌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wake up 모드와 sleep 모드 변화 등 새로운 융합 기술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곽 부사장은 앞으로 열릴 5G 시대에서 디스플레이가 개인과 스마트 세계를 연결할 핵심 소재임을 강조하며 새로운 사회와 환경을 창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는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발표를 마무리했다.

[IFA2019] 소니 4K OLED TV 브라비아 마스터 시리즈 AF9 공개

소니가 IFA2019에서 공개한 AF9 시리즈 OLED TV는 차세대 고화질 프로세스 X1 Ultimate로서 약 2배의 리얼타임 화상처리 능력을 실현하여 현실 세계에 가까운 깊은 검정색과 밝은 흰색 표현이 가능하도록 했다.

음향 처리부분에서는 acoustic surface audio+ 기술로서 본체 후면 좌우의 actuator에 더하여 가운데에도 actuator를 설치하였다. 여기에 배면 스탠드에 서브 우퍼를 좌우 설치하여 3.2 채널 98W의 임장감을 표현하는 고화질 사운드를 완성하였다.

9월부터 유럽에 판매 예정이며 65인치 가격은 3,999 유로, 55인치는 2,999유로이다.

일본에서 OLED TV를 판매하고 있는 회사는 엘지전자와 소니, 파나소닉, 토시바 4개사이다. 이들 회사들에서 OLED TV 가격이 가장 높은 회사는 소니이지만 판매량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니의 일본애 시장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OLED TV 사업을 확충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8K OLED TV 판매도 계획하고 있다.

[IMID 2018] LG Display와 Samsung Display, 다수의 대형과 중소형 OLED application 전시

LG DisplaySamsung Display가 부산 BEXCO에서 열리고 있는 IMID 2018에서 OLED를 활용한 다수의 application을 선보이며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특히, LG Display77인치 transparent flexible OLED55인치 video wall OLED 등 대형 OLED application 위주로 전시한 반면, Samsung Display는 자동차용과 가상현실 기기용 OLED 등 중소형 OLED application을 주로 선보이며 뚜렷하게 서로 다른 사업 전략을 선보였다.

먼저, LG Display에서 77 inch transparent flexible OLED의 패널 두께는 400 um, 곡률 반경은 80 mm, 휘도는 full white 기준으로 200 nit. LG Display는 부족한 투과도와 내구성을 더 개선시킬 것이라 언급했다. 또한, 3.8 mm narrow bezel을 가진 4장의 FHD OLED를 전시하며 bezel0.5 mm 까지 줄이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LG Display는 가상현실 기기용 1200ppi 4.3 인치 WRGB OLED를 선보였다. 관계자는 color filter를 에칭하여 해상도를 나타내는 WRGB OLED가 증착 방식을 이용하는 RGB보다 고해상도에 유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Samsung Display6.22인치 steering wheelunbreakable OLED와 동승자 모니터용 1000R curved OLED, HUD용 투명 OLED, CIDS-curved OLED, rollable OLED OLED를 활용한 다수의 자동차용 OLED를 전시했다. 업체 관계자는 OLEDLCD보다 디자인 자율성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자동차 내부에 폭 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아직 개발 중인 단계로 휘도와 신뢰성 등 개선해야 할 사항은 많지만, 현재 유럽의 고객사들과의 피드백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능을 개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Samsung Displaylight field display와 가상현실 기기용 2000ppi 해상도의 RGB OLED 등을 선보였다.

 

[IMID 2018] OLEDON, 2250ppi AMOLED 제조용 곡면소스 FMM 증착기술 세계최초로 개발

고해상도 AMOLED 제조용 면소스 증착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OLEDON의 황창훈 대표는 2250ppi AMOLED 화소의 증착이 가능한 곡면 소스 FMM 증착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고 IMID 2018에서 발표했다.

기존의 리니어 소스 FMM 증착기술은 섀도우거리가 3 um으로서 생산 가능한 AMOLED의 해상도는 570ppi 수준이다. 반면, OLEDON에서 이미 선보인 바 있는 면소스 증착기술은 섀도우거리가 0.8~1.5 um 으로서 AMOLED의 해상도를 800~1200ppi까지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번에 새로 개발된 곡면소스 FMM 증착기술은 섀도우거리가 0.18~0.6 um로서 AMOLED의 최대 해상도를 2250ppi까지 구현 가능한 면소스 증착기술의 업그레이드 기술이다.  

원리는 오목거울을 통해 빛을 모으는 것처럼, 기존의 평평한 면 소스에 곡면을 가해 발광재료가 퍼지지 않고 원하는 곳에 정확히 증착 되어 섀도우 거리를 줄일 수 있는 방식이다.

이 기술이 상용화 된다면 mobile 기기 뿐만 아니라 가상현실 기기 등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18 imid_ 투명디스플레이와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전시를 통한 신규 사업 방향 제시

2018 8월 부산에서 개최된 imid는 점점 전시의 규모를 키워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한민국 디스플레이 산업을 이끄는 삼성디스플레이와 엘지디스플레이는 모두 투명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다. 엘지디스플레이는 77인치 탑에미션 방식의 투과율40% 투명 디스플레이와 55인치 FHD OLED 패널 3장을 이어붙인 비디오 월을 전시하였다. 비디오 월은 베젤이 3.5mm 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VR OLED 패널을 전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삼성디스플레이 역시도 투명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는데, 엘지디스플레이가 대형 OLED 산업을 이끈다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중소형 OLED 산업을 이끄는 위치에 있음을 대변 하듯, 자동차용 사이즈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다. 투명 OLED 디스플레이 사용을 통해 HUD 디자인 발전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자동차용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다. 이를 통해 삼성디스플레이가 본격적으로 자동차용 OLED 패널 사업을 하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또한 616ppi3.5인치 OLED패널을 사용한 VR1200ppi2.43인치 OLED 패널을 사용한 VR 을 전시하였다.

두 패널 회사들 외에도 머크, 희성소재를 비롯한 다양한 재료와 장비 업체에서도 학회 전시 참여를 통해 학계와 산업에 기여함과 동시에 사업을 소개하는 장소로 활용하고 있었다. 세계 최고의 OLED 산업리서치 업체인 유비리서치도 이번 기회를 통해 2018년 새롭게 구성한 Market Track등의 보고서를 소개하고 있다.

 

[IMID 2018] LG Display, 수명을 개선한 자동차용 OLED로 2 stack RGB OLED 선보여

829일 부산 BEXCO에서 열린 IMID 2018에서 LG Display의 김관수 연구위원(research fellow)은 자동차용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새로운 OLED 기술에 대해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RGB OLEDTV에 적용되고 있는 WRGB OLED는 수명 측면에서 고객사들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RGB OLEDWRGB처럼 tandem 구조를 갖는 2 stack RGB OLED를 소개했다.

2 stack RGB OLED는 다층구조에 CGL(charge generation layer) 층이 더해져 두께가 두꺼울 수 있기 때문에 HTL을 기존보다 얇게 만들고 발광층의 charge balance를 최적화하였다.

그 결과 1 stack RGB OLED보다 1.5배에서 2배 향상된 발광효율과 함께 수명이 T80 기준으로 4배 이상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2 stack 구조는 일반 구조에 비해 소비 전력이 높은 단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IFA2018] 엘지전자 88인치 OLED TV 최초 공개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인 IFA의 엘지전자 TV 부스는 역시 OLED가 TV의 주력을 차지하였다. CES2018에는 전시되지 않았던 88인치 8K OLED TV가 공개상에서 최초로 모습을 드러내었다.
88인치 8K OLED TV는 OLED의 화려한 색상과 완벽한 블랙에 초고해상도가 더해져서 입체감이 한층 살아난 최상의 TV임을 보여주고 있다. 엘지전자 관계자에 의하면 프리미엄 TV 해상도가 4K를 넘어 이미 8K 시장으로 진입을 시작했기 때문에 OLED TV도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한 시기가 되었다고 언급했다.
LG디스플레이는 88인치 이외 75인치와 64인치 8K OLED 패널을 개발중에 있으며 내년에는 이들 제품들이 모두 시장에 나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개발중인 8K OLED 패널은 모두 bottom emission 구조이다.

 

엘지전자는 CES2018에서 화질 프로세스 알파9으로 좋아진 OLED TV의 화질 소개에 중점을 두고많은 장소를 할애하였으나 88인치 8K OLED에 장소를 양보하고 간결하게 전시 공간을 꾸몄다.

OLED TV 성능 소개를 “Crisp and Smooth Motion”과 “Clean, Sharp, and Vibrant Images” 두 가지로 압축하였다. 이들 성능들은 화질 분야에서 최고로 인정받고 있는 소니와 경쟁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OLED TV 성능 소개를 “Crisp and Smooth Motion”과 “Clean, Sharp, and Vibrant Images” 두 가지로 압축하였다. 이들 성능들은 화질 분야에서 최고로 인정받고 있는 소니와 경쟁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였음을 나타내고 있다.

2018 imid_ 투명디스플레이와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전시를 통한 신규 사업 방향 제시

2018 8월 부산에서 개최된 imid는 점점 전시의 규모를 키워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한민국 디스플레이 산업을 이끄는 삼성디스플레이와 엘지디스플레이는 모두 투명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다. 엘지디스플레이는 77인치 탑에미션 방식의 투과율40% 투명 디스플레이와 55인치 FHD OLED 패널 3장을 이어 붙인 비디오 월을 전시하였다. 비디오 월은 베젤이 3.5mm 에 불과하며 이 외에도 VR OLED 패널을 전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성능이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삼성디스플레이 역시도 투명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는데, 엘지디스플레이가 대형 OLED 산업을 이끈다면 삼성디스플레이는 중소형 OLED 산업을 이끄는 위치에 있음을 대변 하듯, 자동차용 사이즈의 투명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다. 투명 OLED 디스플레이 사용을 통해 HUD 디자인 발전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자동차용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를 전시하였다. 이를 통해 삼성디스플레이가 본격적으로 자동차용 OLED 패널 사업을 하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또한 616ppi3.5인치 OLED패널을 사용한 VR1200ppi2.43인치 OLED 패널을 사용한 VR 을 전시하였다.

두 패널 회사들 외에도 머크, 희성소재를 비롯한 다양한 재료와 장비 업체에서도 학회 전시 참여를 통해 학계와 산업에 기여함과 동시에 사업을 소개하는 장소로 활용하고 있었다. 세계 최고의 OLED 산업리서치 업체인 유비리서치도 이번 기회를 통해 2018년 새롭게 구성한 Market Track등의 보고서를 소개하고 있다.

JOLED 470억엔 조달, 자동차용 solution process OLED 사업 박차 가한다.

세계 최초로 solution process OLED 제품화에 성공한 JOLED가 23일 제 3자 할당 증자로 총 470억엔을 조달했다고 발표했다.

JOLED에 따르면 Denso가 300억엔, Toyota Tsusho가 100억엔, Sumitomo chemical이 50억엔, SCREEN Finetech Solutions이 20억엔을 투자할 것이며, Denso와는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개발을, Sumitomo chemical과는 solution process용 OLED 재료 개발에 협력 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Denso는 그 동안 자동차용 디스플레이용으로 주로 TFT-LCD를 사용했으나, 이번 투자를 통해 가볍고 곡면화가 용이한 OLED를 자동차 내부에 적용하기 위한 개발에 앞장 설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번 자금 조달을 통해 JOLED의 solution process OLED 양산을 위한 생산 체제 구축이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JOLED는 7월 1일에 이시카와현 노미시에 ‘JOLED 노미 사업소’를 개설하고 2020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주력 생산 제품은 자동차나 하이 엔드 모니터용 중형 (10~32 인치) solution process OLED로써, 지난 3월 유비리서치가 개최 한 2018 OLED Korea conference에서 Toshiaki Arai chief technologist는 solution process OLED로 중형 OLED 시장을 공략할 것을 밝히기도 했다.

<2018 OLED Korea conference에서 밝힌 JOLED의 개발 로드맵>

전면지문인식 풀스크린 스마트폰 경쟁 시작

<전면지문인식을 탑재한 디스플레이가 적용된 VIVO의 스마트폰, Android authority>

스마트폰의 전면지문인식경쟁이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홈버튼이 있는 스마트폰에는 홈버튼에 전면 지문인식 센서를 탑재하여 제품이 출시되었다. 지문을 이용한 보안강화로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지만 최근 홈버튼이 없는 풀스크린 스마트폰 위주로 제품이 출시가 되며 지문인식 센서도 스마트폰의 뒷면으로 옮겨졌다. 이로 인해 지문인식 센서에 손가락을 터치할 때 불편한 손모양과 옆에 위치한 카메라렌즈에 지문이 묻는 등 단점이 발생했다.

이러한 점들을 개선하고 완벽한 풀스크린 스마트폰을 제조하기 위해 전면지문인식을 디스플레이와 일체화 시키려는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전면 지문인식은 크게 광학식과 초음파식이 검토되고 있다. 광학식은 가격이 저렴하고 양산에 용이하지만, 센서가 OLED panel 하부에 위치해야 하므로 OLED 기판이 투명해야한다. 따라서 glass를 기판으로 사용하는rigid OLED에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유색PI를 기판으로 사용하는 flexible OLED에는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초음파식은 정확성과 내구성이 가장 안정적이지만 제조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현재 중국 set업체들은 광학식 전면 지문인식을 채택한 스마트폰 출시를 시작하였으며, 삼성전자에서 내년 출시예정인 galaxy S10에 초음파식 전면지문인식을 채택 여부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한 LG 디스플레이도 전면지문인식을 탑재한 디스플레이를 개발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풀스크린에 전면지문인식을 탑재한 스마트폰 출시가 본격화 될 것으로 기대되는 가운데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Samsung Electronics, 2018년 2분기 디스플레이 사업 영업이익 1,400억원 기록

Samsung Electronics는 7월 31일 진행된 2018년 2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을 통해 매출 58조 4800억원, 영업이익 14조 87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8000억원 증가했다. 전분기 대비 매출은 3%, 영업이익은 8000억원 줄었다.

Samsung Electronics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사업은 flexible OLED 패널 수요 둔화와 LCD TV 패널 판매 감소로 실적이 감소하며 매출 5조 6,700억원, 영업이익 1,400억원을 기록했다. OLED 부문은 rigid OLED 가동률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flexible 제품 수요 약세가 지속돼 전분기 대비 실적이 감소했다

하반기에는 rigid OLED에서 LTPS LCD와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나, flexible 제품 수요 회복에 따른 판매 확대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애플 아이폰 신모델용 flexible OLED를 2분기부터 생산함에 따라 하반기에 매출과 영업이익이 개선 될 것으로 예상된다.

Samsung Electronics는 차별화된 기술력과 원가 경쟁력 강화를 통해 모바일용 OLED 점유율을 확대하고 foldable OLED 등 신규 제품군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foldable OLED는 당장 하반기 실적보다는 내년 이후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IT·모바일(IM) 부문의 2분기 매출은 24조원, 영업이익은 2조 6,70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4조600억) 대비 34.2% 줄었으며 전 분기(3조7700억원)보다도 크게 감소했다. 2분기 휴대폰 판매량은 7,800만대로, 이 중 90%가 스마트폰이다. 태블릿은 500만대가 판매됐다. 단말기 평균판매가격(ASP)은 220달러대 후반이다.

소비자가전(CE) 부문의 2분기 매출은 10조 4,000억원, 영업이익은 5,100억원을 기록했다. 상반기 전체로는 매출 20조 1,400억원, 영업이익 7,900억원이다.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특수 속에 QLED TV 등 고부가 제품 판매 호조로 TV 이익이 개선되었다.

한편 삼성전자의 2분기 시설투자 규모는 8조원이었다. 사업별로는 반도체 6조 1,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 1,000억원 수준이다. 상반기 누계로는 반도체 13조 3,000억원, 디스플레이 1조 9,000억원 등 총 16조 6,000억원이 집행됐다.

LG디스플레이, 미혼모를 위한 OLED조명 밝혀

LG디스플레이가 30일, 미혼모 30명에게 임직원 봉사자들이 직접 제작한 OLED조명등과 아기 용품을 전달했다.

이번 봉사활동은 OLED조명담당 임직원들의 재능봉사로 진행됐다. OLED조명사업사업담당에서 플렉서블OLED조명패널 30개를 기증하고 상품기획팀에서 미혼모의 수유등을 맞춤 디자인했다.

지난 27일, 임직원 봉사자들이 사회적 기업을 통해 맞춤 제작한 목공 부품으로 등기구와 패널을 완성품으로 조립했다. 또한, 아기에게 필요한 각종 물품들과 미혼모를 위한 응원 편지도 작성해 함께 포장했다. 포장된 선물세트는 30일, 동방사회복지회를 통해 미혼모시설에 생활중인 미혼모 30명에게 전달됐다.

OLED 조명은 눈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빛 깜빡임 현상과 청색광이 적고 은은한 빛을 내 눈의 피로를 줄여준다. 또한 발열이 적고 유해물질이 없어 친환경제품으로도 손꼽힌다. OLED조명의 특성을 가장 잘 아는 조직이기에 아기를 돌보는 환경에 적합한 수유등을 직접 만들어 전달하는 봉사를 제안했고 구성원 모두 재능을 더해 완성할 수 있었다.

봉사활동에 참여한 OLED 조명영업1팀 김용진 책임은 “업무로 늘 접하던 OLED조명이지만 꼭 필요한 이웃에게 직접 전달할 수 있어서 보람을 느꼈다”며 “작은 도움에도 기뻐하는 이웃들을 보니 봉사가 이렇게 즐거운 것이었나 다시 생각하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Source: LG Display>

TV용 8세대 QD-OLED 투자 비용 얼마나 될까?

유비리서치에서 최근 발간한 “2018 OLED 장비 보고서”에서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을 시작한 QD-OLED 투자 비용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분석하였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추구하고 있는 QD-OLED는 청색 OLED에서 나오는 빛을 QD(quantum dot) 재료를 통하여 녹색과 적색을 분리하여 RGB 3색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QD 재료를 통과한 빛은 다시한번 칼라 필터를 통과하며 보다 풍부한 색감을 나타내게 된다.

QD-OLED는 LG디스플레이가 제조하고 있는 WRGB OLED와 제조 방식과 유사한 부분이 매우 많다. 우선 TFT는 양사 모두 oxide TFT를 사용하고 있다. WRGB OLED는 청색이 두 번 도포되며 그 사이에 적색과 녹색이 증착 된다. 이에 비해 QD-OLED는 청색 재료만 두 번 증착하여 제작된다. 두 방식 모두 증착용 마스크는 가운데가 비어 있는 오픈 마스크를 사용한다.

QD-OLED와 WRGB OLED의 칼라필터 제조 비용을 동일할 것으로 추정되나 QD-OLED는 QD 재료를 코팅하는 장비가 추가로 도입되어야 한다.

보고서에 의하면 모듈과 cell, encapsulation, 증착기는 유사한 장비가 사용될 수 있어 투자 비용 역시 대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WRGB OLED는 bottom emission 방식이어서 TFT를 포함한 backplane 제조시에 같이 형성되나 QD-OLED는 top emission 방식을 추구하고 있어 상판 유리 기판에 칼라필터를 별도로 제작하고, 그 위에 다시 QD층을 패터닝하여 만든다. 따라서 QD-OLED는 WRGB OLED에 비해 다소 높은 투자 비용이 필요해진다.

8세대 26K 기준으로 투자비를 계산하였을 때 QD-OLED는 1.1 billion$로서 WRGB OLED 1.07 billion$에 비해 1.03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비해 JOLED에서 사업화를 추진중인 잉크젯 방식의 OLED 제조에 필요한 투자 금액은 0.88 billion$로서 QD-OLED의 80% 수준이 될 것으로 본 보고서는 기술하고 있다.

‘18년 2분기 AMOLED Display Market Tracks’ 발간

유비리서치는 최근 2018년 2분기 시장 업데이트를 포함하는 “2Q 18 AMOLED Display Market Tracks”를 발간하였다. 이번에 발간한 내용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의 투자 현황과 2018년부터 2022년까지의 OLED 디스플레이 시장전망, OLED 수요와 공급 트렌드, 그리고 삼성디스플레이와 전세계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과의 OLED 스마트폰 사업에 대한 경쟁력 분석을 포함하고 있다.

