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티엔마 업체,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에 가속화 추진중

ICDT2025 학술대회가 3월23일부터 25일까지 중국 샤먼시에서 개최 되었다. 전시 업체중에서 중국 티엔마 (Tianma) 업체는 타업체 대비 많은 마이크로 LED 제품 전시를 통해 중국 업체중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제품 개발에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물론 티엔마 업체는 이번 ICDT2025 학술대회에서 Micro-LED 이외에 LCD 기술 및 OLED 기술을 적용한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제품을 전시해 기술력을 과시하였다.

티엔마 업체의 마이크로 LED 주요 전시 제품을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마이크로 LED 제품으로는 일반 투명 디스플레이 이외에 저반사 기술을 적용한 투명 Micro-LED 와  TV 및 대형 스크린용  (Tile 방식) 으로 27” Micro-LED 를 전시하였다. 또한 10000 nits 휘도의 Micro-LED 패널을 통해 자동차용 8” HUD 스크린을 전시하였다.

티엔마 업체가 개발 전시한 8.07” 저반사 투명 Micro-LED 디스플레이

티엔마 업체가 개발 전시한 8.07” 저반사 투명 Micro-LED 디스플레이

8.0” HUD 응용 제품 (휘도 1만 nits)

8.0” HUD 응용 제품 (휘도 1만 nits)

27” Splicing Micro-LED Display 전시품

27” Splicing Micro-LED Display 전시품

27” 마이크로 LED 패널은 P0.4 mm의 7.5” 스크린을 이어 붙이는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붙이는 개수를 늘려 Video wall 및 Commercial display 응용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이와 관련된 기술 발표도 있었다. 또한 Micro-LED 효율 향상 기술 및  Mass-Transfer 기술도 발표를 하는 등 매우 활발하게 기술 개발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올해 상반기에 유비리서치의 Micro-LED 기술 보고서에 상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티엔마 업체는 중국 샤먼시에 마이크로 LED 생산라인 구축 프로젝트로서 2022년 3월에 장비 투자를 하였으며, 현재 3.5세대 Micro-LED 자동화 라인을 갖추고 있다. 티엔마의 LTPS 기술을 바탕으로 마이크로 LED 전 공정에 걸쳐 기술 개발 및 자동차, 타일링,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 제품화에 박차를 가해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유비리서치 김남덕 박사/애널리스트(ndkim@ubiresearch.com)

▶XR용 Micro-LED Display 기술 보고서

2024년 OLED 발광재료 사용량 130톤 역대 최고, 2028년 200톤 돌파 전망

‘1Q25_Quarterly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er’

‘1Q25_Quarterly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er’

유비리서치의 ‘1Q25_Quarterly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er’에 따르면 2024년 발광재료 사용량이 130톤으로 집계되었다. 한국 및 중국 패널 업체들의 출하량이 동시에 증가하면서 2023년 대비 30% 가까이 상승하였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꾸준히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삼성디스플레이의 rigid OLED 출하량이 급증하면서 재료 사용량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전체 OLED 발광재료 시장에서 사용량 기준 42%의 점유율을 차지하였으며, LG디스플레이는 20%, BOE는 13.2%를 차지하였다.

한국 패널 업체들의 재료 사용량이 아직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중국 패널 업체들의 추격 또한 만만치 않다. 중국의 BOE와 TCL CSOT, Tianma, Visionox, EDO의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은 2021년 1억 1,400만대에서 2024년 3억 9,400만대로 연평균 51%씩 성장하였다. 거기에 최근 BOE와 EDO 등 중국 패널 업체들의 IT용 OLED 패널 공급이 본격화되면서 중국 패널 업체들의 발광재료 사용량은 더욱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비리서치의 노창호 박사는 “2025년에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iPhone용 패널 출하량이 2024년 대비 증가가 예상되며, 삼성디스플레이의 tablet PC와 notebook, monitor 등 IT기기의 전반적인 출하량이 2024년 대비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발광재료 시장의 성장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 패널 업체들의 IT용 OLED 양산 확대까지 더해지면서 발광재료 시장은 2028년에는 200톤을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비리서치 노창호 박사/애널리스트(chnoh@ubiresearch.com)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 Sample

