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k to: VIDEOBOARDLink to: FOCUSBOARD

LED lighting vs OLED lighting, 조명시장의 미래는?

OLED lighting 과 LED가 같이 실생활에 적용 됐을 경우 가장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와 앞으로의 OLED lighting 시장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주고 있다. …

Tianma, AMOLED 양산 시동 건다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인 Tianma가 그 동안의 연구 개발을 바탕으로 Gen5.5 라인 투자에 들어갔다.  Tianma는AMOLED 사업을 위해 별도 법인을 설립하고 상해 푸동 공장에 OLED 증착 라인만 투자할 예정이다.  Tianma의AMOLED 기술은 LTPS-TFT와 RGB 증착 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smart phone에서 tablet PC까지 대응 가능한AMOLED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주에 증착장비 공개 입찰이 진행되었으며, 예상 장비 입고 […]

LG Display, 2015~16년 UHD OLED 위주의 TV시장 전개

LG Display가 OLED TV 시장의 주도권을 지속적으로 이어 갈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LG 트윈타워에서 열린 13년 4분기 경영실적 발표회에서 전략그룹장 송영권 전무는 “UHD OLED에 대해 아직까지 수율과 cost 문제가 있어 당분간은 UHD LCD기반으로 시장이 열릴 것이나, 2015~16년에는 UHD OLED가 메인이 될 것” 이라고 밝혔다.   앞서 2014년 LG Display 전략에 대한 발표에서도 송 전무는 […]

쫓아오는 중국, 한국 AMOLED 대책은?

BOE와 CSOT, Tianma 등 중국 display maker가 본격적인 AMOLED 시장 진입을 선언했다. 중국정부의 막대한 지원으로 인한 빠른 투자 결정으로 한국 AMOLED 산업관계자는 무섭게 쫓아오는 중국의 속도를 실감하고 있다.   유럽과 북미의 smart phone과 TV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른 반면, 중국 smart phone 시장과 TV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빠른 성장에 발맞춰 중국은 공장증설을 통해 display 양산거점으로 […]

OLED lighting도 한국이 주도, LG화학 World largest OLED lighting panel 공개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15일 개최된 Lighting Japan 2014에서 LG화학이 세계에서 가장 큰 OLED lighting panel을 공개하여 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

[Lighting Japan 2014] OLED lighting 시장개화 더 지연되나?

15일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9시 30분 오전 컨퍼런스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Lighting Japan 2014가 개최되었다.

Philips와 Panasonic, Lumiotec등의

TV용 OLED 패널, 중국 추격 시작했다!

CES2014에서는 역대 가장 많은 OLED TV가 전시된 행사가 되었다.  OLED TV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LG전자에서는 가변형 77인치 flexible UHD OLED TV와 3종의 curved UHD OLED TV(55, 65, 77inch), 4종의 FHD OLED TV를 전시하였다. 삼성전자는 curved UHD TV 1종과 bendable FHD OLED TV, 3D Dual-View OLED TV를 출품하였다. Panasonic에서는 잉크젯 기술로 만들어진 curved UHD TV를 최초로 […]

삼성전자, OLED TV 사업 이상조짐

CES는 해마다 각 기업들의 사업 전략과 방향을 볼 수 있는 장소로 유명하다. 전세계 IT 분야의 주요 미디어와 애널리스트가 총출동하여 각 제품에 대해 기사를 쓰며 평가하기 때문에 CES에서 주목 받는 제품이 곧 그 해의 트랜드로 자리잡게 된다. 이번 CES2014 TV 분야의 key word에서 올해를 나타내는 단어는 단연 “curved TV”였으며, 미래를 보여주는 단어는“bendable TV 또는 flexible TV”였다. […]

[CES2014]이젠 가변형 디스플레이 시대다!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가변형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전시함으로써 2014년은 가변형 디스플레이의 경쟁 구도로 기술 트랜드가 급변하고 있다. 2013년 CES가 “curved OLED”였으나 2014년은 curved에서 더욱 진화한 “가변형” 디스플레이 시대로 변천하였다. 삼성전자는 “bendable”로 영문을 표시하며 LG전자는 “flexible”로 표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OLED와 LCD 모두 bendable 제품을 전시하였으나, LG전자는 OLED에만 적용하여 사업 전략이 OLED로 이동하고 있음을 확실히 나타내고 있다.  LCD에는 curved […]

[CES2014]삼성의 위력, 이 정도라니!