엑셀 스프레드시트에 Data의 형태로 발간된 시장 업데이트는 전세계 15개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의 생산 라인 현황과 향후 투자를 통해 추가되는 라인 현황과 스마트폰, TV등 주요 OLED 어플리케이션 시장과 국가별 시장 전망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 시리즈와 Apple의 iPhone이 대부분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이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으로 인해 2018년 1분기 전체 OLED 모바일 세트(스마트폰, 스마트 와치 등 포함) 시장의 수요는 작년 4분기 130백만대에서 98백만대로 감소했다. OLED 모바일 세트 시장은 Apple의 신규 스마트폰 모델이 출시되는 3분기까지 서서히 수요를 회복하여 2018년 말 경에는 작년 같은 시기 수요를 회복할 전망이다. 또한 삼성디스플레이가 중국시장에서 LCD와의 경쟁을 위해 모바일 용 Rigid OLED 패널의 가격을 약 25불 수준으로 낮춰 경쟁력을 확보함에 따라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의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과거에 비해 신규 모델의 혁신적인 변화가 없는 등의 이유로 소비자들의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길어지고 인도와 남미, 아프리카 등 제3세계 국가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거의 한계점에 다다라 최근 스마트폰 시장의 침체에 대한 전망이 대부분이다. 시장의 반등을 위해서 이전과는 다른 폼 팩터(Form factor)를 적용하기 위한 기술과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올해 말 혹은 내년 초 출시를 예상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Foldable OLED 스마트폰을 놓고 기존의 엣지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서 (Static Flexible Display) 접는 형태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Dynamic Flexible Display)가 새로운 스마트폰의 형태로서 성공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비리서치는 2018년 4.3억만대의 OLED 스마트폰 시장이 2022년 약 2배의 9억대 수준으로 성장, Foldable OLED 스마트폰 시장은 2019년 약 1백만대에서 2022년 18백만대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는 LG디스플레이와 BOE등 삼성디스플레이 외 패널업체들의 OLED 패널 양산 라인 확대를 반영한 것으로 향후 신규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스마트폰 시장의 움직임에 따라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

OLED 패널 시장은 여전히 스마트폰 용 OLED 패널이 전체 시장의 91%를 점유하고 있으며 업체를 기준으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전체 OLED 패널 시장 실적의 90%를, LG 디스플레이가 뒤를 이어 약 7.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시장에 비해 전세계 적으로 꾸준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OLED TV는 올해도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분석되며 유일한 OLED TV용 패널 공급업체인 LG디스플레이는 향후 5년간 생산확대를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근 광저우 OLED TV 패널용 생산 공장의 승인으로 본격적으로 설비 반입 등이 진행될 예정이며 파주 P10 투자계획에도 지난해 LCD 생산라인 투자 검토에서 OLED TV용 패널 생산라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OLED TV 시장은 2022년 5,6 B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언브레이커블 OLED, OLED 시장의 새로운 다크호스가 될 수 있을까?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언브레이커블 OLED panel을 공개하여 주목받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깨지지 않는 스마트폰용 패널을 개발해, 美 산업안전보건청 공인 시험기관인 UL(美 보험협회시험소, Underwriters Laboratories Inc.)로부터 인증을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언브레이커블 OLED,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는 플렉시블 OLED 패널에 플라스틱 소재의 커버 윈도우를 부착해, 기판과 윈도우 모두 깨지지 않는 완벽한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패널을 완성했다.

현재 상용화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깨지지 않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지만, 유리 소재의 커버 윈도우를 부착해 강한 충격을 받을 경우 윈도우가 깨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UL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언브레이커블 디스플레이는 美 국방부 군사 표준규격(US Military Standard)에 맞춰 실시한 내구성 테스트를 완벽하게 통과했다. 1.2미터 높이에서 26회 실시한 낙하 테스트에서 제품의 전면부, 측면부, 모서리 부분 모두 파손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했으며, 극한의 저온(-32)/고온(71) 테스트에서도 문제 없이 작동했다.

특히 美 국방부 군사 표준규격보다 더 높은 1.8미터 높이에서 실시한 낙하 테스트에서도 삼성디스플레이의 언브레이커블 패널은 손상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최근 개발되고 있는 플라스틱 윈도우는 깨지지 않는 내구성에 유리와 흡사한 투과율과 경도를 갖추고 무게까지 가벼워 휴대용 전자기기에 특히 적합하다앞으로 언브레이커블 패널이 스마트폰은 물론 안전기준이 까다로운 차량용 디스플레이나 군사용 모바일 기기, 학습용 태블릿PC, 휴대용 게임기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관계자의 말처럼 언브레이커블 OLED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다양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커버윈도우가 glass가 아닌 film인 만큼 이미 유리에 시각과 촉각이 적응 되어있는 소비자들에게 어떤 반응을 얻을지가 관건이다. 또한 스마트폰의 경우 2~3년 간격으로 주로 교체되고 있고 커버가 깨졌을 시 디스플레이를 교체해주는 등의 교체수요도 중요하다. 하지만 언브레이커블 OLED가 상용화가 된다면 이러한 교체수요는 감소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깨지지 않는 다는점이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끄는 큰 마케팅 포인트가 될 수 있다.

언브레이커블 OLED가 적용된 제품들이 실제 시장에서 얼마만큼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향후 set 업체와 display업체들의 움직임이 기대된다.

 

 

작성 : 장현준 선임(hyunjun@ubiresearch.com)

 

 

LG Display “전략적 방향은 OLED, 점차적으로 경쟁력 없는 LCD 라인 전환 계획”

김상돈 LG Display CFO는 25일에 주최한 컨퍼런스 콜에서 “2018년 상반기를 돌아보면 전통적인 비수기 시즌과 중국 발 디스플레이 공급 증가로 인해 판가 하락으로 어려운 시장 상황이었다. 작년 하반기부터 좋지 않던 시장 상황이 올해 상반기 안정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오히려 더 빠르고 가파르게 하락하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2018년 하반기는 계절적 특수성과 고객의 재고 확충 맞물려 7월부터 가격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

하반기에 진입하여 시장의 상황이 우호적으로 변경되고 있으나 예측 불확실성으로 과거 시장과는 차이가 있으며 더욱이 앞으로 디스플레이 시장의 공급과잉이랑 비대칭 경쟁 구도는 불가피한 상황임을 전했다. 이에 대해, 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예상 됨에 따라 LG Display는 하반기에도 보수적인 전략을 유지할 것임을 밝혔다.

LG Display의 2018년 2분기 매출은 5조6112억원, 영업손실은 228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5%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8040억원에서 지난 분기에 이어 패널 출하의 예상 대비 하회 등의 어려운 시장 상황을 반영하여 계속적으로 큰 폭 적자를 면하지 못하였다. 출하 면적은 전분기 대비 2% 증가 하였지만 면적(m2)당 판가는 4% 감소하였다.

긍정적인 지표로는 TV 패널 판가 하락이 컸으나 OLED 패널의 경쟁력 우위 포지션으로 인해 전채 패널 판가 하락은 1%에 그쳤다. 3분기에는 면적 기준 출하 큰 폭으로 증가, 업계의 재고 보충을 위해 주문 증가 예상 등 상반기 대비 시장상황이 긍정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LCD와 OLED 중소형과 대형 패널 사업 모두를 하고 있는 LG Display는 이번 컨퍼런스콜을 통해 “OLED 사업에 집중, LCD 사업은 고부가 가치에 집중” 이라는 하반기와 향후 LG Display의 전략적 방향에 대해 명확히 언급하였다.

현재 IT 산업이 역 장하고 있어 LCD 산업이 어렵지만, 좁은 베젤(Narrow Bezel) 혹은 베젤의 삭제(Borderless)등 차별화 기술을 통해 하이엔드 부분과 초대형 커머셜 고부가 가치 제품을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할 것임을 전달했다.

OLED는 LG Display가 향후 현재 산업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성장하기위해 중요한 사업으로 3분기중 OLED TV는 흑자 전환을 예상하고 있으며 최근 승인이 확정된 중국 광저우의 생산라인과 파주 P10공장의 10.5세대 OLED 생산라인 투자를 앞당겨 OLED 대형 시장을 드라이브 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또한 직접적으로 시기와 특정 라인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연내 LCD 합리화 계획을 진행하여 OLED 8.5세대 추가 생산 공장 증설 계획도 내비쳤다.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해 생산 규모를 늘리고 있는 대형 OLED 사업에 비해,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플라스틱 중소형 OLED 패널 사업에 대해서는 모바일과 자동차 시장을 강조하며 필요한 전략 기술로 미래 시장에 대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음을 전달했다.

Apple향 생산공장으로 거론되어온 E6-1라인은 올해 4분기 양산을 시작할 것으로 언급한 것을 미루어 최근 2018년 iPhone OLED 모델에 디스플레이 공급과 관련한 사실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자동차 시장에서도 OLED 패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내년 하반기 본격적인 비즈니스가 시작될 전망임을 밝혔으며 현재 수주 잔고에서 OLED 패널은 약 10% 후반 수준으로 이미 상당 부분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LG Display의 미래 준비와 관련하여 경쟁사 대비 예산 부족과 펀딩 부족의 우려를 잘 알고 있으며 2020년까지 기존에 계획한 Capex에서 약 3조원 줄인 수준으로 진행할 계획이며 이 중 상당부분은 감가상각비와 내부 운전자본관리를 통해 가능하며 나머지는 차입할 계획임을 밝혔다. 시장에서 몇차례 언급된 유상증자는 검토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LG Display는 OLED의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철저히 준비하여 후발주자인 분야에서도 경쟁기업 대비 차별화를 통한 사업 성공의 의지를 밝혔다.

 

 

작성: Hana Oh (hanaoh@ubiresearch.com)

 

LG Display의 대면적 OLED 사업 집중, 발광재료 업체들의 실적 개선 이끌까

LG Display725일에 진행한 20182분기 실적발표에서 파주 10.5세대 공장(P10)에서 대면적 LCD가 아닌 대면적 OLED를 우선 생산키로 한 방침을 확정했다.

LG Display는 이날 대형 OLED 사업이 안정화를 띔에 따라 생산에 속도를 올려 실적 부진을 만회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김상돈 LG Display CFO내년 400만대, 2020 700만대, 2021 1000만대 판매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언급하며, 중국 광저우 8.5세대 공장이 내년 하반기 가동을 시작하고 LCD 공장까지 OLED 공장으로 전환하면 OLED TV 패널 생산량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

대면적 LCD 대신 대면적 OLED로의 사업 집중에 따라, 대면적 OLED와 관련된 발광재료 업체들의 실적 개선도 기대된다. 현재 LG Display의 대면적 OLED용 재료를 공급하는 업체로는 MerckNoveled, LG Chemical, Heesung Material, Idemitsu Kosan 등이 있다.

이 중 LG Chemical은 인광 레드 호스트와 형광 블루 호스트, HIL, ETL, CPL을 공급하고 있으며 Heesung MaterialCGLCPL을 공급하고 있다.

한편, 유비리서치가 발간한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 1Q18’에서는 대면적 OLED의 재료 사용 비용이 2018년에 US$ 279 million에서 연평균 25%씩 증가하여 2022년에는 US$ 692 million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LG Display의 대면적 OLED 사업 집중에 따라 재료 사용 비용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작성 : 윤대정 연구원(ydj7211@ubiresearch.com)

 

 

 

FlexiGO, 폴더블 소재의 정확한 내구성 평가가 가능한 폴딩 장치 개발

최근 Samsung Electronic와 Huawei가 폴더블 OLED가 탑재된 스마트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폴더블 스마트폰이 주목받고 있다.

디스플레이 업체에서는 기존의 기판이나 커버 윈도우에 적용되었던 유리 소재를 플라스틱 소재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 소재의 내구성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내구성 시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가장 대표적인 내구성 시험은 폴딩 시험이다. 폴딩 시험은 플라스틱을 포함한 폴더블 소재를 구부리고 펼치는 동작을 반복하는 시험으로서, 대표적으로 폴더블 소재의 일부를 고정판에 고정시키고 나머지는 회동판에 고정시킨 후 회동판을 기계적으로 회동운동 시키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장치들은 폴더블 소재와 회동판의 축이 서로 달라 회동 운동 시 폴더블 소재가 소재 본연의 회동 경로가 아닌 회동판의 회동 경로를 따라가기 때문에 폴더블 소재에 인장력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FlexiGO에서는 폴더블 소재의 폴딩 시험을 위한 새로운 폴딩 장치인 Foldy series를 개발했다.

<FlexiGO의 폴딩 장치, Source: flexigo.co.kr>

 

Foldy series는 기존의 고정판과 회동판 외에 고정판을 진퇴운동 하도록 지지하는 모션 컨트롤러를 추가하여 폴더블 소재가 본연의 회전 경로로만 이동하게끔 유도해 다른 응력이 소재에 가해지지 않도록 하였다. 모션 컨트롤러에 슬라이딩장치가 탑재 되어 고정판은 진퇴운동을 하고 회동판은 회동운동을 하여 폴더블 소재가 회동판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Foldy series에는 micro vision과 surface profiling, colorimeter가 포함되어 있으며, Foldy-10과 Foldy-100 등 제품들에 따라 시험 환경을 달리하여 내구성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밖에 추가적인 검사 시스템 탑재도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하고 정확한 폴더블 소재의 내구성 시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What is the investment cost for large-area OLED that will lead the premium TV market?

■ Investment cost comparison and analysis for WRGB OLED, solution processed OLED and QD-OLED
■ Total OLED process equipment is expected to form a market of US$ 58.8 billion from 2018 to 2022, and inspection equipment market is estimated as US$ 8.4 billion

In the premium TV market, the market share of OLED TVs is steadily rising, and the number of OLED TV camps is gradually increasing. OLED TV adopts color filter to WRGB OLED, and currently LG Display only mass produces the OLED panels.

On the other hand, Samsung Display is developing QD-OLED (blue OLED + quantum dot color filter) to compete with WRGB OLED in the premium TV market. Blue OLED is a technology in which the blue light emitted from OLED passes through a quantum dot layer and a color filter to represent red and green colors.

<Expected structure of QD-OLED>

UBI Research analyzed the structure and investment amount of WRGB OLED and QD-OLED, which are the latest issues, in the‘AMOLED Manufacturing and Inspection Equipment Industry Report’ published on June 6. In addition, the investment amount of the solution process OLED, which has got the industry attention due to its possible implementation of real RGB in large-area OLED, is also analyzed and compa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quipment investment cost based on the 8th generation 26K, the QD-OLED investment cost is 3% higher than WRGB OLED and the investment cost of solution process OLED is 19% less than that of WRGB OLED.

In the QD-OLED investment cost, it is reflected that QD color filter is separately formed and its laminating process is added. For the analysis of solution processed OLED investment cost, color filter is excluded and ink-jet printer is applied instead of deposition equipment.

In addition, the report forecasts the overall OLED equipment market from 2018 to 2022. The total OLED overall equipment market is expected to reach US$ 106.7 billion from 2018 to 2022. The market for process equipment is projected as US$ 58.8 billion and inspection equipment market is to be US$ 8.4 billion.

8K OLED TV, 하반기에 볼 수 있을까?

 

프리미엄 TV시장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Sony의 OLED TV 시장 진입과 LG전자의 공격적인 가격 인하로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OLED TV의 점유율이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LCD진영에서는 8K 고해상도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는 추세로 프리미엄 TV시장에서 OLED의 상승세를 저지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샤프는 이미 지난해부터 8K LCD TV를 세계 최초로 판매하기 시작하였고, 삼성전자도 올 초 CES에서 8K TV를 전시한데 이어 올 하반기 8K QLED(QD-LCD)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OLED 진영에서는 LG Display가 CES에서 88inch 8K OLED TV를 전시했지만 8K OLED TV의 하반기 출시 여부는 아직 미지수이다.

현재 양산되고 있는 OLED TV는 bottom emission 방식으로 빛이 TFT를 통과해서 나오기 때문에 pixel에서 TFT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빛이 나오는 방식이다. 따라서 동일 크기의 TV에서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pixel size는 작아지지만 TFT의 크기가 작아지는 부분은 제약이 있기 때문에 빛이 나가는 영역이 더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동일 사이즈에서 고해상도 구현을 위해서는 개구율을 최대한 넓히거나 발광재료의 성능을 개선해야 된다.

개구율을 넓히는 방법으로는 top emission 구조를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Top emission구조는 빛이 TFT 방향이 아닌 encapsulation 방향으로 나오기 때문에 bottom emission 대비 더 넓은 개구율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불투명한 metal sheet를 사용하는 encapsulation이 투명한 소재로 바뀌어야 되는 점과 color filter가 encapsulation 위쪽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공정이 바뀌는 문제가 있다.

발광재료 쪽에서는 TADF blue나 새로운 blue 재료에 대한 개발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LG Display에서 공개한 88inch 8K OLED TV는 bottom emission 구조로 만들어 졌으며 약 100 ppi로 현재 판매되고 있는 55inch 4K의 ppi인 80ppi 보다 20% 높은 수치이다. 단순 전체 display size 대비 pixel size를 비교해보면 55 inch 4K의 pixel이 88inch 8k의 pixel보다 약 40% 넓은 것으로 계산된다.

즉 55inch 4K와 동일 수준의 휘도와 수명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TFT 설계를 최적화하고 발광재료 성능을 향상시켜 pixel 크기가 40% 감소한 부분을 만회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하반기에 출시 본격화가 예상되는 8K LCD TV에 맞서 8K OLED TV가 출시 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Premium TV 시장을 주도할 대면적 OLED의 투자 비용은?

최근 premium TV 시장은 OLED TV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OLED TV 진영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OLED TV는 WRGB OLED에 color filter를 적용한 구조로써, 현재 LG Display만이 유일하게 OLED panel을 양산하고 있다.

이에 Samsung Display에서는 premium TV 시장에서 WRGB OLED에 대항하기 위해 blue OLED + quantum dot color filter(이하 QD-OLED)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Blue OLED는 OLED에서 발광 된 청색광이 quantum dot층과 color filter를 통과해 red와 green 색을 나타내는 기술이다.

<QD-OLED 예상 구조>

유비리서치는 지난 6일 발간한 ‘AMOLED Manufacturing and Inspection Equipment Industry Report’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WRGB OLED와 QD-OLED의 구조와 투자 금액을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대면적 OLED에서 real RGB를 구현할 수 있어 주목받고 있는 solution process OLED의 투자 금액도 함께 분석하여 비교했다.

8세대 26K 기준으로 장비 신규 투자비를 분석한 결과, QD-OLED 투자비는 WRGB OLED에 비해 3%가 많고 solution process OLED는 WRGB OLED에 비해 19%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QD-OLED 투자비에서는 QD color filter가 따로 형성되고 이를 합착하는 공정이 추가된 내용이 반영되었으며, solution process OLED 투자비에서는 color filter가 제거되고 증착 장비 대신 ink-jet printer가 투입된 내용이 반영되었다.

이 밖에 본 보고서에서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OLED 전체 장비 시장도 예상하였다. 2018년부터 2022년까지 OLED 전체 장비 시장은 US$ 106.7 billion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공정 장비는 그 중 US$ 58.8 billion, 검사 장비는 US$ 8.4 billion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2022년 장비별 전체 시장 점유율 전망>

The second half of 2018 just started, Chinese OLED panel makers are chasing Korea. Where are they?


작성자: 오하나 (Analyst, hanaoh@ubiresearch.com)
The display industry has been in a state of confusion by the recent leaking of OLED display panel production technology into China.

As of 2018, five companies (BOE, Everdisplay, Tianma, Truly, and Visionox) have OLED production lines in China, among which only BOE has a line that can produce OLED displays (“Plastic OLED”) using plastic substrates, applied to the premium smart phones such as Samsung Galaxy and Apple’s iPhone. Other panel makers are building lines to produce plastic OLED displays targeting mass production this year and next year.