RGB Mini-LED TV가 OLED TV와 대결 구도를 이루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Micro-LED TV의 consumer market 진입이 2025년으로 알려진 가운데, 그보다 낮은 OLED 급 성능의 RGB Mini-LED TV가 시장에 진출하여 OLED TV와 대결구도를 이룰 것으로 알려졌다. RGB Mini-LED TV는 성능면에서 WOLED 구조의 OLED TV에 뒤지지 않는다. OLED 생산량에서 한국에 크게 뒤지고 있는 중국의 패널 생산 업체들이 전략적으로 RGB Mini-LED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SONY도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Hisense는 116 인치 4K TriChroma RGB Mini-LED TV를 CES2025에서 선보였다. 97% BT. 2020 색재현성, 10,000 nits peak 휘도, 10K 급 local dimming zone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TCL 역시 2026년에 RGB Mini-LED TV를 출시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RGB Micro-LED TV 라는 브랜드명으로 Mini-LED와 Micro-LED를 포함하는 RGB Mini-LED TV를 2025년중에 다양한 사이즈로 출시 예정이며, 98 인치 8K 제품을 CES2025에서 조용히 선보였다.

Sony도 일반 RGB LED Backlight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밝힌 바 있어, Bravia XR Mini-LED TV에 도입하여 Bravia XR RGB Mini-LED TV로 출시가 예상된다.

RGB Mini-LED Backlight의 가격은 기존의 Mini-LED Backlight의 가격과 유사 수준으로 예상되며 향후 OLED TV와 대결의 귀추가 주목된다.

Hisense’s 116UX 4K TV with TriChroma RGB Mini-LED backlight system (CES2025)

Hisense’s 116UX 4K TV with TriChroma RGB Mini-LED backlight system (CES2025)

Samsung’s 98-inch 8K Neo QLED prototype with RGB Micro LED backlighting (CES2025)

Samsung’s 98-inch 8K Neo QLED prototype with RGB Micro LED backlighting (CES2025)

유비리서치 김주한 애널리스트(joohanus@ubiresearch.com)

2024년 소형 OLED 디스플레이 출하량, 2023년 대비 2억대 증가, 2025년 10억대 돌파 전망

‘1Q25 소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1Q25 소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스마트폰과 폴더블폰, 스마트워치 등의 어플리케이션 실적과 전망이 포함된 유비리서치의 ‘1Q25 소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에 따르면 2024년 소형 OLED 출하량은 9억 8,000만대로 2023년 7억 7,300만대 대비 약 2억대 증가하였다. 2025년 소형 OLED 시장은 10억대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실적을 살펴보면 한국과 중국의 대부분의 패널 업체들의 출하량이 4~5,000만대 증가하였으며, 특히 중국 패널 업체인 TCL CSOT와 Tianma, Visionox, Everdisplay의 출하량이 2023년 대비 50% 이상 증가하였다. 중국 최대 패널 업체인 BOE는 연중에 iPhone 공급에 차질이 생기며 일시적으로 생산이 중단된 영향으로 패널 출하량은 약 8% 증가하는 것에 그쳤다.

중국 패널 업체들뿐만 아니라 한국 패널 업체들의 출하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삼성전자의 Galaxy A 시리즈에 rigid OLED 패널이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출하량이 2023년 3억 2,000만대에서 2024년 3억 8,000만대 수준까지 급증하게 되었다. LG디스플레이도 iPhone용 패널 공급 물량이 확대되면서 2023년 5,200만대 수준이었던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이 2024년 6,800만대까지 증가하였다.

중국 패널 업체들의 출하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삼성디스플레이의 rigid OLED 출하량과 LG디스플레이의 iPhone용 패널 출하량도 증가하고 있어, 2025년 소형 OLED 출하량은 10억대를 가볍게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유비리서치 한창욱 부사장은 “삼성전자의 Galaxy A 시리즈 하위모델과 중국 세트업체들의 저가형 모델에도 OLED가 확대 적용되고 있으며, BOE와 Visionox의 8.6G 신규 라인도 스마트폰용 패널을 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어 당분간 소형 OLED 출하량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다”고 전망했다.

유비리서치 한창욱 부사장/애널리스트(cwhan@ubiresearch.com)

▶소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Sample

중대형 OLED 개발 동향 및 전망

2025년 3월에 UBI Research에서 출간된 “2025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내용을 소개한다.