CES2014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고 있지만 전시장 대표 기업은 한국 분위기로 도배가 되고 있다.  행사 첫째 날 방문한 삼성전자 부스는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꽉 찼다.  삼성전자 제품을 먼저 보기 위한 취재진과 관람객에게 전시장이 통째로 점령당했다는 표현이 적절할 것이다.  행사 전날 개최된 press day의 삼성전자 conference에서는 입장 시간이 2시였지만 12시30분부터 이미 취재진들의 줄은 수십 미터 […]

[CES2014]LG디스플레이, flexible OLED 경쟁력 강화

CES2014의 기자간담회에서 LG디스플레이 한상범 사장은 flexible OLED 시장에서 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기 위해 주요 재료를 계열사와 협력하여 기술과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임을 밝혔다.  flexible OLED는 기존 LCD와 달리flexible 기판과 봉지재 등에서 유리가 아닌 필름이 사용되고 있어 화학 회사와의 협력이 무엇 보다 절실한 기술 분야이다. 실제로 LG전자의 G Flex가 휘어질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기판과 봉지재와 […]

[CES2014]LG디스플레이, TV용 UHD Curved OLED 포트폴리오 구성 완료

LG디스플레이가 대면적 OLED 패널에서 처음으로 55인치와 65인치, 75인치 UHD 해상도 제품 개발을 완료하고CES2014에 전격적으로 소개하였다. CES2014 개막전 날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2013년 제품보다 해상도와 휘도가 향상된 3종의 OLED TV와 화면 각도가 변경 가능한 UHD 77 inch flexible curved OLED TV를 소개하였다. 특히 이번에 전시한 OLED TV의 25%와 100% window box 휘도는 각각 450과 150cd/m2로서 기존 제품에 […]

[CES2014]LG디스플레이, OLED도 UHD로 먼저 간다!

LG디스플레이 한상범사장이 6일(현지 시각)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CES2014 기자 간담회를 갖고 UD 시장에서 LCD TV를 이어 OLED TV에서도 석권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사장은 2013년은 OLED TV의 서막이었으며, 2014년은 LG가 리딩하는 OLED TV의 개화 시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LG의 WRGB 기술이 OLED TV의 최적 기술로 입증된 만큼 OLED TV 시장은 LG가 선도할 수 밖에 없는 필연적인 사명임을 피력했다. […]

[CES2014]LG전자, OLED 신제품 공개

LG전자가 이번 CES2014의 press day에서 OLED가 채택된 제품으로서 77inch UHD flexible curved OLED TV와smart watch등을 공개하였다. Smart watch의 형태는 band형태를 띠고 있어 flexible OLED를 탑재한 제품이다. Flexible AMOLED가 탑재된 smart watch는 세계 최초로서 TV에 이어 새로 진출하는 smart watch 시장에서 LG전자가OLED로서 세계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reporter@olednet.co.kr

[CES2014] LG전자, 세계 최초 「가변형 올레드 TV」전격 공개

■ 6일(현지시간), 곡률 조정 가능한 77형 울트라HD 올레드 TV 선보여 ■ 리모컨 조작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곡률로 조정가능 ■ 가변형, 곡면형, 평면형 올레드TV 모두 ‘세계 최초’로 ‘그랜드 슬램’ 달성 ■ HE사업본부장 하현회 사장 “「가변형 올레드 TV」는 현존하는 TV 기술의 정점. 기술혁신을 통한 차별화된 올레드 TV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차세대 TV의 방향성을 제시해 나갈 것” LG전자가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2014 CES’에서 세계 최초 ‘가변형 올레드 TV’를 전격 공개했다. ‘가변형 올레드 TV’는 화면곡률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휘어질 수 있도록 설계한 TV다. LG전자는 77형이라는 초대형 디스플레이의 가변 구조 설계를 위해 기구, 디자인, 디스플레이 패널 등 전 분야에 걸쳐 기술 역량을 총 집약했다. 또 안정성 확보를 위해 수만 번의 테스트도 진행했다. ‘가변형 올레드 TV’는 사용자가 리모컨으로 화면 곡률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곡률은 평면부터 화면 크기와 시청 거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최대 곡률까지 조정 가능하다. 사용자가 원하는 곡률로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TV를 보는 환경과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LG전자는 ‘가변형 올레드 TV’를 선보임으로써 올레드 TV 분야에서 가변형, 곡면형, 평면형에서 모두 ‘세계 최초’ 타이틀을 차지하는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LG전자 HE사업본부장 하현회 사장은 “「가변형 올레드 TV」는 현존하는 TV 기술의 정점”이라며 “기술혁신을 통한 차별화된 올레드 TV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차세대 TV의 방향성을 제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porter@olednet.co.kr