Monthly production capacity planned by Chinese panel makers by the end of 2020 is about 250K, which is more than the monthly production capacity of Samsung Display (about 180K). If China produces a similar level of panels through mass production, it is clear that Korea cannot defeat China in terms of production costs. The main application of the 6G plastic OLED display is a smart phone; however, the global Smartphone market has slowed down since 2015, especially in the premium Smartphone market, there seem no new markets. If mass applications such as smartphones are not developed, panel makers that do not have cost competitiveness will be hard to survive due to a large oversupply in the near-term and falling panel prices.

Korea is evaluated to have a considerable technical advantage since the production of plastic OLED displays requires a high level of technology and process know-how for the time. However, the industry expects that Chinese government’s support for the panel makers with the background of capital as part of the “China Manufacturing 2025” strategy, will shorten the technology gap quickly.

Chinese panel makers ahead of their mass production by 2019 are also reported to be more aggressively scouting Korea’s major OLED engineers. There are about 100 Korean OLED engineers in Chengdu (B7) plant that produces plastic OLED display of BOE. GVO is also known to have recently hired some important OLED engineers with high salaries. CSOT, which has been known to suffer difficulties from the initial research stage, seems to be expediting the construction of mobile OLED production line, employing Korean OLED engineers at major processes from last year. In addition, HKC, which is not a panel maker, is reported to have hired OLED engineers. This is interpreted as a work for investing in the OLED production line of HKC which has only LCD line, and HKC has recently been named as the merger of TIANMA OLED division.
As of 2018, there are no panel makers in China that can produce OLED display panels at the level produced by Korean panel makers. Although the production capacity and sales structure of Chinese panel maker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Korea, it is difficult to define yields on the same basis. However, the yield of BOE’s Chengdu (B7) plant, known as the mass production line, is still investigated as a single digit. Other panel makers also expect the product quality and yield problems to be difficult to be resolved by the first half of 2019 even if the mass production lines are launched within the year.

In order for the display industry, which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Korean economy, to maintain its dominant position in the global display industry, it must maintain its competitiveness through various product development, production and sales strategies. Meanwhile, the size of the display industry needs to grow for the growth of the worldwide OLED industry. In order for Chinese panel makers to supply OLED panels with diverse applications, securing the yield might be the key.

2018년 2H 시작, 중국 OLED 패널 업체들의 추격어디까지?

최근 중국으로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기술 유출 사건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산업이 시끌시끌하다.

2018년 현재, 중국내 OLED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는 총 5업체로 (BOE, Everdisplay, Tianma, Turly, Visionox) 이중 삼성전자의 Galaxy와 Apple의 iPhone등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 OLED 디스플레이(“Plastic OLED”)를 생산할 수 있는 라인을 가지고 있는 곳은 BOE 한 곳에 불과하다. 다른 패널 업체들은 올해와 내년 양산을 타겟으로 Plastic OLED 디스플레이를 생산할 수 있는 라인 건설을 진행하고 있다.

2020년 말까지 중국 패널 업체들이 양산을 계획하고 있는 월 생산 Capa는 약 250K로, 현재 삼성디스플레이의 월 생산 Capa(약 180K)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중국이 본격적인 양산을 통해 비슷한 수준의 패널을 생산하게 될 경우 생산 원가 측면에서 한국은 중국을 이길 수 없는 구조임은 분명해 보인다. 6세대 Plastic OLED 디스플레이의 주 사용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폰인데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2015년 이후 성장이 둔화되었으며 특히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은 신규시장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매스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지 않을 경우, 머지 않아 매우 큰 과잉공급과 이는 패널 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져 원가 경쟁력이 없는 패널 업체는 살아남기 힘들게 될 것이다.

일단은 Plastic OLED 디스플레이 생산은 높은 기술수준과 공정 노하우 등이 필요해 한국이 상당한 기술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산업에서는 “중국제조 2025” 전략의 일환으로 자본을 앞세운 중국 정부의 패널업체 지원이 기술 격차를 빠른 시간안에 단축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9년까지 양산을 앞두고 있는 중국 패널 업체들 역시 최근 더욱 적극적으로 한국의 주요 OLED 엔지니어 모셔가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BOE의 Plastic OLED 디스플레이를 생산하는 청두(B7) 공장에는 약 100여명에 가까운 한국 OLED 엔지니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VO도 최근 고액 연봉의 중요한 OLED 엔지니어들을 수명 고용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초기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왔던 CSOT 역시 작년부터 주요 공정의 한국 OLED 엔지니어들을 고용 모바일 OLED 생산 라인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밖에 패널업체가 아닌 HKC 역시 OLED 엔지니어들 영입하고 있다고 조사되고 있으며 이는 LCD 라인 밖에 없는 HKC의 OLED 생산 라인 투자를 위한 밑 작업으로 해석되고 있으며 HKC는 최근 티안마 OLED 사업부 합병설에 이름을 올리기도 하였다.

2018년 현재를 기준으로 아직까지는 한국 패널 업체들이 생산하는 수준의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양산이 가능한 중국의 패널 업체는 없다. 중국 패널 업체들의 생산능력 기준과 판매 구조는 대한민국과 달라 같은 기준으로 수율을 정의 하기는 어렵지만 양산라인이라고 알려져 있는 BOE의 청두(B7)공장의 수율은 여전히 1자리 숫자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다른 패널 업체들 역시 올해 안에 양산라인 가동을 한다고 해도 제품 품질과 수율문제는 2019년 상반기까지도 해결이 힘들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국 경제에 상당부분 일조하는 디스플레이 산업이 지속적으로 전세계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우위를 지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제품 개발, 생산과 판매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세계 OLED 산업의 성장을 위해 디스플레이 산업의 규모가 커지고 많은 플레이어들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OLED 패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중국 패널 업체들의 수율 확보가 관건일 것이다.

OLED equipment market is expected to reach US$ 31.5 billion in 2019

■ The total OLED equipment market is projected as US$ 106.7 billion in 2018-2022.

■ From 2018 to 2022, China is expected to account for 64% of the total investment while Korea will account for 29%.

The total OLED equipment market is projected as US$ 106.7 billion from 2018 to 2022.

According to the ‘1H18 AMOLED Equipment Market Track’ published by UBI Research, the total OLED equipment market is expected to reach US$ 106.7 billion in 2018-2022. The equipment market of 2018 is estimated to be a total of US $ 21.1 billion in, and the largest investment of US$ 31.5 billion is expected in 2019.

<2018~2022 OLED equipment market forecast>

Dae-Jeong Yoon, Researcher of UBI research said “In 2019 and 2020 of the next five years, Korea and China panel makers are key drivers for the investment. By 2019, Korean panel makers are likely to focus on large-area OLED investment and Chinese panel makers will focus on small and medium-sized flexible OLED Investment.”

According to the market track, China will account for 64% of the total equipment market from 2018 to 2022 while Korea will account for 29%. Thus, the two countries will lead the OLED equipment investment. In 2018 and 2019, global panel makers are expected to invest the total amount of US$ 52.7 billion, which might be the largest scale.

<Overall equipment market share by country in 2018~2022>

In this market track, the overall equipment market analysis is categorized by equipment, process, company, generation, and substrate. The investment cost including logistic equipment and inspection equipment for each process was calculated, and the cost for touch related equipment was excluded for the market analysis.

In addition, ASP and quarterly sale revenue of each equipment are also described from 2016 to the second quarter of 2018, which will help the related companies to develop future direction, business strategy, and technology and market trend analysis.

LCD Smartphone is 4K era, what about OLED Smartphone?

In the past MWC 2017, Sony unveiled the world’s first Smartphone with 4K LCD and it is scheduled to release the Xperia XZ2 Premium with 4K LCD on July 4. Attention is growing whether 4K resolution market is to be launched in earnest in smartphones.

<Xperia XZ2 Premium of Sony, Source: theverge.com>

TV market is already moving beyond the 4K to the 8K. Samsung Electronics and Sharp released new TVs with 8K resolution in the first half and Sony plans to release 8K TVs in the second half. LG Display also exhibited 88inch 8K OLED TV at CES 2018. As such, 8K TV is entering the premium TV market, and smart phone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ducts with 4K resolution in response to the higher resolution of TVs.

In the Smartphone, 4K has been implemented in LCD; however, in the case of OLED, QHD resolution is still dominant for the 4 consecutive years.

<Resolution change of Samsung Galaxy series, Source: UBI Research DB>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fine metal mask (FMM) technology that is being applied to OLED manufacturing. The thickness of FMM applied to the current production is about 20 ~ 30um. For 4K fabrication, the thickness should be as thin as 10um, but it is difficult for existing FMM manufacturing method.

As a result, FMM replacement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for high resolution implementation. Typical technologies under developing, include laser FMM patterning with laser, electroforming manufactured by electroplating method, a fine hybrid mask that is used to form a frame by electroplating on a film and pattern the film with a laser, and a surface source that realizes a high resolution by vertically setting the deposition incident angle.

Deposition technologies for high-resolution manufacturing at various exhibitions and conferences are being introduced.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for securing mass production, it is expected to see not only 4K OLED Smartphone, but also high-resolution AR and VR devices of RGB method.

LCD Smartphone is 4K era, what about OLED Smartphone?

In the past MWC 2017, Sony unveiled the world’s first Smartphone with 4K LCD and it is scheduled to release the Xperia XZ2 Premium with 4K LCD on July 4. Attention is growing whether 4K resolution market is to be launched in earnest in smartphones.

<Xperia XZ2 Premium of Sony, Source: theverge.com>

TV market is already moving beyond the 4K to the 8K. Samsung Electronics and Sharp released new TVs with 8K resolution in the first half and Sony plans to release 8K TVs in the second half. LG Display also exhibited 88inch 8K OLED TV at CES 2018. As such, 8K TV is entering the premium TV market, and smart phone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ducts with 4K resolution in response to the higher resolution of TVs.

In the Smartphone, 4K has been implemented in LCD; however, in the case of OLED, QHD resolution is still dominant for the 4 consecutive years.

<Resolution change of Samsung Galaxy series, Source: UBI Research DB>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 fine metal mask (FMM) technology that is being applied to OLED manufacturing. The thickness of FMM applied to the current production is about 20 ~ 30um. For 4K fabrication, the thickness should be as thin as 10um, but it is difficult for existing FMM manufacturing method.

As a result, FMM replacement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for high resolution implementation. Typical technologies under developing, include laser FMM patterning with laser, electroforming manufactured by electroplating method, a fine hybrid mask that is used to form a frame by electroplating on a film and pattern the film with a laser, and a surface source that realizes a high resolution by vertically setting the deposition incident angle.

Deposition technologies for high-resolution manufacturing at various exhibitions and conferences are being introduced.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for securing mass production, it is expected to see not only 4K OLED Smartphone, but also high-resolution AR and VR devices of RGB method.

2019년 OLED 전체 장비시장 315억 달러 규모 기대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체 OLED 장비 시장 1067억 규모 형성 예상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이 64%, 한국이 29%의 점유율로 투자 주도 예상

OLED용 장비시장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1067억 달러가 형성 될 전망이다.

유비리서치가 발간한 ‘1H18 AMOLED Equipment Market Track’에 따르면, OLED용 전체 장비 시장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1067억 달러 규모가 될 전망이다. 2018년 장비 시장은 총 211억 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2019년에는 315억 달러 규모의 가장 많은 투자가 진행 될 전망이다.

<2018~2022년 OLED 전체 장비 시장 전망>

유비리서치 윤대정 연구원은 “향후 5년 중 2019년과 2020년에 한국과 중국 panel 업체들의 가장 투자가 예상된다”며 “2019년까지 한국 panel 업체들은 대면적 OLED 위주로, 중국 panel 업체들은 중소형 flexible OLED 위주로 투자가 진행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본 마켓트랙에서 국가별 OLED 장비 시장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이 64%, 한국이 29%의 점유율을 보이며 두 국가가 OLED 장비 투자를 주도 할 전망이다. 2018년과 2019년에 글로벌 panel 업체들은 527억 달러 규모로 가장 많은 투자 할 전망이다.

<2018~2022년 국가별 전체 장비 시장 점유율 전망>

본 마켓트랙에서는 OLED 장비 시장 분석을 위해 장비별과 공정별, 업체별, 세대별, 기판별 등으로 상세히 분류하였다. 각 공정별 물류 장비와 검사 장비를 포함한 투자 비용을 산출하였으며, touch관련 장비는 시장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밖에도 장비별 ASP와 2016년부터 2018년 2분기까지 분기별 장비 판매 실적도 다루어 관련 업체들의 향후 개발 방향과 사업 전략 수립, 기술과 시장 트렌드 분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OLED 전체 장비시장 315억 달러 규모 기대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전체 OLED 장비 시장 1067억 규모 형성 예상

■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이 64%, 한국이 29%의 점유율로 투자 주도 예상

OLED용 장비시장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1067억 달러가 형성 될 전망이다.

유비리서치가 발간한 ‘1H18 AMOLED Equipment Market Track’에 따르면, OLED용 전체 장비 시장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1067억 달러 규모가 될 전망이다. 2018년 장비 시장은 총 211억 달러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2019년에는 315억 달러 규모의 가장 많은 투자가 진행 될 전망이다.

<2018~2022년 OLED 전체 장비 시장 전망>

유비리서치 윤대정 연구원은 “향후 5년 중 2019년과 2020년에 한국과 중국 panel 업체들의 가장 투자가 예상된다”며 “2019년까지 한국 panel 업체들은 대면적 OLED 위주로, 중국 panel 업체들은 중소형 flexible OLED 위주로 투자가 진행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본 마켓트랙에서 국가별 OLED 장비 시장은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이 64%, 한국이 29%의 점유율을 보이며 두 국가가 OLED 장비 투자를 주도 할 전망이다. 2018년과 2019년에 글로벌 panel 업체들은 527억 달러 규모로 가장 많은 투자 할 전망이다.

<2018~2022년 국가별 전체 장비 시장 점유율 전망>

본 마켓트랙에서는 OLED 장비 시장 분석을 위해 장비별과 공정별, 업체별, 세대별, 기판별 등으로 상세히 분류하였다. 각 공정별 물류 장비와 검사 장비를 포함한 투자 비용을 산출하였으며, touch관련 장비는 시장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 밖에도 장비별 ASP와 2016년부터 2018년 2분기까지 분기별 장비 판매 실적도 다루어 관련 업체들의 향후 개발 방향과 사업 전략 수립, 기술과 시장 트렌드 분석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LCD 스마트폰은 4K시대, OLED 스마트폰은?

지난 MWC 2017에서 소니가 세계 최초로 4K LCD를 탑재한 스마트폰을 공개한데 이어 오는 7월 4K LCD가 탑재된 Xperia XZ2 Premium을 출시할 예정으로 스마트폰에서도 4K 해상도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Sony의 Xperia XZ2 Premium, Source : theverge.com>

이미 TV시장에서는 4K를 넘어서 8K 시장으로 옮겨가고 있는 중이다. 삼성전자와 샤프는 상반기 8K 해상도의 TV 신제품을 공개하였으며, 소니도 8K TV를 하반기 출시 예정이다. LG Display에서도 88inch 8K OLED TV를 CES 2018에서 전시를 하였다. 이처럼 8K TV가 프리미엄 TV 시장에 진입을 하면서 스마트폰도 TV의 고해상도화에 대응하여 4K 해상도를 가진 제품 출시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스마트폰에서 LCD는 4K를 구현했지만 아직 OLED는 4년째 QHD 해상도에 머물러있는 상황이다.

<삼성전자 갤럭시 시리즈의 해상도 변화, Source : UBI Research DB>

OLED제조에 적용되고 있는 FMM(fine metal mask) 기술에 제약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양산에 적용되고 있는 FMM의 두께는 약 20~30um 수준이며, 4K 제조를 위해서는 두께가 10um 수준으로 얇아져야 하지만 기존 FMM 제조방식으로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고해상도 구현을 위한 FMM 대체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레이져로 패터닝을 하는 laser FMM과 전주도금방식으로 제조하는 electroforming, 필름에 전주도금으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레이져로 film을 패터닝하는 fine hybrid mask, 증착 입사각을 수직으로 하여 고해상도를 구현하는 면소스 등이 개발 중에 있다.

 

각종 전시회와 학회에서 고해상도 제조를 위한 증착기술들이 공개되고 있는 추세이며, 양산성 확보여부에 따라 앞으로 4K OLED 스마트폰, 더 나아가 RGB 방식의 고해상도 AR, VR 기기를 볼 수 있을 전망이다.

How will Samsung Electronics secure its premium TV market share?

Choog Hoon Yi, president of UBI Research, presented about the issues and predictions for 2018 premium TV market at the seminar on the OLED market review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held by UBI Research on June 28.

He said “The TV demand for 60 inches or more will be expanded from 12 million units in 2016 to 33 million units in 2021 as the investment for Gen10.5 will be increased and therefore the cost for panels will be decreased.

TV prices are expected to decline in 2018 as panel prices fall. In case of Samsung Electronics, TV shipments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declined 4% YoY to 9.7million units, which led to an operating profit of 4% in its VD division. This is 10% lower than the operating profit of LG Electronics’ HE division.

Lee mentioned ” Samsung Electronics is expected to focus on securing operating profits even if its sales are down. Therefore, they will concentrate on promoting mega-sized products over 65 inches.”

Currently, Samsung plans to use QD-OLED as a TV panel to increase its market share in the premium TV market. QD-OLED is a technology that uses blue OLED as a light source and the light passes through a quantum dot color filter (QDCF) to realize red and green colors.

Lee added that “The success factor of QD-OLED is to be the production of 8K OLED panel of 65 inch or above, but the saturation of premium TV market due to the early investment of LG Display’s 10.5 generation OLED will be a threat.

According to the ‘2018 OLED Emitting Material Industry Report’ published by UBI Research in April, since the QD-OLED is top emission type, the aperture ratio is increased by about 70% compared to the bottom emission, which emits light in the TFT direction. Thus, it is more advantageous to implement 8K resolution and high luminance than the existing WRGB OL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reach BT.2020, UHD color standard, by using QD material with high color recall rate as color filter.

<The structure of Original WRGB OLED (left) and QD-OLED (right). Source: UBI Research>

Meanwhile, UBI Research predicted that OLED TV sales would grow by about 30% annually to about US$ 5.7 billion in 2022.

삼성전자가 프리미엄 TV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난 28일 유비리서치가 개최한 ‘상반기 OLED 시장 결산 세미나’에서 이충훈 대표는 2018 프리미엄 TV 시장 이슈와 전망을 발표하였다.

이충훈 대표는 60 inch 이상의 TV수요에 대해 ’2016년 1200만대에서 2021년 3300만대까지 확대될 것’이며, ‘이는 Gen10.5의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패널의 가격이 하락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2018년은 패널 가격이 하락하면서 TV가격도 하락할 전망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2018년 1사분기 TV 출하량은 97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하여 삼성전자의 VD 사업부 영업이익은 4% 수준에 머물렀다. LG전자의 HE 사업부 영업이익 대비 10%나 낮다.

이 대표는 ‘삼성전자는 매출이 줄어도 영업이익 확보를 우선시 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65 inch 이상의 초대형 크기 제품 프로모션에 집중할 것’이라 언급했다.

현재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TV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고자 QD-OLED를 TV panel로 이용할 계획이다. QD-OLED는 blue OLED를 광원으로 사용하고 그 빛이 QDCF(quantum dot color filter)를 통과하여 red와 green 색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 대표는 QD-OLED의 성공 요소로는 65 inch 이상 8K OLED panel 생산 등이라 말한 반면, LG디스플레이의 10.5세대 OLED 조기 투자로 인한 프리미엄 TV시장 포화가 위협 요소로 작용될 것이라 언급했다.