“2025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는 중대형 OLED 산업의 주요 이슈와 제품 동향, 패널 개발 동향 및 생산 라인 현황, 시장 전망 등을 다루고 있다.

중대형 OLED는 IT (노트북과 태블릿)용 OLED가 시장을 견인하고 있다. Automotive OLED 와 모니터용 OLED도 프리미엄 시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4년 노트북과 태블릿용 OLED 출하량은 각각 8.46백만대와 7.5백만대로 집계되었다. 2023년의 노트북과 태블릿용 OLED 출하량은 5.40백만대와 1.85백만대로서 노트북은 57% 태블릿은 400% 증가하였다. 2024년의 태블릿 OLED 출하량 급증은 iPad Pro용 OLED가 620만대 공급된 영향이 컸다.

2025년 노트북과 태블릿용 OLED 출하량은 각각 10.8백만대와 16백만대로 전망된다.

뛰어난 명암비, 빠른 응답속도, 우수한 색재현력 등 AI 기반의 콘텐츠 소비에 적합한 IT용 OLED 출하량은 2028년에는 5천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비리서치 ‘2025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유비리서치 ‘2025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중대형 OLED는 IT용 OLED 패널과 TV, 모니터 및 automotive용 OLED 패널과 같은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TFT 기판 기술과 OLED 소재 및 공정 기술이 적용된다. 본 보고서에서는 tandem OLED와 발광 재료 및 encapsulation 기술 등의 핵심 기술 개발 동향을 소개하고, 응용 분야 별로 기술의 특징을 분류하고 LTPO와 oxide TFT 기술 등의 개발 동향을 분석하였다. Inkjet 공정, Photolithography 패터닝 기술 등 차세대 OLED 개발을 위한 핵심 기술 개발 동향도 파악하고 기술 경쟁력도 분석하였다.  

본 보고서는 8.6G IT라인 투자 동향과 IT용 OLED 및 automotive용 OLED 패널 등의 이슈를 분석하고 패널 업체별 기술 개발 동향과 2029년까지의 OLED 시장 전망을 제공하여 연구 개발자의 개발 방향 수립과 새로운 사업 기획을 위한 시장 현황 파악 등에 유용한 가이드 라인이 될 것이다.

유비리서치 노창호 애널리스트(chnoh@ubiresearch.com)

▶2025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Sample

[MWC 2025] Huawei, Mate XT Ultimate

 

[MWC 2025] ZTE, UPC

[MWC 2025] Lenovo, Robot Arm

[MWC 2025] Lenovo, Slidable

[MWC 2025] Lenovo, Foldable

2024년 IT용 OLED 출하량 전년도 대비 2.2배 증가, 2028년 5천만대 돌파

유비리서치 ‘2025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유비리서치 ‘2025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유비리서치의 최신 보고서인 ‘2025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년간 비슷한 수준의 출시 제품 수를 유지하던 소형 OLED와 달리 IT OLED, 특히 노트북과 태블릿 출시제품들이 2024년 들어 급증하였다.

2024년 노트북과 태블릿용 OLED 출하량은 각각 8.46백만대와 7.5백만대로 집계되었다. 2023년의 노트북과 태블릿용 OLED 출하량은 5.40백만대와 1.85백만대로서 노트북은 57% 태블릿은 400% 증가하였다. 2024년의 태블릿 OLED 출하량 급증은 iPad Pro용 OLED가 620만대 공급된 영향이 컸다.

2024년에 출시된 OLED 태블릿 PC는 Apple의 제품이 2종, 삼성전자의 제품2종, Huawei의 제품 2종, Honor의 제품이 2종으로 총 8종이었다. 2024년에 출시된 Apple의 iPad Pro에 이어, iPad mini, Air 등의 모델에도 OLED가 적용되며 OLED 태블릿 PC 시장은 더욱 확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52종에서 2023년 44종으로 출시제품 수가 소량 감소했던 노트북 또한 2024년 80종으로 약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2026년에는 MacBook Pro에도 OLED가, 2028년에는 MacBook Air에도 OLED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비리서치 한창욱 부사장은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확실히 자리 잡은 OLED가 IT 제품군에서도 프리미엄급을 중심으로 급속히 사용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2025년 노트북과 테블릿용 OLED 출하량은 각각 10.8백만대와 16백만대, 2028년에는 IT용 OLED 출하량이 5천만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뛰어난 명암비, 빠른 응답 속도, 우수한 색재현력 등 AI 기반의 콘텐츠 소비에 적합한 특성을 갖춘 OLED가 IT 기기에서 프리미엄 디스플레이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비리서치 한창욱 부사장/애널리스트(cwhan@ubiresearch.com)