LG전자, 올레드 TV로 시장선도

■ ‘2014 CES’서 77/65/55형 등 다양한 올레드 TV 라인업 공개 ■ 올해 상반기 출시예정인 ‘77형 울트라HD 곡면 올레드 TV’도 선보여 ■ TV사업담당 이인규 전무 “최고의 화질을 바탕으로 다양한 올레드 TV를 선보여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대중화 될 올레드 TV 시장을 이끌어 갈 것” LG전자가 올레드 TV 라인업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 주도권을 강화한다. LG전자는 7일부터 4일간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최대 가전전시회 ‘2014 CES’서 ‘77형 울트라HD 곡면 올레드 TV(77EC9800)’를 비롯해 65/55형 등 다양한 신제품 올레드 TV를 선보인다. 특히 이번에 선보이는 ‘77형 울트라HD 곡면 올레드 TV’는 양산제품으로 올해 상반기 출시 예정이다. 나뭇잎 모양을 형상화 한 스탠드 디자인은 초박형 올레드 화면에 어울리면서도 시청 집중도를 높였다. 이 제품은 획기적인 곡면 디자인과 초고해상도 울트라HD(3840×2160) 등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을 인정받아 ‘2014 CES 최고혁신상’을 수상했다. LG전자의 앞선 올레드 기술과 울트라HD 기술을 결합해 최고의 화질을 구현했다. 올레드 TV로는 세계 최대 크기인 77형의 대화면은 어느 위치에서나 왜곡 없는 최고의 2D, 3D 화질과 한층 깊은 몰입감을 제공한다. LG전자는 이번 CES에서 ‘77형 울트라HD 곡면 올레드 TV’ 와 함께 ‘65/55형 곡면 올레드TV’와 ‘갤러리 올레드 TV’ 등도 함께 선보인다. ‘갤러리 올레드 TV(55EA8800)’는 명품 액자형 프레임이 디스플레이를 감싸는 형태로 마치 갤러리에서 명화를 감상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사이에 내장된 스피커는 2.2채널 100와트(W)의 고출력 사운드로 풍부하면서 명료한 음향을 제공한다. LG전자는 부품 수를 줄이고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친환경 곡면 올레드 TV(모델명: 55EB9600)’도 선보인다. LG 갤러리 올레드 TV와 친환경 올레드 TV는 각각 디자인과 친환경 특장점을 인정받아 이번 ‘2014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 LG전자 TV사업담당 이인규 전무는 “최고의 화질을 바탕으로 다양한 올레드 TV를 지속 선보여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향후 대중화 될 올레드 TV 시장을 이끌어 갈 것” 이라고 강조했다.   reporter@olednet.co.kr

SNU Precision, 일본 장벽 확실히 넘었다!

한국 장비업체인 SNU Precision이 증착장비 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Tokki사를 제치고 중국 OLED 기업인 Visionox로부터 Gen5.5 증착장비를 수주 하였다. …

AUO, 모바일용 AMOLED 생산 지체

삼성디스플레이를 이어 모바일용 AMOLED 생산을 선언했던 AUO가 연말이 다가와도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고 있다. AMOLED 종주 기업인 삼성디스플레이가 아직 320ppi에 머물러 있지만 AUO는 RGB 방식으로 real FHD 5인치AMOLED를 개발하고 양산을 준비 중에 있다.  AUO는 AMOLED를 싱가폴 공장에서 생산 준비 중에 있으며, 고객사는HTC를 비롯한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이 될 예정이다. 하지만 AUO는 아직 수율 확보에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