유비리서치가 4월 발간한 ‘2018 OLED 발광재료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QD-OLED는 top emission 방식이기 때문에 TFT 방향으로 빛이 방출되는 bottom emission 대비 개구율이 약 70% 증가되어 8K 해상도와 고휘도 구현이 기존 WRGB OLED보다 유리하다. 또한, 색재현율이 높은 QD 재료를 color filter로 사용하여 UHD 색 규격인 BT. 2020에 도달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WRGB OLED(좌)와 QD-OLED(우) 구조, 출처: 유비리서치>

한편, 유비리서치는 OLED TV의 매출액은 연평균 약 30% 증가하여 2022년 약 57억 달러 규모가 될 것이라 전망하였다.

How will Samsung Electronics secure its premium TV market share?

Choog Hoon Yi, president of UBI Research, presented about the issues and predictions for 2018 premium TV market at the seminar on the OLED market review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held by UBI Research on June 28.

He said “The TV demand for 60 inches or more will be expanded from 12 million units in 2016 to 33 million units in 2021 as the investment for Gen10.5 will be increased and therefore the cost for panels will be decreased.

TV prices are expected to decline in 2018 as panel prices fall. In case of Samsung Electronics, TV shipments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declined 4% YoY to 9.7million units, which led to an operating profit of 4% in its VD division. This is 10% lower than the operating profit of LG Electronics’ HE division.

Lee mentioned ” Samsung Electronics is expected to focus on securing operating profits even if its sales are down. Therefore, they will concentrate on promoting mega-sized products over 65 inches.”

Currently, Samsung plans to use QD-OLED as a TV panel to increase its market share in the premium TV market. QD-OLED is a technology that uses blue OLED as a light source and the light passes through a quantum dot color filter (QDCF) to realize red and green colors.

Lee added that “The success factor of QD-OLED is to be the production of 8K OLED panel of 65 inch or above, but the saturation of premium TV market due to the early investment of LG Display’s 10.5 generation OLED will be a threat.

According to the ‘2018 OLED Emitting Material Industry Report’ published by UBI Research in April, since the QD-OLED is top emission type, the aperture ratio is increased by about 70% compared to the bottom emission, which emits light in the TFT direction. Thus, it is more advantageous to implement 8K resolution and high luminance than the existing WRGB OL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reach BT.2020, UHD color standard, by using QD material with high color recall rate as color filter.

<The structure of Original WRGB OLED (left) and QD-OLED (right). Source: UBI Research>

Meanwhile, UBI Research predicted that OLED TV sales would grow by about 30% annually to about US$ 5.7 billion in 2022.

JOLED, Production of medium sized solution process OLED in 2020

JOLED announced that it will mass-produce mid-size solution processed OLED applicable to automobiles and monitors in 2020.

On June 26, JOLED, a subsidiary of Japan Display, said that it will open a ‘JOLED Nomi Office’ in Nomi City, Ishikawa prefecture on July 1 with the operation target in 2020.

<JOLED Nomi Office, Source: j-oled.com>

The flagship product is expected to be a medium sized (10 ~ 32 inch) solution process OLED for automobiles and high-end monitors.  At the 2018 OLED Korea conference held by UBI Research in last March, Toshiaki Arai, chief technologist of JOLED said that it would target the middle-sized OLED market with solution process OLED.

<JOLED development roadmap, announced at the 2018 OLED Korea conference>

JOLED, Production of medium sized solution process OLED in 2020

JOLED announced that it will mass-produce mid-size solution processed OLED applicable to automobiles and monitors in 2020.

On June 26, JOLED, a subsidiary of Japan Display, said that it will open a ‘JOLED Nomi Office’ in Nomi City, Ishikawa prefecture on July 1 with the operation target in 2020.

<JOLED Nomi Office, Source: j-oled.com>

The flagship product is expected to be a medium sized (10 ~ 32 inch) solution process OLED for automobiles and high-end monitors.  At the 2018 OLED Korea conference held by UBI Research in last March, Toshiaki Arai, chief technologist of JOLED said that it would target the middle-sized OLED market with solution process OLED.

<JOLED development roadmap, announced at the 2018 OLED Korea conference>

JOLED, 2020년 중형 solution process OLED 양산

JOLED가 2020년 자동차나 모니터용에 적용 가능한 중형 크기의 solution process OLED를 양산한다고 밝혔다.

6월 26일 Japan Display의 자회사 JOLED는 7월 1일 이시카와현 노미시에 ‘JOLED 노미 사업소’를 개설하고 2020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JOLED 노미 사업장은 Japan Display의 기존 노미 공장 위치에 설립되어 기존 설비를 이용하는 것 외에도, solution process OLED 양산을 위한 추가 설비 등의 새로운 건물이 지어질 예정이다. 규모는 지상 5층에 부지 면적은 약 10 만 평방 미터로, 5.5세대 (1300mm × 1500mm) 유리 기판 기준으로 월 생산 약 2 만장의 생산 능력을 갖출 예정이다.

<JOLED 노미 사업소, Source: j-oled.com>

주력 생산 제품은 자동차나 하이 엔드 모니터용 중형 (10~32 인치) solution process OLED로 예상 된다. 지난 3월에 유비리서치가 개최 한 2018 OLED Korea conference에서 Toshiaki Arai chief technologist는 solution process OLED로 중형 OLED 시장을 공략할 것을 밝히기도 했다.

<2018 OLED Korea conference에서 밝힌 JOLED의 개발 로드맵>

OLED material makers, why are they going to China?

Recently, OLED material makers are seeking to establish their R & D centers in China.

According to the industry sources, LG Chemical is considering to establish OLED material technology center in Chengdu, China. Merck also announced on June 20 that it will establish its OLED Technology Center in Shanghai, China.

An official from Merck said, “By establishing OLED Technology Center in China, we expect to shorten the product launch period since close cooperation with Chinese companies is possible.In addition, the center will be used as a joint workplace for creating ideal solutions with Chinese companies since it is located in Shanghai.”

This trend of OLED material makers is interpreted as aiming at the growing Chinese market.

If they build their base in China, it will be easy to use the localization strategy specialized in the Chinese market and to secure their suppliers.

According to UBI research, the OLED market in China will grow at a CAGR of 75%, four times faster than Korea, which is currently the largest market.

In the ‘2018 OLED Emitting Material Industry Report’ issued in June, UBI predicts “ While Korean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will grow at a CAGR of 21%, China’s OLED material market is expected to grow at a CAGR of 69%, to about US$ 1.16 billion in 2022. This will account for about 38% of the total OLED material market.”

<Emitting material market forecast by country, source: UBI Research>

OLED material makers, why are they going to China?

Recently, OLED material makers are seeking to establish their R & D centers in China.

According to the industry sources, LG Chemical is considering to establish OLED material technology center in Chengdu, China. Merck also announced on June 20 that it will establish its OLED Technology Center in Shanghai, China.

An official from Merck said, “By establishing OLED Technology Center in China, we expect to shorten the product launch period since close cooperation with Chinese companies is possible.In addition, the center will be used as a joint workplace for creating ideal solutions with Chinese companies since it is located in Shanghai.”

This trend of OLED material makers is interpreted as aiming at the growing Chinese market.

If they build their base in China, it will be easy to use the localization strategy specialized in the Chinese market and to secure their suppliers.

According to UBI research, the OLED market in China will grow at a CAGR of 75%, four times faster than Korea, which is currently the largest market.

In the ‘2018 OLED Emitting Material Industry Report’ issued in June, UBI predicts “ While Korean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will grow at a CAGR of 21%, China’s OLED material market is expected to grow at a CAGR of 69%, to about US$ 1.16 billion in 2022. This will account for about 38% of the total OLED material market.”

<Emitting material market forecast by country, source: UBI Research>

What’s the change for full screen implementation?

After Apple launched iPhoneX, applied with notch OLED to implement a wider full screen in 2017, many smartphone makers such as Huawei, Vivo and Oppo started to introduce similar types of smartphones.

 

The total number of notch-type OLED smartphones, which have been revealed since 2017, is 36, accounting for 10% of total OLED smartphones.

The reason why smartphone makers apply notch-type display is to provide consumers with the large screen size in a limited phone size. However, in the notch type, there is a limitation in expanding the display area (DA), which is the ratio of the display to the smart phone, due to the camera and the front speaker. Thus, the smartphone makers seem to implement the camera function with adopting a popup method.

On June 12, Vivo introduced the smartphone NEX with DA 91.2%.The camera is embedded in the device in the form of a pop-up, and the display itself serves as a speaker and fingerprint sensor. By minimizing the bezel, Vivo achieved a full screen.

Oppo showcased Find X in Paris, France on June 19. Oppo also adopts the camera function as a pop-up method, similar to Vivo, to implement a full screen. It has a 3D face recognition sensor. DA of Oppo’s Find X is 93.8%, which is about 2.7% larger than that of Vivo. This is about 10% larger than Samsung Electronics’ Galaxy S8 +, which had the biggest DA in 2017, and 11% larger than iPhone X.

<Vivo NEX and Oppo Find X, source: netmag.pk, GSMArena>

Analysis of the average DA from 4Q 2017 to 2Q 2018 after the launch of the Notch model, shows that the notch type DA is about 9% and the camera pop type DA is about 17 % wid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martphones (excluding notch type). By switching the front camera into a pop-up form, more than 90% DA can be realized.

As such, smartphone makers are making various changes to realize full scree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how to minimize the bezel for the launching a smartphone with a wider DA.

What’s the change for full screen implementation?

After Apple launched iPhoneX, applied with notch OLED to implement a wider full screen in 2017, many smartphone makers such as Huawei, Vivo and Oppo started to introduce similar types of smartphones.

 

The total number of notch-type OLED smartphones, which have been revealed since 2017, is 36, accounting for 10% of total OLED smartphones.

The reason why smartphone makers apply notch-type display is to provide consumers with the large screen size in a limited phone size. However, in the notch type, there is a limitation in expanding the display area (DA), which is the ratio of the display to the smart phone, due to the camera and the front speaker. Thus, the smartphone makers seem to implement the camera function with adopting a popup method.

On June 12, Vivo introduced the smartphone NEX with DA 91.2%.The camera is embedded in the device in the form of a pop-up, and the display itself serves as a speaker and fingerprint sensor. By minimizing the bezel, Vivo achieved a full screen.

Oppo showcased Find X in Paris, France on June 19. Oppo also adopts the camera function as a pop-up method, similar to Vivo, to implement a full screen. It has a 3D face recognition sensor. DA of Oppo’s Find X is 93.8%, which is about 2.7% larger than that of Vivo. This is about 10% larger than Samsung Electronics’ Galaxy S8 +, which had the biggest DA in 2017, and 11% larger than iPhone X.

<Vivo NEX and Oppo Find X, source: netmag.pk, GSMArena>

Analysis of the average DA from 4Q 2017 to 2Q 2018 after the launch of the Notch model, shows that the notch type DA is about 9% and the camera pop type DA is about 17 % wid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smartphones (excluding notch type). By switching the front camera into a pop-up form, more than 90% DA can be realized.

As such, smartphone makers are making various changes to realize full scree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how to minimize the bezel for the launching a smartphone with a wider DA.

OLED 재료업체, 중국으로 가는 까닭은

최근 OLED 재료업체가 중국에 R&D센터를 설립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중국 청두에 OLED 재료 테크 센터를 설립하는 것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Merck 또한 지난 20일 상하이에 OLED Technology Center China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Merck의 관계자는 ‘OLED Technology Center China 설립을 통해 중국 업체들과의 긴밀한 협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 센터는 상하이에 위치함으로써 중국 업체들과 이상적인 솔루션을 창출할 수 있는 공동 작업 공간으로 활용될 것’이라 말했다.

OLED 재료업체들의 이러한 행보는 점차 커져가는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에 거점을 구축할 경우, 중국 시장에 특화된 현지화 전략을 구사가 용이하고 공급업체를 확보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중국의 OLED 시장은 매출액 기준 연평균 75% 성장하고 이는 현재 가장 큰 시장인 한국 대비 4배 이상 빠르다.

또한, 6월 발간한 ‘2018 OLED 발광재료 산업 보고서’에서 유비리서치는 ‘한국의 OLED 발광재료 시장이 연평균 21%씩 성장하는데 반해, 중국의 OLED 발광재료 시장은 연평균 69%씩 성장하여 2022년 약 16.1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고 설명했다. 이는 전체 OLED 발광재료 시장의 약 38% 수준이다.

<국가별 발광재료 시장 전망, 출처:유비리서치>

full screen 구현을 위한 변화, 어디까지?

2017년 Apple이 더 넓은 full screen을 구현하기 위해 노치형태의 OLED를 적용한 iPhoneX를 출시한 이후, Huawei와 Vivo, Oppo 등 다수의 스마트폰 업체들이 유사한 형태의 스마트폰을 잇따라 출시하기 시작하였다.

2017년부터 지금까지 공개된 노치형태의 OLED 스마트폰은 총 36종으로 전체 OLED 스마트폰의 10%를 차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스마트폰 업체가 노치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적용한데에는 제한된 스마트폰 크기에서 최대한 큰 화면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노치형태는 카메라와 전면 스피커로 인해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비율인 DA(display area)를 확장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어, 스마트폰 업체는 카메라를 팝업 형태로 구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12일 Vivo는 DA가 91.2%인 스마트폰 NEX를 공개하였다. Vivo는 카메라는 팝업 형태로 기기에 내장하고, 디스플레이 자체가 스피커와 지문 인식 센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베젤을 최소화하여 full screen을 구현하였다.

Oppo는 19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Find X를 공개했다. Oppo 또한 full screen을 구현하기 위해 Vivo와 마찬가지로 전면 카메라를 팝업형태로 적용하였으며, 3D 얼굴인식센서를 갖췄다. Oppo의 Find X의 DA는 93.8%로 Vivo대비 약 2.7%가 커졌다. 이는 2017년 가장 큰 DA를 가졌던 스마트폰인 Samsung Electronics의 Galaxy S8+ 대비 약 10%, iPhone X 대비 11% 가량 넓어진 것이다.

<Vivo NEX와 Oppo Find X, 출처: netmag.pk, GSMArena>

노치형태가 출시 된 2017년 4분기부터 2018년 2분기까지의 형태별 평균 DA를 분석해보면, 기존 스마트폰(노치형태 제외) 대비 노치형태의 DA는 약 9%, 카메라 팝업형태의 DA는 17% 가량 더 넓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면 카메라를 팝업 형태로 전환함으로써 90%이상의 DA구현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처럼 스마트폰 업체들은 full screen 구현을 위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어떠한 방식을 통해 베젤을 최소화하고 보다 넓은 DA를 가진 스마트폰을 출시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곧 출시 될 OLED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크기 더 커진다

최근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홈버튼이 제거 되고 대형 크기의 full screen OLED가 적용 된 스마트폰이 다수 출시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 8월에 출시 예상되는 Samsung Electronics의 Galaxy Note 9은 6.4 inch 급의 OLED가 적용 될 것으로 예상된다. Galaxy Note series 중 최초로 홈버튼이 제거 된 Galaxy Note 8에 비해 0.1 inch가 증가한 것이다.

또한, Apple도 하반기에 출시 되는 iPhone series에 6.5 inch 급의 OLED가 적용 된 스마트폰을 출시 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 iPhone 6+ 모델 이후로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크기를 증가시킨 Apple은 올 하반기에 iPhone plus 모델에 6.5 inch 급의 OLED를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도 Huawei가 하반기에 출시 할 예정인 Mate 20에 6.9 inch OLED를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시장에서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디스플레이가 더 큰 스마트폰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 중국 사용자들을 겨냥한 결정이라는 분석이 주를 이룬다.

OLED 스마트폰의 평균 디스플레이 크기는 2016년 5.45 inch와 2017년 5.58 inch로 5.5 inch 수준에 머물렀으나, 2018년에는 5.8 inch 이상의 OLED 스마트폰이 다수 출시되면서 평균 크기는 5.98 inch 대폭 증가하였다.

앞서 언급한 OLED 스마트폰 외에도 Samsung Electronics의 Galaxy A6 Star, Xiaomi의 Mi 8 Explorer, Asus의 Asus ROG Phone 등 6 inch 이상의 OLED가 적용 된 다수의 스마트폰이 출시를 앞두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을 통해 컨텐츠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와 함께 상향평준화 된 스마트폰 시장에서 디스플레이 크기를 통해 차별화를 시도하는 set 업체들의 전략과 맞물려 OLED 스마트폰의 평균 디스플레이 크기는 6.0 inch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Automobile OLED is going to lead automotive display market.

Last May, Audi announced that it implemented a camera function in the side mirrors of the electric vehicle SUV e-tron quattro and built an OLED display inside to realize an air resistance coefficient of 0.28 cd. Audi noted that this not only improves fuel efficiency, but also eliminates a blind spot to help drivers drive.

<Interior concept photo of Audi e-Tron released in 2015, Source: insideevs.com>

In addition, all the interior displays are applied with OLED in e-tron quattro. OLED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automotive displays because it can achieve higher contrast ratio, faster response speed, and higher visibility due to wide viewing angle, compared to LCD.

Continental corporation, a supplier of automotive parts, also introduced several advantages of mirrorless cars with two OLEDs on its homepage and stated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better visibility even in dark or rainy conditions.

Meanwhile, not only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but also Chinese panel makers are introducing various OLED products to market.

Samsung Display exhibited its rollable CID (center information display) and curved 12.4- inch CID, which can be used to adjust the screen size using OLEDs, in SID 2018 held in May.

<Samsung Display’s 12.4 inch curved CID applied with OLED>

Also, a variety of automotive products using OLEDs such as 6.22-inch unbreakable steering wheel OLED and 4.94-inch transparent OLED head up display HUD (head up display) were introduced.

BOE exhibited 12.3-inch automotive flexible OLEDs in SID 2018, and Tianma and Truly introduced automotive rigid OLEDs in Lighting Japan 2018 held in January 2018.

<12.3-inch flexible automotive OLED of BOE>

Since the automotive display field requires more customization than mobile devices and TVs,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dustry that is expected to generate high added value.

Samsung Electronics emphasized the automotive OLED panel business as a future business at the Investors Forum held in Singapore in early June, and estimated that “OLED panels for electric field will grow from 100,000 sheets this year, to 1 million sheets in 2020 and 3 million sheets in 2022.”

Display size of OLED smartphone to be launched soon becomes bigger.

Many smartphones have been released, with large-sized full screen OLED while removing the home button.

Samsung Electronics’ Galaxy Note 9, scheduled to be launched this August, is expected to be applied with 6.4-inch OLED, according to the industry sources. It is 0.1 inches larger than the Galaxy Note 8 with the removed home button, for the first time in the Galaxy Note series.

In addition, Apple is expected to release a smartphone applied with 6.5-inch OLED, as the iPhone series,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pple, which has steadily increased its display size since the iPhone 6+ model in 2015, is anticipated to apply 6.5-inch OLED to iPhone plus models later this year.

Huawei is also expected to introduce 6.9-inch OLED for the Mate 20, which is scheduled to be launched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Most of analyses say that the decision has targeted Chinese users who tend to opt for a larger smartphone, in order to secure the leadership in the Chinese market.

The average display size of OLED smartphones stood at 5.45 inches in 2016 and 5.5 inches in 2017. In 2018, however, the average size has increased to 5.98 inches with the launch of 5.8 inches and larger OLED smartphone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OLED smartphones, Samsung Electronics’ Galaxy A6 Star, Xiaomi’s Mi 8 Explorer, Asus’s Asus ROG Phone, and many other smartphones with 6 inches or bigger sized OLED are to be released.

Recently, the smartphone market has been leveling up with many users who utilize various contents through smartphones. In line with the strategy of set makers trying to differentiate their products with the display sizes in the smartphone market, the average display size of OLED smartphones is likely to be more than 6.0 inches soon.

Display size of OLED smartphone to be launched soon becomes bigger.

Many smartphones have been released, with large-sized full screen OLED while removing the home button.

Samsung Electronics’ Galaxy Note 9, scheduled to be launched this August, is expected to be applied with 6.4-inch OLED, according to the industry sources. It is 0.1 inches larger than the Galaxy Note 8 with the removed home button, for the first time in the Galaxy Note series.

In addition, Apple is expected to release a smartphone applied with 6.5-inch OLED, as the iPhone series,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pple, which has steadily increased its display size since the iPhone 6+ model in 2015, is anticipated to apply 6.5-inch OLED to iPhone plus models later this year.

Huawei is also expected to introduce 6.9-inch OLED for the Mate 20, which is scheduled to be launched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Most of analyses say that the decision has targeted Chinese users who tend to opt for a larger smartphone, in order to secure the leadership in the Chinese market.

The average display size of OLED smartphones stood at 5.45 inches in 2016 and 5.5 inches in 2017. In 2018, however, the average size has increased to 5.98 inches with the launch of 5.8 inches and larger OLED smartphone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OLED smartphones, Samsung Electronics’ Galaxy A6 Star, Xiaomi’s Mi 8 Explorer, Asus’s Asus ROG Phone, and many other smartphones with 6 inches or bigger sized OLED are to be released.

Recently, the smartphone market has been leveling up with many users who utilize various contents through smartphones. In line with the strategy of set makers trying to differentiate their products with the display sizes in the smartphone market, the average display size of OLED smartphones is likely to be more than 6.0 inches soon.

Vivo released OLED smart phone with more than 90% display area.

Vivo, a Chinese Smartphone maker, announced on June 12 that it will launch a new full-screen OLED Smartphone ‘NEX’ as its flagship line.

NEX is the mass production model of ‘APEX’ which Vivo showed in MWC 2018 held in February. By hiding the camera at the top of the Smartphone and embedding fingerprint recognition in the display, Vivo accomplished D.A (display area) up to 91.2%.

The camera is provided in a pop-up form only when the picture is taken with the interfaced application. The speaker is built into the OLED display, and the display carries sound.

<Vivo’s new flagship model ‘NEX’, Source: netmag.pk>

Meanwhile, NEX is to be the first OLED Smartphone with over 90% D.A. Galaxy S8, the first full-screen OLED Smartphone with removing a home button, is 83.6% of D.A. D.A of the Vivo X20 Plus UD, the Smartphone that had the largest D.A to date, is 85.8%. According to GSMARENA, the NEX S, the high-end model of NEX, is equipped with a Snapdragon 845 processor, 8GB RAM, 128/256GB storage and 4000mAh battery in a 6.59 inch FHD OLED. The entry-level model NEX A is applied with Snapdragon 710 Processor, 6GB RAM and 128GB of storage on the same OLED display.

Vivo released OLED smart phone with more than 90% display area.

Vivo, a Chinese Smartphone maker, announced on June 12 that it will launch a new full-screen OLED Smartphone ‘NEX’ as its flagship line.

NEX is the mass production model of ‘APEX’ which Vivo showed in MWC 2018 held in February. By hiding the camera at the top of the Smartphone and embedding fingerprint recognition in the display, Vivo accomplished D.A (display area) up to 91.2%.

The camera is provided in a pop-up form only when the picture is taken with the interfaced application. The speaker is built into the OLED display, and the display carries sound.

<Vivo’s new flagship model ‘NEX’, Source: netmag.pk>

Meanwhile, NEX is to be the first OLED Smartphone with over 90% D.A. Galaxy S8, the first full-screen OLED Smartphone with removing a home button, is 83.6% of D.A. D.A of the Vivo X20 Plus UD, the Smartphone that had the largest D.A to date, is 85.8%. According to GSMARENA, the NEX S, the high-end model of NEX, is equipped with a Snapdragon 845 processor, 8GB RAM, 128/256GB storage and 4000mAh battery in a 6.59 inch FHD OLED. The entry-level model NEX A is applied with Snapdragon 710 Processor, 6GB RAM and 128GB of storage on the same OLED display.

자동차용 OLED, 자동차 디스플레이 시장 주도한다

Audi는 지난 5월 전기 자동차 SUV e-tron quattro의 사이드 미러를 카메라화 하고 내부에 OLED display를 탑재하여 공기 저항 계수를 0.28 cd까지 실현했다고 발표했다. Audi는 이를 통해 연료 효율 개선뿐만 아니라 사각 지대를 없애 운전자의 운전까지 도모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2015년에 공개 되었던 Audi e-tron의 인테리어 컨셉 사진, Source: insideevs.com>

뿐만 아니라 e-tron quattro에는 인테리어용 디스플레이에 모두 OLED가 적용됐다. OLED는 LCD에 비해 높은 명암비와 빠른 반응 속도, 넓은 시야각으로 높은 시인성을 구현할 수 있어 자동차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다고 평가 받고 있다.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인 Continental corporation도 자사 홈페이지에서 2장의 OLED가 적용 된 미러리스 자동차의 여러 장점들을 소개하며 어두운 상황이나 우천 시에도 더 나은 시야 제공이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Samsung Display나 LG Display 뿐만 아니라 중국 panel 업체들도 시장 공략을 위해 다양한 OLED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Samsung Display는 지난 5월에 열린 SID 2018에서 OLED를 활용하여 화면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rollable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와 12.4 inch 크기의 curved CID를 전시하였다.

<OLED가 적용 된 Samsung Display의 12.4 inch curved CID>

뿐만 아니라, 6.22 inch 크기의 unbreakable steering wheel OLED와 4.94 inch 크기의 transparent OLED가 적용 된 HUD(head up display) 등 OLED를 활용한 다양한 자동차용 제품들을 선보였다.

BOE도 SID 2018에서 12.3 inch 크기의 자동차용 flexible OLED를 전시하였으며, Tianma와 Truly는 2018년 1월에 열린 Lighting Japan 2018에서 자동차용 rigid OLED를 선보이기도 했다.

<BOE의 12.3 inch flexible automotive OLED>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분야는 모바일 기기나 TV에 비해 더 많은 customization이 필요하여 고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되는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Samsung Electronics는 지난 6월 초 싱가포르에서 투자자 포럼에서 자동차용 OLED 패널 사업을 미래 사업으로 강조하였으며, “올해 10만장 수준의 전장용 OLED 패널은 2020년 100만장, 2022년 300만장 수준으로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Vivo, display area가 90% 넘는 OLED 스마트폰 출시

현지시간으로 6월 12일, 중국 스마트폰 업체인 Vivo는 전면 대부분이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있는 풀스크린 OLED 스마트폰인 ‘NEX’를 플래그쉽 라인으로 새롭게 출시할 예정이라 밝혔다.

NEX는 지난 2월에 열린 MWC 2018에서 Vivo가 선보였던 ‘APEX’의 양산모델로써, Vivo는 카메라를 스마트폰 상단에 숨기고 지문인식 기능을 디스플레이에 내장시키는 방식으로 스마트폰 전면에서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비율인 D.A(display area)를 91.2%까지 구현했다.

카메라는 application과 연동되어 사진을 촬영 할 경우에만 팝업 형태로 제공되며, 스피커는 OLED 디스플레이에 내장 되어 디스플레이가 음향을 전달한다.

<Vivo의 새로운 flagship 모델인 ‘NEX’, Source: netmag.pk>

한편, D.A가 90%가 넘는 OLED 스마트폰은 NEX가 최초다. 홈버튼을 없앤 최초의 풀스크린 OLED 스마트폰인 Galaxy S8의 D.A는 83.6%이며, 기존의 최고 D.A를 가지고 있던 스마트폰인 Vivo X20 Plus UD의 D.A는 85.8%다.

한편 GSMARENA에 따르면, NEX의 하이엔드 모델인 NEX S에는 6.59 inch FHD OLED에 스냅드래곤 845 프로세서, 8GB 램, 128/256GB 스토리지, 4000mAh 배터리가 장착됐으며, 보급형 모델인 NEX A에는 동일 디스플레이에 스냅드래곤 710 프로세서, 6GB 램, 128GB 스토리지가 탑재됐다.

In Premium TV market, OLED portion is growing.

Following Bang & Olufsen and SONY, Philips’ OLED TV was launched in Korea on June 11, 2018.

Philips’ OLED TV, applied with LG Display’s OLED panel, is available in two models; 55 – inch and 65 – inch. It features a quad – core CPU, HDR 10, Dolby Vision and DTS surround.

<Philips OLED TV, Source: Philips>

In coming September, Germany’s Loewe plans to launch three (bild5, bild7, bild7 edition) 65-inch OLED TVs using LG Display’s panel, and also Hisense is scheduled to release OLED TV this month.

Especially, when Hisense, which is the leader in the Chinese TV market, releases OLED TVs, it is expected to enhance the awareness about OLED TV in China as well as increase the portion of OLED in the premium TV market.

In April, Kim Sang-don, CFO of LG Display, said in the conference call “The number of existing OLED camps was expanded to 15 from 13, adding two. LG Display will actively respond to increasing market demand by expanding productivity through the reduction of tack time and by converting Chinese fab and, if necessary, domestic LCD fab to OLED fab.”

In the ‘OLED/Display comprehensive seminar’ held by UBI Research, So Hyun-chul, director of Shinhan Financial Investment, said that Sony ranked the first in the premium TV market in 12 years and Sony’s share price rose 445% with its main driving force of OLED TV.

In addition, LG Electronics’ HE division achieved an operating margin of 8.1% last year. In the major set makers, OLED seems to be the Key factor that increases the company’s sales and improves the market share in the premium TV market. As such, OLED portion is anticipated to expand further in the premium TV market.

Meanwhile, UBI Research predicts that OLED TV sales will be increased by about 30% annually and the revenue is projected as about US$ 5.7 billion in 2022 through the ‘2018 OLED Panel Industry Report’, which was published in February.

In Premium TV market, OLED portion is growing.

Following Bang & Olufsen and SONY, Philips’ OLED TV was launched in Korea on June 11, 2018.

Philips’ OLED TV, applied with LG Display’s OLED panel, is available in two models; 55 – inch and 65 – inch. It features a quad – core CPU, HDR 10, Dolby Vision and DTS surround.

<Philips OLED TV, Source: Philips>

In coming September, Germany’s Loewe plans to launch three (bild5, bild7, bild7 edition) 65-inch OLED TVs using LG Display’s panel, and also Hisense is scheduled to release OLED TV this month.

Especially, when Hisense, which is the leader in the Chinese TV market, releases OLED TVs, it is expected to enhance the awareness about OLED TV in China as well as increase the portion of OLED in the premium TV market.

In April, Kim Sang-don, CFO of LG Display, said in the conference call “The number of existing OLED camps was expanded to 15 from 13, adding two. LG Display will actively respond to increasing market demand by expanding productivity through the reduction of tack time and by converting Chinese fab and, if necessary, domestic LCD fab to OLED fab.”

In the ‘OLED/Display comprehensive seminar’ held by UBI Research, So Hyun-chul, director of Shinhan Financial Investment, said that Sony ranked the first in the premium TV market in 12 years and Sony’s share price rose 445% with its main driving force of OLED TV.

In addition, LG Electronics’ HE division achieved an operating margin of 8.1% last year. In the major set makers, OLED seems to be the Key factor that increases the company’s sales and improves the market share in the premium TV market. As such, OLED portion is anticipated to expand further in the premium TV market.

Meanwhile, UBI Research predicts that OLED TV sales will be increased by about 30% annually and the revenue is projected as about US$ 5.7 billion in 2022 through the ‘2018 OLED Panel Industry Report’, which was published in February.

프리미엄 TV 시장, OLED 비중 확대

Bang&Olufsen과 SONY에 이어 지난 11일 필립스의 OLED TV가 국내에 출시됐다.

LG Display의 OLED 패널이 적용된 필립스의 OLED TV는 55 inch와 65 inch 2가지 모델로 출시되었으며, 쿼드코어 CPU와 HDR 10, Dolby Vision, DTS 서라운드 등의 기능을 갖췄다.

<필립스 OLED TV, 출처: 필립스>

오는 9월 독일의 Loewe도 LG Display의 패널을 이용한 65 inch OLED TV 3종(bild5, bild7, bild7 edition)을 국내에 출시할 예정이며, 하이센스도 이르면 이번 달부터 OLED TV를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국의 TV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하이센스가 OLED TV를 출시할 경우, 중국 내 OLED TV 인지도 향상뿐 아니라 프리미엄 TV 시장에서의 OLED 비중을 확대시키는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4월 LG Display의 김상돈 CFO는 컨퍼런스 콜을 통해 기존 OLED 진영은 13곳이었으나, 2곳이 추가되어 15곳으로 확대되었다고 설명하면서, ‘tack time 축소를 통해 생산성 확대와 중국 fab, 필요 시 국내 LCD fab을 OLED fab으로 전환하여 증가하고 있는 시장 수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 밝혔다.

앞서 유비리서치가 개최한 ‘OLED/디스플레이 결산세미나’에서 신한금융투자의 소현철 이사는 Sony가 12년 만에 premium TV 시장에서 1위를 기록하였다고 언급하며 Sony의 주가가 2013년 대비 445% 상승한 원동력 중 하나로 OLED TV였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지난해 LG전자의 HE사업본부는 영업이익률이 8.1%로 역대 최고치에 달성하였다. 주요 set 업체에서는 OLED가 기업의 매출 상승과 프리미엄 TV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높이는 요소라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향후 프리미엄 TV 시장에서의 OLED 비중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유비리서치는 2월 발간한 ‘2018 OLED Panel Industry Report’를 통해 OLED TV의 매출액은 연평균 약 30% 증가하여 2022년 약 57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Samsung Display’s 1Q 2018 shipment declined, but it is expected to recover in 2Q.

According to UBI Research’s first quarter display market track, Samsung Display’s OLED shipments for smart phones dropped to 88 million units, down 26.0% from the previous quarter, and 4.7% year-on-year decrease.

On the other hand, the sales revenue was US$ 5.37 billion, down 32.4% from the previous quarter and 30.4% year-on- year increase.

<Samsung Display’s sales performance of OLED for Smartphone, 1Q, 2018>

For rigid OLED, the utilization rate of rigid OLED mass production lines dropped in 1Q due to the keeping adoption of LCD in Samsung Electronics’ entry-level model and the decline in demand from Chinese set makers. For flexible OLED, its capacity utilization rate also declined due to falling demand from Apple and sluggish sales of Galaxy S series .

UBI Research mentioned,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the sales were sluggish due to falling demand of set makers; however, the full-screen rigid OLED demand began to increase in April, and accordingly the utilization rate of rigid OLED production lines began to rise gradually. From June, the utilization rate is expected to recover to the previous year level. Also, the flexible OLED mass production lines will be likely to be in full operation since Samsung Electronics will start mass production of the next model and Apple will start mass production of new models.”

The overall OLED market was totaled as US $ 6.12 billion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of which the OLED market for smart phones was 91.1% and the market of OLED for TV was 5.7%.

The OLED market for smartphones is projected to reach 4.4 billion units in 2018, and Samsung Display is expected to hold a market share of 93.4%.

<2018 OLED market forecast>

Market for OLED materials and components is forecast to grow to US$37 billion in 2022.

In the 2018 OLED material and component report and Market Track published by UBI Research, the entire market for OLED materials and components market is expected to grow at a CAGR of 29% by 2022, forming a market of US$ 37 billion in 2022.

<Market forecast for OLED materials and components>

The overall OLED material and component market forecasted in this report is calculated based on the panel makers’ available capacity and includes all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for OLED production.

The total OLED material and component market is counted as US$ 9,794 million in 2017 and is expected to grow by 35% to US$ 13,264 million in 2018.

Major growth drivers are mentioned as capacity expansion of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inclusive of Gen6 flexible OLED mass production lines of Chinese panel makers.

UBI Research commented “Utilization of Samsung Display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was poor, but it is turning to normal from the second quarter, and LG Display and Chinese panel makers are also aiming to mass-produce this year. In particular, it will have a major impact on the growth of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market in 2018 whether Samsung Display’s A4, LG Display’s E5, E6 and BOE’s B7 lines will be in full operation.”

In the 2018 OLED material and component report, the market is forecast for 20 kinds of major materials and components used in OLED for mobile devices and large-area OLED, including substrate glass, carrier glass, PI and organic materials for TFT. In addition, the report covers industry trends and key issues related to the core materials, while Market Track forecasts the expected purchase volume and purchase amount by panel makers.

Market for OLED materials and components is forecast to grow to US$37 billion in 2022.

In the 2018 OLED material and component report and Market Track published by UBI Research, the entire market for OLED materials and components market is expected to grow at a CAGR of 29% by 2022, forming a market of US$ 37 billion in 2022.

<Market forecast for OLED materials and components>

The overall OLED material and component market forecasted in this report is calculated based on the panel makers’ available capacity and includes all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for OLED production.

The total OLED material and component market is counted as US$ 9,794 million in 2017 and is expected to grow by 35% to US$ 13,264 million in 2018.

Major growth drivers are mentioned as capacity expansion of Samsung Display and LG Display inclusive of Gen6 flexible OLED mass production lines of Chinese panel makers.

UBI Research commented “Utilization of Samsung Display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was poor, but it is turning to normal from the second quarter, and LG Display and Chinese panel makers are also aiming to mass-produce this year. In particular, it will have a major impact on the growth of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market in 2018 whether Samsung Display’s A4, LG Display’s E5, E6 and BOE’s B7 lines will be in full operation.”

In the 2018 OLED material and component report, the market is forecast for 20 kinds of major materials and components used in OLED for mobile devices and large-area OLED, including substrate glass, carrier glass, PI and organic materials for TFT. In addition, the report covers industry trends and key issues related to the core materials, while Market Track forecasts the expected purchase volume and purchase amount by panel makers.

Samsung Display’s 1Q 2018 shipment declined, but it is expected to recover in 2Q.

According to UBI Research’s first quarter display market track, Samsung Display’s OLED shipments for smart phones dropped to 88 million units, down 26.0% from the previous quarter, and 4.7% year-on-year decrease.

On the other hand, the sales revenue was US$ 5.37 billion, down 32.4% from the previous quarter and 30.4% year-on- year increase.

<Samsung Display’s sales performance of OLED for Smartphone, 1Q, 2018>

For rigid OLED, the utilization rate of rigid OLED mass production lines dropped in 1Q due to the keeping adoption of LCD in Samsung Electronics’ entry-level model and the decline in demand from Chinese set makers. For flexible OLED, its capacity utilization rate also declined due to falling demand from Apple and sluggish sales of Galaxy S series .

UBI Research mentioned,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the sales were sluggish due to falling demand of set makers; however, the full-screen rigid OLED demand began to increase in April, and accordingly the utilization rate of rigid OLED production lines began to rise gradually. From June, the utilization rate is expected to recover to the previous year level. Also, the flexible OLED mass production lines will be likely to be in full operation since Samsung Electronics will start mass production of the next model and Apple will start mass production of new models.”

The overall OLED market was totaled as US $ 6.12 billion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of which the OLED market for smart phones was 91.1% and the market of OLED for TV was 5.7%.

The OLED market for smartphones is projected to reach 4.4 billion units in 2018, and Samsung Display is expected to hold a market share of 93.4%.

<2018 OLED market forecast>

삼성디스플레이 1사분기 출하실적 하락, 2사분기 회복 전망

유비리서치의 1사분기 디스플레이 마켓트랙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26.0%, 전년대비 4.7% 감소한 8,800만개로 집계되었다.

반면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32.4% 감소, 전년대비 30.4% 증가한 53.7억 달러로 집계되었다.

<1사분기 삼성디스플레이 스마트폰용 OLED 실적>

Rigid OLED는 삼성전자의 보급형에 LCD 채택 유지와 중국 set업체의 수요감소로 rigid OLED 양산라인 가동률이 1사분기에 하락하였으며, flexible OLED도 Apple의 수요감소와 Galaxy S series의 실적 부진으로 가동률이 감소하였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1사분기는 set 업체들의 수요 감소로 실적이 저조하였지만, 4월부터 full screen rigid OLED 수요 증가로 rigid OLED 양산라인 가동률이 점차 상승하기 시작하였다. 6월부터는 전년수준으로 가동률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flexible OLED 양산라인에서도 삼성전자의 차기모델 조기 양산과 Apple의 신모델 양산이 시작되어 다시 풀가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라고 밝혔다.

OLED 전체 시장은 2018년 1사분기 61.2억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이중 스마트폰용 OLED 시장은 91.1% 대면적 OLED 시장은 5.7%로 집계되었다.

2018년 스마트폰용 OLED 시장 예상규모는 4.4억개로 전망되며 삼성디스플레이가 93.4%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도 업체별 스마트폰용 OLED 출하 점유율 전망>

상반기 OLED 시장 결산과 주요 기술 분석

OLED 시장조사 전문 리서치 업체인 유비리서치는 오는 6월 28일(목)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3층에서  ‘상반기 OLED 시장 결산과 주요 기술 분석 세미나’를 개최한다.

2018년 상반기 OLED 시장을 결산을 통해 주요 이슈를 되짚어 보고 OLED 산업을 투자, 경제 관점으로 분석하여 2018년 하반기 시장과 기술을 전망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또한 이번 세미나는 차세대 OLED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OLED 조명, Stretchable, wearable, AR/VR, Micro LED 등 관련분야 핵심 전문가분들을 모시고 OLED 미래 기술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를 미리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미나의 주제는 △’ 2018 상반기 프리미엄 TV시장 이슈와 전망’ △’2018 상반기 OLED 스마트폰 시장 이슈와 전망’ △ ‘폴더블 스마트폰과 BLUE TV 시장 전망’ △’차세대 OLED 어플리케이션인 스트레처블, 웨어러블 등’ △’가상 증강 현실 기기와 오토모티브 응용 현황 및 전망 ’ △ ‘마이크로 LED 기술 동향 및 전망’ △ ‘OLED 조명 기술 동향 및 전망’ 등의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이번 세미나는 빠르게 진화하는 디스플레이 시장의 전망과 기술 트랜드를 예측하여 업체들의 시장 현황과 기술 변화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OLED 부품소재시장 2022년 US$ 37,000 million 전망

유비리서치에서 발간한 2018 부품소재 산업 보고서와 마켓트랙에서는 OLED 전체 부품소재 시장이 2022년까지 연평균 29%로 성장하여 US$ 37,000 million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OLED 부품소재 시장 전망>

본 보고서에서 전망한 전체 OLED 부품소재 시장은 panel 업체의 공급가능 물량 기준으로 산출되었으며 OLED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소재를 포함한 수치이다.

전체 OLED 부품소재 시장은 2017년 US$ 9,794 million으로 집계되었으며 2018년은 35% 성장한 US$ 13,264 million로 전망된다.

주요 성장요인으로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 Display, 중국 panel 업체들의 Gen6 flexible OLED 양산라인 capa 증가를 꼽았다.

유비리서치는 “1사분기 삼성디스플레이의 가동률은 저조한 편이었지만 2사분기부터 정상화로 돌아서는 추세이며, LG Display와 중국 panel 업체들도 올해 본격적인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의 A4와 LG Display의 E5, E6, BOE의 B7라인의 정상가동 여부가 2018년 전체 부품소재 시장 성장여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간된 2018 부품소재 산업 보고서에서는 기판용 유리와 carrier 유리, PI, TFT용 유기재료 등을 비롯하여 모바일과 대면적 OLED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소재 20종에 대해 시장 전망하고 있다. 또한 보고서에서는 핵심소재들에 대한 산업동향과 주요 이슈들을 다루고 있으며 마켓트랙에서는 panel 업체별 예상 구매량과 구매금액을 전망하고 있다.

가상현실 주도하는 OLED 초고해상도 경쟁 시작됐다.

최근 VR 기기 set 업체들과 OLED panel 업체들이 mobile 기기보다 뛰어난 해상도의 OLED가 적용 된 VR 기기와 VR 기기용으로 제작 된 초고해상도 OLED를 선보이며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지난 CES 2018에서 공개 된 VIVE PRO가 최근 신제품 발표회를 통해 국내에 공식 런칭되었다. VIVE PRO는 전작인 HTC VIVE의 448ppi 보다 78% 향상 된 615ppi 해상도의 OLED가 탑재되었다.

<HTC VIVE Pro, Source: vive.com>

뿐만 아니라 최근 OLED panel 업체들도 VR 기기용 초고해상도 OLED를 다수 선보이고 있다. 지난 SID 2018에서 LG Display는 Google과 공동 개발한 1443ppi VR기기용 OLED를 공개했다. 기존의 OLED는 538ppi 수준이었으나 LG Display는 WRGB + CF 방식을 적용하여 UHD(3840 x 4800) 해상도를 구현했다.

<SID 2018에서 공개 된 LG Display의 1443ppi OLED>

Samsung Display도 SID 2018에서 1,200 ppi 해상도의 2.43 inch OLED panel 2개로 제작된 VR 기기를 전시하였다. RGB OLED가 적용 된 이 VR기기는 전년도 858ppi 보다 해상도가 더욱 더 향상 된 OLED가 적용되었다.

Sony도 지난 5월 4,032ppi의 VR 기기용 micro OLED인 ‘ECX339A’의 상용화를 발표하였다. 크기는 0.5 inch로 240fps까지의 프레임 속도 지원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산시기는 2018년 11월이다.

VR 기기는 눈과 디스플레이 사이의 거리가 매우 짧기 때문에, 해상도가 낮으면 디스플레이의 픽셀 무늬들이 격자 형태로 보이는 ‘모기장(Side door effect)’ 현상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며 현실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panel 업체에서는 고해상도 OLED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Sony나 Facebook(Oculus VR) 같은 set 업체에서도 고해상도 OLED를 VR 기기에 적용하고 있다.

최근 들어 Set 업체 뿐만 아니라 OLED panel 업체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기존보다 더욱 더 업그레이드 된 고해상도의 OLED와 VR기기를 다수 선보이고 있어 향후 더욱 더 높은 해상도의 VR용 기기가 상용화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The competition for ultra-high resolution of OLED that led virtual reality was started.

Recently, set makers are introducing VR devices with higher resolution OLED than mobile devices, and OLED panel makers are focusing attention on developing ultra-high-resolution OLEDs designed for VR devices.

VIVE PRO, which was unveiled at CES 2018, was officially launched in Korea through a new product presentation. VIVE PRO is equipped with 3K resolution and 615ppi OLED, which are upgraded 78% from 448ppi of the previous HTC VIVE.

<HTC VIVE Pro, Source: vive.com>

In addition, OLED panel makers has introduced a number of ultra-high-resolution OLEDs for VR devices. In SID 2018, LG Display unveiled an OLED for 1443ppi VR device, jointly developed with Google. The resolution of conventional OLEDs was at 538ppi level, but LG Display accomplished UHD (3840 x 4800) resolution by applying WRGB + CF.

<LG Display’s 1443ppi OLED, introduced in SID 2018>

Samsung Display also exhibited VR devices made with two 2.43-inch OLED panels at 1,200ppi resolution in SID 2018. The resolution of this VR device, applied with RGB OLED, is much higher than the previous year’s 858ppi.

Sony also announced the commercialization of ‘ECX339A’, a micro OLED for 4,032ppi VR devices, in May. It is also possible to support a frame rate of up to 240fps at 0.5 inches in size. The mass production schedule is November 2018.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and the display is very short, a VR device shows a ‘side door effect’ in which the pixel patterns of the display are displayed in a lattice form when the resolution is low. As this problem increases eye fatigue and diminishes the reality, panel makers are focusing on high-resolution OLED development, and set makers such as Sony and Facebook (Oculus VR) are applying high-resolution OLEDs to the VR devices.

Recently, not only set makers but also OLED panel makers have introduced a number of high-resolution OLED and VR devices, which have been upgraded more than ever before. Attention is growing whether higher resolution VR devices will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Xiaomi re-adopts OLED in two years.

After two years of the launch of Redmi Pro and Mi Note2 in 2016, Xiaomi adopted OLED again.

On May 31, Xiaomi unveiled its flagship smartphones such as Mi8, Mi8 Explorer Edition, Mi8 SE, and its smart watch Mi band3, to mark the eighth anniversary of its founding.

Xiaomi implemented the full-screen by applying a notch design to the Mi8. The size of the OLED applied to the Mi8 is 6.21 inch and the resolution is 2248×1080 (402ppi). The display area, which represents the percentage of display to smartphone, is 83.8%.

Compared with the iPhoneX, it features the same notch design, OLED application, and vertical dual camera. However, the size of the display is about 0.4 inch bigger, and the display area is about 0.9% wider. Unlike iPhoneX,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re is a bezel at the bottom.

<Comparison between iPhoneX and Mi8, source: GSMARENA>

Compared to the Redmi Pro launched in 2016, the display increased by about 21%, DA by about 16%. In comparison with the Mi Note2, the display was widened by about 9% and DA by about 13%.

<Comparison of display size and display area for the smartphones applied with OLED>

The display of the Mi8 Explorer Edition has the same specifications as the Mi8. However, you can see the parts of the smart phone directly by eye because the back side is transparent. Like the VivoX21, fingerprint recognition is possible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Xiaomi’s Mi8 SE applies with a 5.88-inch OLED with a resolution of 1080×2244 (423ppi), and Mi band3, the successor to Mi band2, has a 0.78-inch OLED.

The Mi8 and Mi8 SE is to be released on June 5 and 8 and will be sold for RMB 2,699 (about Korean Won 450,000) and RMB 1,799 yuan (about Korean Won 300,000 won) respectively. The release date of Mi8 explorer is not yet fixed and its supply price is expected to be RMB 3,699 (about Korean Won 620,000).

샤오미, 2년만에 OLED 다시 채용

샤오미가 2016년 출시한 Redmi Pro와 Mi Note2 이후 2년만에 다시 OLED를 채용하였다.

지난 31일(현지시간) 샤오미는 창립 8주년을 기념하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Mi8, Mi8 Explorer Edition, Mi8 SE과 스마트 워치인 Mi band3을 공개했다.

샤오미는 Mi8에 노치 디자인을 적용하여 full-screen을 구현했다. Mi8에 적용된 OLED의 크기는 6.21 inch이며, 해상도는 2248×1080(402ppi)이다.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display area는 83.8% 수준이다.

iPhoneX와 비교해보면 노치 디자인과 OLED 적용, 수직형 듀얼카메라를 탑재한 점이 동일하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크기는 약 0.4 inch 커졌으며, display area는 약 0.9%가량 넓어졌다. 그리고 iPhoneX와는 달리 하단에 베젤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iPhoneX와 Mi8 비교, 사진출처: GSMARENA>

2016년 출시한 Redmi Pro와 비교해보면 디스플레이는 약 21%, DA는 약 16%가량 커졌으며, Mi Note2 대비 디스플레이는 약 9%, DA는 약 13%가량 넓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OLED가 탑재된 스마트폰의 display size와 display area 비교, 사진출처: GSMARENA>

Mi8 Explorer Edition의 디스플레이는 Mi8과 동일한 스펙을 갖는다. 그러나 뒷면이 투명하게 만들어져 있어 스마트폰의 부품소재들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vivoX21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 전면에서 지문인식이 가능하다.

샤오미의 Mi8 SE에는 1080×2244(423ppi) 해상도를 가지는 5.88 inch의 OLED가 적용되었으며, Mi band2 후속 모델인 Mi band3에는 0.78 inch OLED가 탑재되었다.

Mi8과 Mi8 SE는 6월 5일, 8일 출시되어 각각 2,699위안(약 45만원), 1,799위안(약 30만원)에 판매될 예정이다. Mi8 explorer의 출시일은 미정이나 3,699위안(약 62만원)에 공급될 예정이다.

[SID 2018] OLEDON, presented about X-mixing plane source deposition technology for AMOLED efficiency enhancement.

In SID 2018, Hwang Chang-Hoon, CEO of OLEDON, announced a new plane source FMM deposition technology that can produce ultra-high resolution AMOLED of 2,250 ppi.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the linear source currently applied to mass production has a problem of causing superimposition of fine adjacent patterns in a high resolution implementation due to a shadow distance of 3 μm. But Hwang said he succeeded in reducing the shadow distance of the patterns by 0.18 um using plane source, which is the smallest shadow distance ever introduced.

<Shadow effect comparison between current process and the process applied with the plane source, Source: OLEDON>

Hwang added that he developed ‘X-mixing’ technology in which the host and dopant thin films were separately deposited on the metal surface and then the host molecules and dopant molecules were automatically diffused through the plane evaporation to form the light emitting layer. Hwang commented,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composition of the dopant by using the linear source evaporation technology, which vaporizes the host material and the dopant material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X-mixing technology can control the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a material utilization rate up to 4 time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SIMS data comparison between the emitting layer deposited by conventional method and the emitting layer deposited by the plane source, Source: OLEDON>

<Dopant gradient data of the emitting layer applied with X-mixing technology, Source: OLEDON>

Hwang said, “In case of green OLED produced by X-mixing technology, 40% improvement in the emitting efficiency was verified, compared to the existing technology. OLEDON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of the optimized X- mixing development for forming exciton and the mask aligner with new concept sub-micron precision.

<Luminance data for green OLED produced by X-mixing technology and green OLED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Source: OLEDON>

Finally, Mr. Hwang mentioned that based on the development results, he plans to install a plane source FMM evaporator capable of manufacturing ultra-high resolution micro OLED devices in Dankook University.  (Reference: OLEDON homepage: www.oledon.co.kr)

Sony, UXGA 해상도의 0.5 inch micro OLED 상용화 발표

Sony는 UXGA 해상도의 0.5 inch OLED micro display인 ‘ECX339A’의 상용화를 발표하였다. Sony는이 제품이 세계에서 가장 작은 6.3 um 픽셀 피치(pixel pitch)를 달성하여 이전 제품인 ECX337A”(0.5 인치 QVGA (1280 × 960) 대비 1.6배의 고해상도 구현에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Sony의 0.5 inch micro OLED ‘ECX339A’, Source: sony.co.jp>

또한, 기존 대비 50% 전압에서 동작하는 새로운 구동 회로가 적용되어 저전력 구동과 함께 dual-line progressive 구동 방식을 통해 240fps까지의 프레임 속도 지원도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신 제품(좌)과 기존 제품(우) micro OLED 해상도 비교, Source: sony.co.jp>

Sony에 따르면, 기존의 micro display의 고해상도화는 픽셀 피치 축소에 따른 화질 저하와 시야각 특성 악화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Sony의 트랜지스터 레이아웃과 프로세스의 최적화, 보정 회로 적용을 통해 이를 개선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color filter를 직접 실리콘 기판에 형성하여 발광층과의 거리를 줄이고, color filter의 색 배치를 고안하여 시야각 특성을 향상하고 고해상도를 실현하였다고 설명했다.

<신 제품(좌)과 기존 제품(우)의 구조와 시야각 특성 이미지, Source: sony.co.jp>

ECX339A의 예정 양산시기는 2018년 11월이며 샘플 가격은 50,000엔(세금 별도)로 책정 되었다. Sony는 이번 제품이 화질 요구가 가장 많은 하이엔드 카메라와 가상현실용 HMD(head mounted display)에 적용 될 것으로 예상했다.

<ECX339A 주요 사양, Source: sony.co.jp>

Sony, announced the commercialization of 0.5-inch micro OLED with UXGA resolution

Sony announced the upcoming release of the ‘ECX339A’, a 0.5-inch OLED micro-display with UXGA resolution. According to Sony, it has achieved the world’s smallest pixel pitch of 6.3 μm, enabling a resolution 1.6 times higher than its predecessor, “ECX337A “(0.5-inch QVGA (1280 × 960)).

<Sony’s 0.5 inch micro OLED ‘ECX339A’, Source: sony.co.jp>

By employing newly-designed peripheral circuits that operate on half the voltage of previous model, it supports a high frame rate of up to 240 fps, with dual line progressive driving technique and low power operation.

<Comparison of OLED resolution between new product(left) and previous product(right), Source: sony.co.jp>

According to Sony, the high resolution of the existing micro display had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in picture quality and deterioration in viewing angle due to pixel pitch reduction; however, they have been improved by Sony’s transistor layout, process optimization, and compensation circuit. In addition, the color filter is deposited directly on the silicon substrate, reducing its distance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filter’s color array has been modified to secure the viewing angle properties while achieving high resolution.

<Structure and viewing angle image, new product (left) and previous product (right), Source: sony.co.jp>

The mass production schedule for the ECX339A is November 2018, and the sample price is set at JPY 50,000 (Tax not included). Sony expects this product to be applied to high-end cameras and head-mounted displays for virtual reality, which require the highest picture quality.

<ECX339A, key specifications, Source: sony.co.jp>

 

[SID 2018] OLEDON, AMOLED 효율 향상용 X-mixing 면소스 증착 기술 발표

SID 2018에서 OLEDON의 황창훈 대표는 2,250ppi의 초고해상도 AMOLED를 제작 할 수 있는 새로운 면소스 FMM 증착기술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현재 양산에 적용 중인 리니어 소스는 3um의 섀도우 거리(shadow distance)로 인해 고해상도 구현 시 미세 인접 패턴들의 중첩을 발생시키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황대표는 면소스를 이용해 패턴들의 섀도우 거리를 0.18 um까지 줄이는데 성공하였다고 밝혔으며, 이는 현재까지 발표 된 섀도우 거리 중 가장 최소의 섀도우 거리라고 설명했다.

<기존 공정과 면소스를 이용한 공정의 섀도우현상(shadow effect) 비교, Source: OLEDON>

아울러 황대표는 호스트박막과 도판트박막을 따로 금속면에 증착 한 후 면증발을 통해 호스트 분자와 도판트 분자가 자동 확산되어 발광층이 형성되는 ‘X-mixing’기술을 개발하였다고 발표하였다. 황대표는 “기존 기술인 호스트 물질과 도판트 물질을 동시에 기화되는 리니어 소스 증착기술로는 도판트의 조성 제어가 쉽지 않으나, X-mixing 기술은 조성 제어가 자유자재로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대비 4배까지 향상 된 물질 사용률 달성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기존방식으로 증착 된 발광층과 면소스로 증착 된 발광층의 SIMS 데이터, Source: OLEDON>

<X-mixing 기술로 얻은 발광층의 dopant gradient 데이터, Source: OLEDON>

황대표는 “X-mixing 기술로 제작한 green OLED의 경우 기존 기술보다 40% 향상 된 발광효율을 확인하였다”고 언급하며 “OLEDON은 현재 소자의 발광효율향상을 목적으로 엑시톤형성의 최적화 된 X-mixing 개발과 신개념의 sub-micron 정밀도를 지닌 mask aligner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X-mixing 기술로 제작 된 green OLED와 기존 방식으로 제작 된 green OLED의 발광 데이터, Source: OLEDON>

마지막으로 황대표는 이번 개발결과를 토대로 초고해상도 마이크로 OLED 소자의 제조가 가능한 연구용 면소스 FMM 증착기를 단국대학교내에 설치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참고:OLEDON사의 홈페이지 www.oledon.co.kr)

[SID2018] 중국의 깜찍한 OLED 반격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의 독점으로 여겨졌던 flexible OLED 시장에 중국 패널 기업들의 참여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번 SID 전시회에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중국 패널 기업들이 대거 flexible OLED를 전시한 것이다.

Flexible OLED를 생산중인 중국 OLED 대표 기업인 BOE는 foldable OLED를 중심으로 전시회를 구성했다. 5.99인치 FHD in-folding OLED와 7.56인치 QXGA out-folding, 6.2인치 WQHD in-folding 제품을 공개했다.

OLED 전문 기업인 GVO는 보다 적극적으로 다양한 flexible OLED 패널과 응용 제품을 공개하였다.

Out-folding 타입의 7.2인치 foldable OLED는 곡률반경(bending radius)이 1.6mm로서 333ppi이며 add-on 방식의 touch를 사용하고 있으며 전체 두께는 0.2mm이다.

BOE와 GVO는 flexible OLED를 아직 소량 생산하고 있지만 전시회에 공개된 제품들은 모두 뛰어난 기술력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SID2018] Samsung display’s OLED technology, one step closer to full screen

At the SID2018 exhibition in Los Angeles, a new concept OLED with no front speakers on the Smartphone was introduced.

Samsung Display’s new “Sound on display” removes the speaker at the top of the smart phone. Instead, it has a piezo electric actuator on the back of the panel that can turn the electrical signal into vibration. This is the mechanism by which the actuator vibrates the OLED panel to produce sound. It is the same method as LG Display’s “Crystal sound OLED”.

When this technology is utilized, the speaker can be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smart phone, resulting in a wider display area. Following the trend that the home button is embedded in the display, OLED will continue to evolve in the direction that the speaker is also embedded in the display.

TCL announced “Establishing large-area OLED panel production plant”, is solution processed RGB OLED mass production accelerated?

China TCL will invest RMB 42.8 billion (US$ 6.71 billion) in Shenzhen to establish a factory for large-area OLED panel production. According to South China Morning Post, TCL recently announced that it will produce 90,000 units on the basis of 70-inch panel in the new production line of Gen 11 (3370 mm x 2940 mm) with the goal of mass production in March 2021 in the data submitted to the Shenzhen Stock Exchange. The main products are to be known as 65-inch and 75-inch OLED panels, and 65-inch, 70-inch and 75-inch display panels with 8K resolution.

TCL will form a partnership with the China Development Fund for the necessary financing and will set up a new production line at TCL’s semiconductor subsidiary with RMB 20.3 billion.

Large-area OLED to be produced by TCL is expected to adopt solution process RGB. At the ‘4th OLED Korea conference’ hosted by UBI Research in March, James Lee, deputy chief engineer of TCL mentioned about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premium TV with the screen size of 70-inch or more and 8K resolution, based on the solution process.

Lee said, “The price difference between OLED TV and premium LCD TV is estimated to be reduced to 1.4 times when the price of large-area OLED panel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LG Display’s Gen 10.5 plant in 2020. We are developing solution process technology for large area OLED and it will be applicable to Gen11 factory. ”

Gen 11 production line is capable of producing six sheets of 75-inch OLED panels, being able to achieve a yield three times higher than Gen 8.5 production line and a cutting efficiency of over 95%.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large-area OLED panels with a real RGB structure instead of the WRGB structure when solution process is applied. Based on this, TCL emphasiz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Gen 11 solution process OLED mass production line is essential. Meanwhile, TCL has jointly established JUHUA Printing Display Technology with Tianma, a Chinese company, in 2016 through CSOT, which is a subsidiary of TCL, and is continuously developing the inkjet printing process by a Gen 4.5 R&D pilot plant.

TCL “대면적 OLED panel 생산 공장 신설” 발표, solution process RGB OLED 양산 가속화 되나

중국 TCL이 선전에 428억 위안(67억 1천만 달러)을 투자하여 대면적 OLED panel 생산을 위한 공장을 신설한다.

사우스차이닝모닝포스트에 의하면, TCL은 최근 선전 증권거래소에 제출한 자료에서 2021년 3월 양산을 목표로 Gen 11(3370 mm x 2940 mm) 신설 양산 라인에서 70 inch panel 기준으로 월 9만대를 생산한다고 밝혔다. 주력 제품은 65 inch와 75 inch OLED panel과 8K 해상도의 65 inch, 70 inch, 75 inch display panel 인 것으로 알려졌다.

TCL은 자금 조달을 위해 중국 지원 개발 기금과 파트너쉽을 맺을 것이며, TCL 반도체 자회사에서 203억 위안을 들어 새로운 생산 라인을 설립 할 것으로 알려졌다.

TCL이 생산 할 대면적 OLED는 solution process RGB 방식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월 유비리서치가 주최한 ’4th OLED Korea conference’에서 TCL의 James Lee deputy chief engineer는 solution process를 기반으로 70 inch 이상의 대형 화면과 8K 해상도의 차세대 premium TV 개발을 언급한 바 있다.

Lee deputy chief engineer는 “2020년 LG Display의 Gen 10.5 공장이 가동되어 대면적 OLED panel의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OLED TV와 premium LCD TV의 가격 차이는 1.4배 수준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TCL은 현재 대면적 OLED용 solution process 기술을 개발 중으로 Gen11 공장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Gen 11 생산 라인에서는 75 inch OLED panel이 6장 생산 가능하며, Gen 8.5 생산 라인 대비 3배 증가한 생산량과 95% 이상의 면취율 달성이 가능하다. 또한, solution process 적용 시 WRGB 구조가 아닌 real RGB 구조의 대면적 OLED panel 생산이 가능하다. TCL은 이를 바탕으로 Gen 11 solution process OLED 양산라인 건설이 필수 요소라고 강조한 바 있다.

한편, TCL은 산하 업체인 CSOT를 통해 2016년 중국 기업 Tianma와 함께 JUHUA Printing Display Technology라는 합작사를 설립, 4.5세대 R&D 파일럿 공장을 만들어 잉크젯 프린팅 공정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SID2018] Full screen에 한발 더 접근한 삼성디스플레이 OLED 기술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중인 SID2018 전시회에서 스마트폰의 전면 스피커가 없는 새로운 개념의OLED가 공개되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신작인 “Sound on display”는 스마트폰 상단에 있는 스피커를 없애고 패널 뒷면에 전기 신호를 진동으로 전환 시킬 수 있는 압전소자(piezo electric) actuator를 부착한 것이다. actuator가 OLED 패널을 진동 시켜 소리를 발생시키는 메커니즘이다. LG디스플레이가 판매하고 있는 “Crystal sound OLED”와 같은 방식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스마트폰 전면에서 스피커가 없어져 디스플레이 면적이 더 넓어질 수 있다. 최근 홈 버튼이 디스플레이에 내장되는 추세에 이어 스피커도 디스플레이에 내장되는 방향으로 OLED는 진화를 거듭할 것이다.

Samsung Electronics, full screen rigid OLED 채용 확대

Samsung Electronics가 보급형인 Galaxy A8(2018) series에 이어 full screen rigid OLED가 적용 된 보급형 smartphone을 잇따라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며 주춤했던 rigid OLED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띌 수 있을지 주목된다.

5월 초 Samsung Electronics는 홈버튼을 없애고 full screen rigid OLED를 채용한 2018년 향 ‘Galaxy A6(2018)’과 ‘Galaxy A6+(2018)’을 공개했다. Galaxy A6(2018)은 5.6 inch에 HD+(1480 x 720) 해상도의 rigid OLED가 적용 되었으며, Galaxy A6+(2018)은 6.0 inch에 FHD+(2220 x 1080) 해상도의 rigid OLED가 적용 되었다.

<Samsung Galaxy A6(2018), Source: GSM-specs.com>

또한 지난 16일, Samsung Electronics의 또 다른 보급형 smartphone인 ‘Galaxy J6(2018)’의 공식 렌더링 사진이 독일 매체인 WinFuture를 통해 유출됐다.

<Samsung Galaxy J6(2018), Source: WinFuture>

Galaxy J6(2018)에는 5.6 inch에 FHD+(2220 x 1080) 해상도의 rigid OLED가 적용 될 예정이다. Galaxy A6 series와 Galaxy J6 모두 5월 말에 출시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Smartphone용 rigid OLED 시장은 full screen LCD의 등장과 저가형 smartphone에서 LCD가 주로 채용됨에 따라, 수요가 감소되고 rigid OLED 양산라인의 가동률 하락으로 이어졌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rigid OLED 출하량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나 2017년에는 2016년 대비 8% 하락한 2.9억개가 출하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공급이 시작 된 full screen rigid OLED가 VIVO X20과 Galaxy A8에 채용되기 시작하였으며, Galaxy A6 series와 Galaxy J6 등 다수의 smartphone으로 채용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rigid OLED 양산라인의 가동률도 하반기부터 정상화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rigid OLED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띌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Foldable OLED device is nearing commercialization. What are the technical challenges to be solved?

Attentions are growing for the foldable smartphone since it can provide a wider screen and higher resolution than the display of conventional smartphones, while maintaining the portability of the smartphone. The foldable smartphone is a smartphone when folded, and it becomes a tablet PC when it is unfolded. Following Samsung Electronics, Huawei is also aiming to launch a smartphone with a foldable display this year.

Yi Choong-Hoon, president of UBI Research, said, “Ideal foldable displays require such kind of reliability that there is no problem even with more than 300,000 times folding at the bending radius of 1R or less. For this, some changes or innovations are needed in the material and structure of the display.

In the ‘2018 OLED Component & Material Report’ published by UBI Research on May 21, 2018, the key issues and development trends for foldable OLED display with a bending radius of 1R ar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classified contents of structural change to secure reliability at thickness reduction and alternative material development.

<Change in OLED panel thickness accoding to bending radius, 2018 OLED component & material report, UBI Research>

In addition, the report covers the application status, development trends, and market forecast of key components and materials for rigid OLED and flexible OLED for mobile device, and large-area OLED for TV. Thus, it is helpful for the related part and material companies to develop their future directions, establish business strategies, and analyze technology and market trends.

Samsung Electronics, is increasing full screen rigid OLED adoption.

Samsung Electronics is expected to launch next-generation smartphones with full-screen rigid OLEDs, next to the popular Galaxy A8 (2018) series. Accordingly, attention is focused whether the sluggish rigid OLED market will revive.

In early May, Samsung Electronics unveiled ‘Galaxy A6 (2018)’ and ‘Galaxy A6 + (2018)’ with full screen rigid OLED, eliminating the home button. The Galaxy A6 (2018) adopts rigid OLED with HD + (1480 x 720) resolution at 5.6 inch, and the Galaxy A6 + (2018) is applied with rigid OLED with FHD + (2220 x 1080) resolution at 6.0 inch

<Samsung Galaxy A6(2018), Source: GSM-specs.com>

On the other hand, the official rendering image of Samsung Electronics’ Galaxy J6 (2018), another entry-level smartphone, was leaked through WinFuture, the German media on May 16.

<Samsung Galaxy J6(2018), Source: WinFuture>

The Galaxy J6 (2018) is expected to have 5.6-inch rigid OLED with FHD + (2220 x 1080) resolution. Both the Galaxy A6 series and the Galaxy J6 are expected to be launched around the end of May.

Recently, the demand for rigid OLED for smartphone market has decreas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full screen LCD as well as LCD adoption in low-priced smartphones. Consequently, the utilization rate of rigid OLED mass production line has also decreased. According to UBI Research, rigid OLED shipments rose steadily from 2014 to 2016, but 290 million units were shipped in 2017, 8% down from the previous year.

However, the full screen rigid OLED, which was launched in the second half of 2017, started to be adopted in the VIVO X20 and Galaxy A8, and has been expanded to be applied to a number of smartphones such as the Galaxy A6 series and Galaxy J6. As the utilization rate of rigid OLED mass production lines is expected to normalize from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attention is growing whether rigid OLED market will be rebounded again.

폴더블 OLED 상용화 눈앞, 해결해야 할 기술과제는?

최근 스마트폰의 휴대성은 유지한채 기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보다 더 넓은 화면과 고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이 주목받고 있다. 폴더블 스마트폰은 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테블릿 PC의 컨셉으로 삼성전자에 이어 화웨이에서도 올해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스마트폰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유비리서치의 이충훈대표는 “이상적인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접히는 부분의 곡률반경이 1R이하, 30만 회 이상 접었다 펴도 문제가 없는 신뢰성이 요구된다”며,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의 소재와 구조에 많은 변화들이 필요하다” 라고 밝혔다.

유비리서치가 21일 발간한 ‘2018 OLED 부품소재 보고서에서는 곡률 반경 1R의 foldable OLED 디스플레이 개발을 위한 핵심 이슈와 개발 동향들을 두께감소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 변화, 대체 재료 개발로 분류하여 기술되어 있다.

<곡률반경에 따른 OLED panel 두께 변화, 2018 OLED 부품소재 보고서, UBI Research>

이 외에도 mobile 기기용 rigid OLED와 flexible OLED, TV용 대면적 OLED의 핵심 부품소재들의 적용현황과 개발 동향, 시장전망을 다루어 관련 부품소재 업체들의 향후 개발 방향과 사업 전략 수립, 기술과 시장 트렌드 분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LG OLED TV, 컨슈머리포트 선정 올해 최고의 TV 3년 연속 선정

미국 소비자 전문 매체인 컨슈머리포트는 최근 발표한 2018 최고의 TV에서 LG Electronics의 65인치 OLED TV인 ‘OLED65C8PUA’가 모든 제품 중 최고 제품으로 선정 됐다고 발표했다.

<LG Electronics의 OLED65C8PUA, Source: lg.com>

컨슈머리포트는 OLED65C8이 가격과 성능에서 훌륭한 균형을 이뤘다고 밝히며, 우수한 고화질과 UHD 성능, 무한대의 시야각 등 화질 부분의 우수성과 함께 인공지능 플랫폼인 ThinQ AI 플랫폼도 훌륭하다고 언급했다.

LG Electronics의 OLED TV 시리즈는 2016년 최고 제품으로 선정 된 이후 3년 연속 자리를 지키고 있다. 특히, 올해 출시 된 OLED TV에는 LG Electronics가 독자 개발한 화질칩인 ‘알파9’을 장착하여 노이즈를 기존대비 절반으로 줄이고 더욱 정교한 색좌표로 정확한 색을 구현 하는 등, 화질이 더욱 더 업그레이드 됐다.

한편, LG Electronics의 OLED TV는 premium TV 시장에서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며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LG Electronics는 지난 1분기 컨퍼런스 콜에서 HE 사업부분 1분기 실적이 매출액 4.12조원과 영업이익 5,773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히며, 특히 OLED TV와 UHD TV를 중심으로 전년 대비 성장을 주도하여 영업이익률은 14.0%를 달성하였다고 언급했다.

또한, 앞으로 TV 사업을 수익성 중심으로 운영할 것이라 언급하며, 전체 TV 매출 중 OLED TV의 매출 비중이 10% 후반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다.

LG OLED TV was selected as the best TV for 3 consecutive years.

At the best 2018 TV released recently by Consumer Reports, US consumer magazine, LG Electronics’ 65-inch OLED TV ‘OLED65C8PUA’ was selected as the best product among all the products.

<LG Electronics’ OLED65C8PUA, Source: lg.com>

Consumer Reports notes that the OLED65C8 has a good balance of price and performance. With the excellent quality of images including excellent high definition, UHD performance, and infinite viewing angles, it mentions that ThinQ AI platform, a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is also excellent.

LG Electronics’ OLED TV series has remained in the first place for three consecutive years since being selected as the best product in 2016. In particular, the OLED TV released this year was upgraded to higher quality by installing ‘Alpha 9′, a proprietary image quality chip developed by LG Electronics, to reduce noise to half compared with previous models, and to achieve accurate colors with more sophisticated color coordinates.

On the other hand, LG Electronics’ OLED TV continues to secure its position in the premium TV market. LG Electronics announced at the conference call held on April, 26th that the sales revenue and operating profit of its HE (Home Entertainment) business division were recorded KRW 4.12 trillion and KRW W577.3 billion, respectively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In particular, OLED TVs and UHD TVs led the growth. The operating margin reached 14.0%.

According to LG Electronics, it will continue to operate TV business with profitability. The proportion of OLED TV sales is expected to grow from 10 percent last year to mid 10% ~20% of the total TV sales this year.

OLEDWorks announces ‘OLEDSurface Light Module’ which integrates OLED light and driver.

OLEDWorks, specialized in OLED lighting, recently announced the launch of ‘OLEDSurface Light Module’, which integrates OLED lighting, driver and frame.

The OLEDSurface, 8.1m in thickness and 90grams, has a color temperature of 3000K or 4000K and brightness of up to 300 lm. It can be easily mounted to any flat surface such as walls or ceilings, and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heat dissipation system. The module also includes a low voltage constant current driver and a 0-10V dimming-compatible driver.

“The beauty of the OLEDSurface Light Module allows designers of all skill levels to effortlessly install elegant light tiles for the pure, direct view light experience that is uniquely OLED. In addition, developers will realize cost savings for low voltage wiring, optional elimination of junction boxes, and no need for a plenum that hides bulky heat sinks and drivers.” explained Giana Phelan, OLEDWorks’ director of business development.

Applied with Brite OLED lighting panel, the OLEDSurface runs from any low voltage power source (28-48VDC) with typical power consumption of 5.4W.

Brite OLED lighting panel is one of OLEDWorks’ flagship products and the new Brite 3 series was unveiled at Light + Building 2018. The Brite3 products consist of square, rectangular and round type of rigid OLED lighting and bendOLED type of flexible OLED lighting. Rigid OLED lighting panel has a lifetime of 100,000 hours and efficiency of 80 lm/w and bendable OLED lighting panel provides an efficacy of up to 63lm/W with a lifetime of up to 50,000 hours.

<Brite 3 series OLED lighting panel introduced at Light+Building 2018>18

 

OLEDWorks, OLED 조명과 드라이버가 통합 된 ‘OLEDSurface Light Module’ 출시 발표

OLED 조명 전문 업체인 OLEDWorks는 최근 OLED 조명과 driver, 프레임 등이 모듈에 모두 통합 된 ‘OLEDSurface Light Module’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OLEDSurface의 두께는 8.1 mm이며 무게는 90 g, 색온도는 3000K 또는 4000K, 밝기는 최대 300 lm으로써, 벽이나 천장 등 평평한 표면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방열 시스템이 필요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 모듈에는 저전압 정전류 드라이버와 0-10V 디밍 호환 드라이버가 내제되어 있다.

OLEDWorks의 사업 개발부 이사인 Giana Phelan은 “OLEDSurface는 나사만으로 간편하게 설치되며 저전압 배선 미설치로 인한 비용 절감, 방열판과 driver 등을 숨기기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고 OLEDSurface의 장점을 설명했다.

OLEDSurface에는 Brite OLED lighting panel이 적용되며, 소비전력이 5.4 W인 모든 저전압 전원(28~48VDC)에서 동작한다.

Brite OLED lighting panel은 OLEDWorks의 주력 제품 중 하나로써, 신규 제품인 Brite 3 series가 지난 Light+Building 2018에서 공개된 바 있다. Brite3 series는 square & rectangular type과 round type의 rigid OLED lighting과 bendOLED type의 flexible OLED lighting의 3가지 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rigid OLED lighting panel의 수명은 10만시간, 효율은 80 lm/W이고 bendOLED의 수명은 5만시간, 효율은 60 lm/W이다.

<Light+Building 2018에서 공개 된 Brite 3 series OLED lighting panel>

초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FMM, 국산화 앞당겨지나

Fine metal mask(이하 FMM)은 화소와 RGB 유기물을 증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FMM은 OLED의 해상도와 수율을 결정짓는 요소로서 작용되나, 현재 FMM은 증착 공정시 열팽창이 일어나거나 무게에 의한 섀도우 현상이 발생하는 한계에 봉착해 있다.

또한, FMM 전량은 일본 히다치(Hitachi)금속이 생산한 압연 invar를 일본 다이니폰프린팅(DNP)에서 에칭 공정을 통해 만든 완제품 형태로 비싼 가격에 수입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국내외 관련 업계는 laser가공 등 다양한 방식으로 FMM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나 아직까지 R&D 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9일 순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박용범 교수 연구팀은 전주도금 인바 제조기술을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기도금을 활용하면서 음극에 부착된 금속을 박리한 후 형상이 있는 부품으로 만드는 기술이다.

<전주도금인바의 열팽창곡선과 미세조직, 출처: 순천대>

해당 기술을 통해 invar는 판재로도 생산할 수 있고, 패턴 된 음극의 형상을 그대로 복제할 수 있다. 또한, FMM의 두께를 지금보다 절반 정도 얇은 7 um 수준까지 구현할 수 있어 초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박 교수는 “전주도금 인바에 대한 일본의 연구 수준이 우리 연구팀 턱 밑까지 쫓아왔고, 중국은 대규모 자본을 앞세워 개발에 뛰어들었다.”며, “우리나라 기업들이 국제경쟁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학계가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지난 20년 가까이 연구해 구축한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논문을 통해 공개하기로 결심했다.”고 덧붙여, 그간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FMM을 국산화 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Is accelerating the localization for FMM, which can realize ultra-high resolution?

Since Fine Metal Mask (FMM) plays a role of depositing pixel and RGB organic materials, FMM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resolution and yield of OLED. However, FMM is currently confronted with some limitations that thermal expansion occurs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or shadow effects arise due to its weight.

In addition, the total amount of FMM is imported at high prices in the form of finished products which are made by Japanese Dainippon Printing (DNP)’ etching process with the rolled invar produced by Hitachi Metals.

Under the circumstances, domestic and overseas related industries are concentrating on developing FMM in various ways such as laser processing, but they are still in R & D stage.

The research team of Professor Park Yong-Bum of New Material Engineering Department of Sunchon University announced on 9th May that it succeeded in developing the technology of electroforming invar manufacturing technology. This is a technique for separating the metal attached to the cathode while utilizing the electroplating, and making FMM.

<Thermal expansion curves and microstructure of electroforming invar, source: Suncheon Univers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team, invar can be produced as a sheet material, and the shape of the patterned cathode can be copied as it is, through this technology.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FMM can be reduced to about 7μm, about half the thickness of the current FMM, which might be helpful to realize super high image quality.

Professor Park said, “The level of Japanese research on the electroforming invar has been pursued to the bottom of our research team, and China has entered into development with a large amount of capital.” In order for Korean companies to gai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 thought the academic circles needed to support it actively. Consequently, I have decided to publish all the databases that have been built and researched for nearly 20 years through papers.”

Attention is focused whether it is to be successful in localizing FMM, the total amount of which has been imported.

SCREEN Holdings, 시가현 히코네시에 신 공장 건설을 통해 OLED 사업 강화

SCREEN Holdings는 지난 8일, 시가현 히코네시의 히코네 사업소에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와 증착 장비 생산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SCREEN Holdings의 신공장 완성 이미지, Source: screen.co.jp>

SCREEN Holdings에 따르면 새로운 공장의 건설은 기존 장비들의 생산량을 강화하여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써, 총 공사비는 20억엔이 투입되며 완공 예정은 10월이다.

SCREEN Holdings는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미세화가 요구되는 OLED를 비롯한 flexible display 제조 장비 생산에 대응 할 수 있는 청결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SCREEN Holdings 2017년 7월 차량용 OLED 생산 장비를 공개한 바 있으며 11월에는 6세대 OLED TFT용과 TSP용 slit coater를 공개 하는 등 꾸준히 OLED 관련 장비를 선보이고 있다.

<SCREEN Holdings의 차량용 OLED 장비, Source: asia.nikkei.com>

SCREEN Holdings, Strengthening OLED business through construction of new factory in Hikone City, Shiga Prefecture

SCREEN Holdings announced on the 8th May that it will build a new manufacturing factory for display equipment and deposition equipment at its Hikone office in Shiga Prefecture.

<SCREEN Holdings’ New factory completion image, Source: screen.co.jp>

According to SCREEN Holdings, the construction of a new plant is aimed at expanding its market share by strengthening the production capacity of existing equipment. It is planned to be completed in October, 2018 with the total construction cost of 2 billion yen.

Based on this investment, SCREEN Holdings is expecting to build a clean environment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production of manufacturing equipment for flexible display, including OLED, which requires miniaturization.

Meanwhile, SCREEN Holdings has introduced its OLED equipment consistently. It showcased its OLED production equipment for automotive in July 2017 and 6G OLED TFT and TSP slit coater in November 2017.

<SCREEN Holdings’ OLED equipment for automotive, Source: asia.nikkei.com>

 

BLUE OLED, is rapidly emerging as a competitor of WRGB OLED

In the premium TV market, the share of OLED TVs is steadily increasing, and the price gap with LCD is gradually decreasing. As a result, LCD TV (QD-LCD TV) companies using quantum dot technology are sluggish in the premium TV market.

OLED TV uses white OLED and OLED panel with color filter (hereafter referred to as WRGB OLED), which is mass-produced only by LG Display.

Samsung Display is known to actively develop blue OLED + QDCF (blue OLED), which is one of the technologies to compete with WRGB OLED in the premium TV market.

UBI Research predicted that Samsung Display would implement blue OLED + QDCF with top emission method and it would be more advantageous to implement 8K and BT 2020 than WRGB in its ‘2018 OLED Material Industry Report’ published on April 18.

<Expected stack structure for Blue OLED, 2stack (left), 3stack (right),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s Report, UBI Research>

8K and BT2020 are to be adopted for the premium TVs. Also, the development of blue materials is expected to be aggressively progressed according to Samsung Display’s development of blue OLED. The blue material currently used in OLED is a fluorescent material that is insufficient in the efficiency and lifetime than phosphorescent material used in red and green. Blue phosphorescent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continuously but they have not been applied to mass production due to the scarcity of materials and technical barriers. Therefore, blue fluorescent materials are stacked two or more times to improve efficiency and lifetime for large area OLED, and blue OLED is expected to use more than 2 stack structure.

 

With this trend, the market for blue emitting materials is expected to continue to grow. In 2017, blue materials (host and dopant) formed market of US$ 70 million.  According to the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 published by UBI Research, blue material is expected to grow at an average annual rate of 32% by 2022 and reach US $ 272 million sales.

<Blue material (host and dopant) market forecast,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s Market track>

 

BLUE OLED, WRGB OLED의 경쟁자로 급부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OLED TV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LCD와의 가격 격차도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 quantum dot 기술을 적용한 LCD TV(QD-LCD TV)업체들이 프리미엄 TV시장에서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다.

OLED TV는 white OLED와 color filter를 적용한 OLED panel을 사용하고 있으며(이하 WRGB OLED) LG Display에서 유일하게 양산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에서는 프리미엄 TV시장에서 WRGB OLED에 대항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인 blue OLED + QDCF(이하 blue OLED)를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비리서치는 지난 18일 발간한 ‘2018 OLED 재료 산업 보고서’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top emission 방식으로 blue OLED+QDCF를 구현할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에 따라 8K와 BT 2020을 구현하는데 WRGB 보다 유리할 것으로 분석한 바 있다.

<Blue OLED 예상 스택 구조, 2stack (좌), 3stack (우),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s Report, UBI Research>

TV의 트랜드가 8K, BT2020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삼성디스플레이의 blue OLED 개발에 힘입어 blue materials에 대한 개발도 적극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현재 OLED에 사용되고 있는 blue재료는 형광물질로서 red와 green에 사용되는 인광물질보다 효율과 수명이 부족하다. Blue 인광재료 개발도 지속적으로 진행되 오고 있지만 재료의 희소성과 기술장벽으로 양산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면적 OLED panel에는 형광 blue 재료를 2번이상 적층하여 효율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stack 구조를 적용하고 있으며, blue OLED도 2 stack 이상의 구조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blue 발광재료에 대한 시장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blue 재료(host와 dopant)는 US$ 70 million의 시장을 기록했다. 유비리서치에서 발간한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에 따르면 blue 재료는 2022년 까지 연평균 32%로 성장하여 US$ 272 million의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Blue 재료(host와 dopant) 시장전망, 2018 AMOLED emitting materials Market track>

Foldable smart phone, can it absorb tablet PC market?

“If foldable Smartphone is launched and commercialized in earnest, the high-priced tablet PC market is likely to disappear.”

Choong-hoon Yi, president of UBI Research, said in ‘the Latest OLED Technology Trends Seminar’ held at COEX in Seoul on the 26th April, 2018.

He also mentioned “The foldable smart phone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as a 5.2 inch display with a 7.2 inch display folded in half. In addition, a bar-type display is to be added to the outside to check time and other information.”

Yi analyzed, “Foldable Smartphone can provide a momentum to revitalize the stagnant Smartphone market, and a positive aspect that can induce new investments to secure a sufficient number of panels due to the increase in the display screen size.”.

“If foldable smartphones are launched and commercializ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xpensive tablet PC market will be disappeared. Foldable Smartphone can bring the tablet PC market which is being led by Apple.”He added.

Yi then predicted that foldable smart phones would implement 4K since their screen size is larger than normal smart phones. “OLED smart phones, which currently remain in QHD resolution, are expected to be difficult to implement it in five years due to the problems in masks, wiring widths and exposure systems; however, foldable smart phones are more free from these problems.” He said.

Finally, Yi pointed out the market success factors of the foldable smart phone as pioneering the Smartphone market for over $ 1,000, development of dedicated applications/contents and early establishment of 5G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data transmission such as video streaming.

Meanwhile, he estimated that OLED panels for foldable smartphones would be shipped to 100 thousand units in 2018, and 2.83 million units would be shipped in 2022.

<Shipment forecast of OLED panels for foldable Smartphone, Source: Q2’18 OLED panel market track @UBI Research>

 

In order to accelerate the mass production of solution processed OLED?

At the latest OLED technology trends seminar organized by UBI Research in Seoul COEX on April 26th, professor Seo presented about the status of solution processed OLED for large-area TV production.

Professor Seo emphasized that there are four technical challenges to advance the mass production of solution processed OLED.

 

The first challenge is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that can form stable and flat thin films. When the emitting material for solution process is applied, the solvent causes a convection phenomenon due to solubility and boiling poin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ke a flat film because the speed at which the solvent flows is different for each region.

 

The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cross linked HTL materials. Emitting material companies are mixing cross-linking agents into HTL materials for solution process to solve intermixing problems between layers. However, a pinhole is formed due to a cross linking reaction with the surrounding small molecular materials when crosslinked materials in small molecule type are used. This kind of pinhole lowers the uniformity of the thin film,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rosslinked HTL materials that can improve the reproducibility and lifetime of OLED in solution process.

 

The third is the jetting condition. He proposed a jetting condition that can minimize the volume deviation of the emitting material for solution process every head since it is necessary to drop the emitting material for solution process of less than 4 pl to the desired position in the size of 20-50 um to realize 8K. Lastly, he commented that it is required to optimize the drying process of solvent. UBI Research described that the solution OLED process has a simple (5 layer) structure and high material utiliza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eposition proces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large-area OLED with RGB structure without the division of mother glass at Gen8 or higher. When major panel makers adopt solution process, it is availa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OLED due to the decrease of equipment and equipment scale as well as material cost and labor cost reduction. According to the 2018 Annual OLED Display Industry Report and 2018 Emitting material Industry Report published by UBI research, solution processed OLED is to be mass produced from 2019 in earnest, and the shipment is expected to be 0.2 million units in 2019 and 9.2 million units in 2022. Accordingly, the emitting material market for solution process is estimated to grow to US$ 110 million in 2022 from US$ 9 million in 2019.

Micro LED TV, is the price competitive compared to OLED TV?

“It needs to consider how to resolve the price competitiveness compared to other displays, such as OLED, before Micro LED is to be applied to the big screen TVs of 60 inches and 70 inches in future.”

 

Moon Dae-Gyu, professor of Soonchunhyang University, mentioned as above while explaining the micro LED technology at the ‘latest OLED technology trends seminar’ organized by UBI Research in Seoul COEX on April 26th, 2018.

 

“Micro LE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technology capable of realizing a high resolution display of 1,000 ppi or more. Since micro LEDs are individually obtained from a LED wafer by the photo process, they are not affected by the size and shape of a substrate, and have the merits that the advantages of existing LED such as luminance, lifetime and low power consumption, can be applied as they are.” professor Moon add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a good environment to show the advantages of micro LED in the field where power consumption is very important, such as wearable appliances. He also predicted tha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isplay in no tile form in very large display area such as public display and digital wall, which might be easy segments for micro LED to enter.

 

However, regarding the mass production of micro LED TV, which is becoming a recent issue, Moon said, “In order to implement 4K, 24.8 million LED chips (with a size of 10 μm/chip) are required. At the 4 inch wafer, which is currently being commercialized, 4K panels can be produced twice only. Thus, it is doubtful whether micro LED is competitive compared to LCD and OLED in terms of mass production.”

Commenting about TFT uniformity and pixel uniformity of the micro LED, he mentioned “TFT uniformity can be sufficiently compensated by the compensation circuit that is currently applied to OLED, but it should be considered how to solve the color imbalance problem.”

Micro LED TV, which was introduced by Samsung Electronics in CES 2018, and received a lot of attentions at the time, but it was disagreed about commercialization. In particular, Kang In-Byung, CTO of LG Display, pointed out, “About 25 million LEDs are needed to realize 4K micro LED TV. Even if 1 LED is 1 Korean Won, the cost might be 25 million. And when the circuits and boards are added, it would be a huge price.”

폴더블 스마트폰, tablet PC 시장 흡수 가능할까

“폴더블 스마트폰이 출시 되어 본격적으로 상용화가 된다면 고가의 tablet PC 시장은 소멸 될 가능성이 있다”

지난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OLED 최신기술 동향 세미나’에서 유비리서치 이충훈 대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폴더블 스마트폰과 관련하여 위와 같이 밝혔다.

이 대표는 “폴더블 스마트폰은 7.2 inch의 디스플레이가 반으로 접혀 5.2 inch 디스플레이로 구현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추가적으로 외부에 시간이나 기타 정보 확인을 위한 bar 형태의 디스플레이가 추가 될 것”이라 언급했다.

이 대표는 “폴더블 스마트폰이 정체되어 있는 스마트폰 시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모멘텀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화면 크기 증대로 인해 부족해지는 패널 수량 확보를 위한 신규 투자도 유발 할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을 제공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폴더블 스마트폰이 출시 되어 상용화 될 경우 고가의 tablet PC 시장이 소멸 될 가능성이 있다”며, “폴더블 스마트폰이 현재 Apple이 주도하고 있는 tablet PC 시장을 가져올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서 이 대표는 폴더블 스마트폰은 일반 스마트폰보다 화면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4K 구현도 가능하다고 예상하였다. 현재 QHD 해상도에 머물고 있는 OLED 스마트폰은 마스크와 배선 넓이, 노광기 문제로 인해 5년 이내 구현이 힘들 것으로 예상되지만 폴더블 스마트폰은 이러한 문제에서 좀 더 자유롭다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이 대표는 폴더블 스마트폰의 시장 성공 요소로 1,000 달러 이상 스마트폰 시장의 개척과 전용 application/contents 개발, 동영상 스트리밍 등 데이터 전송을 위한 5G 통신 기술 조기 정착을 언급했다.

한편, 이 대표는 2018년 폴더블 스마트폰용 OLED 패널이 10만대 출하 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2022년에는 283만대가 출하 될 것으로 예상했다.

<폴더블 스마트폰용 OLED 패널 출하량 전망, Source: Q2’18 OLED panel market track @UBI Research>

용액 공정용 OLED 양산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지난 26일 코엑스에서 유비리서치가 개최한 OLED 최신 기술 동향 세미나에서 서민철 교수는 대면적 TV 제조를 위한 용액 공정용 OLED 공정 현황을 발표하였다.

서 교수는 용액 공정용 OLED의 양산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4가지의 기술과제가 남아있다고 강조하였다.

첫 번째 기술과제는 안정적이며, 평평한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의 개발이다.

용액 공정용 발광재료가 도포 될 시, 용해도와 끓는점 등으로 인해 solvent는 대류 현상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각 영역마다 solvent가 날아가는 속도는 달라져 평평한 박막을 만들기 어렵다고 설명하였다.

두 번째는 가교형 HTL 재료의 개발이다.

발광재료 업체에서는 layer간 intermix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액 공정용 HTL 재료에 가교제를 혼합하고 있다. 그러나 저분자 계열의 가교형 물질을 사용할 경우, 주변의 저분자 물질과의 가교반응으로 인해 pinhole이 형성된다. 이러한 pinhole은 박막의 uniformity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용액 공정 OLED의 재현성과 수명을 떨어트리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가교형 HTL 재료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세 번째는 jetting 조건이다.

서 교수는 4pl미만의 용액 공정용 발광재료를 20-50 um의 크기로 원하는 위치에 떨어트려야 8K를 구현할 수 있다며, head 마다 용액 공정용 발광재료의 부피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jetting 조건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서 교수는 solvent의 건조 공정 최적화가 필요함을 언급하며 발표를 마쳤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용액 공정용 OLED 공정은 기존 증착 공정에 비해 OLED 구조가 단순(5layer)하며 재료 사용 효율이 높다. 또한, Gen8 이상에서 원장 분할 없이 RGB 구조의 대면적 OLED 제조가 가능하며, 주요 panel 업체가 solution process를 도입 할 시 설비 및 장비 규모 축소뿐만 아니라 재료비와 인건비 절감 등으로 OLED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유비리서치는 2018 Annual OLED Display Industry Report와 Emitting material Industry Report를 통해 용액 공정용 OLED는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양산되어 2019년 20만 개, 2022년 920만 개 출하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에 따른 용액 공정용 발광재료 시장은 2019년 900만 달러를 형성하여 2022년 약 1.1억 달러의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하였다.

Micro LED TV, OLED TV와 비교하여 가격 경쟁력이 있을까

“Micro LED는 향후 60 inch와 70 inch 이상의 TV에 적용되기 전에, 먼저 OLED 등 타 디스플레이대비 가격 경쟁력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고려를 해야 한다”

지난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유비리서치 주최로 열린 ‘OLED 최신기술 동향 세미나’에서 순천향대학교 문대규 교수는 micro LED 기술을 설명하며 위와 같이 언급했다.

문 교수는 “Micro LED는 1,000ppi 이상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한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며, “LED wafer에서 photo 공정으로 micro LED를 개별적으로 얻기 때문에 기판의 크기와 모양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과 휘도와 수명, 저전력 등 기존의 LED의 장점이 그대로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wearable 기기처럼 소비전력이 매우 중요한 분야에서는 micro LED의 장점이 발휘되기 좋은 환경이 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그 외에도 public display나 digital wall 등의 초대형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no tile 형태로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진입이 쉬운 영역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micro LED TV 양산과 관련하여 문 교수는 “4K 구현을 위해서는 LED chip이 10 um 크기로 24.8M개가 필요한데,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4 inch wafer에서는 4K 패널을 2번밖에 생산 할 수 없다”고 설명하며, “양산성 측면에서 micro LED가 LCD와 OLED 대비 가격 경쟁력이 있을까 하는 의문이 있다”고 밝혔다.

또한 micro LED의 TFT 균일도와 pixel 균일도를 언급하며, “TFT 균일도는 현재 OLED에도 적용 되고 있는 보상 회로로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지만, color 불균형 문제 발생 시 이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 것인지 고려해야 할 것”이라 밝혔다.

Micro LED TV는 지난 CES 2018에서 Samsung Electronic가 선보인 TV로써, 당시 많은 주목을 받았으나 상용화와 관련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특히, LG Display의 강인병 CTO는 “4K micro LED TV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약 2천500만개의 LED가 필요한데, LED가 1개당 1원이라고 해도 2천500만원이고, 회로와 기판까지 포함하면 엄청난 가격일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LG Electronics expect OLED TV sales portion to grow to mid 10% ~ 20% of total TV sales this year

LG Electronics announced at the conference call held on April, 26th that the sales revenue and operating profit of its HE (Home Entertainment) business division were recorded KRW 4.12 trillion and KRW W577.3 billion, respectively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The sales declined due to the seasonal weakness, compared with the previous quarter, but grew 7.4% YoY. In particular, OLED TVs and UHD TVs led the growth.  Operating profit grew 76.5% YoY thanks to the continued premium product sales growth, material cost drop, and improved cost structure. The operating margin reached 14.0%, which is the first time that the HE division has achieved a double-digit OP margin. As for the second quarter forecast, LG Electronics said, “We expect TV demand to increase slightly compared to the same period of last year due to the impact of sports events on the market. In particular, the rapid growth of the premium TV market is expected to continue.”

LG Electronics also mentioned “With the plan for sales growth to be continued by responding timely to the demand for additional sports events, and strengthening sales of new products, we are going to maintain sound profit structure by increasing sales of OLED TVs and UHD TVs and enhancing cost competitiveness.”

 

Ha Jin-Ho, Senior Vice President of HE Division, LG Electronics said “ Achieving 14% operating profit in the 1st quarter, 2018 means that we have strengthened our brand centered on value, with no more volume sales.’’ OLED TV has brought synergistic effects, and we will continue to operate TV business with profitability. The proportion of OLED TV sales is expected to grow from 10 percent last year to mid 10% ~20% of the total TV sales this year.” he ad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