▶2025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Sample

2024년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 전년도 대비 27% 증가, 2026년 10억대 돌파

유비리서치에서 최근 발간한 ‘2025 소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각각 8.34억대와 2천4백만대로 집계되었다. 2023년의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각각 6.55억대와 2천 2백만대였다.  

삼성전자의 rigid OLED 사용량 확대와 중국 패널 업체들의 flexible OLED 출하량 증가로 인해 2024년의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 합계는 전년도에 비해 27% 증가하였다.

2025년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각각 9.1억 대와 3천80만 대로 예상되어 2024년 대비 스마트 폰은 9%, 폴더블 폰은 2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중국의 스마트폰과 폴더블 폰용 OLED 출하량은 4.9억대로서 한국의 4.51억대에 비해 출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부터 Apple에서 폴더블 OLED 폰을 출시할 전망이어서, 폴더블 폰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6년에는 스마트폰용 및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이 10억대, 2029년에는 13억대를 돌파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형 OLED 출하량이 증가하더라도 2025년부터는 매출액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플렉시블 OLED 출하량은 계속 증가하겠지만, 판매 가격 하락으로 인해 전체 매출액은 감소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패널 출하량의 증가에 따라 중국 패널 업체들의 매출액 점유율도 서서히 증가하겠지만, 2029년까지 한국 패널 업체들의 매출액 점유율이 5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비리서치 노창호 애널리스트(chnoh@ubiresearch.com)

▶2025 소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Sample

Lenovo, 2025년 중순 rollable Notebook 출시, SDC 패널 단독 공급

Lenovo가 전시한 foldable notebook

Lenovo가 전시한 foldable notebook

노트북 제조업체 Lenovo에서 2025년에 rollable OLED notebook을 출시할 예정이며,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가 단독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Lenovo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25에서 foldable OLED가 적용된 AI notebook과 rollable OLED가 적용된 AI notebook을 동시에 전시하였다.

Lenovo가 전시한 foldable notebook의 이름은 ‘ThinkBook codename Flip’이며, 폴딩시에 13인치, 펼치면 18.1인치의 화면 크기를 가지고 있다. 무게는 1.4kg으로 매우 가벼우며, 두께는 16.9mm다.

inkBook Plus Gen 6 Rollable AI PC

inkBook Plus Gen 6 Rollable AI PC

Lenovo는 또 하나의 신제품으로 Rollable AI PC를 선보였다. Rollable AI PC의이름은 ‘ThinkBook Plus Gen 6 Rollable AI PC’로 크기는 14인치에서 최대 16.7인치까지 증가하는 rollable display를 탑재했다. Lenovo의 두 제품 모두 삼성디스플레이에서 단독 공급하며, 2025년 중순 출시가 예정되어 있다.

Lenovo의 rollable notebook 시장 진입으로 foldable/rollable notebook 시장의 규모가 확장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유비리서치 김준호 애널리스트(alertriot@ubiresearch.com)

▶2025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Sample

소형 OLED 개발 동향 및 전망

2025년 3월에 유비리서치에서 출간된 “2025 소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내용을 소개한다.

2024년 스마트폰과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각각 8.33억대와 2천5백만대이며, 2025년에는 9.1억대와 3천만대 시장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의 rigid OLED 사용량 확대와 중국 패널 업체들의 flexible OLED 출하량 증가 및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가 LCD에서 OLED로 교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2025년 중국의 스마트폰과 폴더블 폰용 OLED 출하량은 4.9억대로서 한국의 4.51억대에 비해 출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부터 Apple에서 폴더블 OLED 폰을 출시할 전망이어서, 폴더블 폰 시장은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Premium 모델을 중심으로 새로운 LTPO (more Oxide TFT)와 pol-less (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COE) 및 low reflectivity 기술이 적용된 패널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기 두께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중국 업체에서는 tandem OLED를 스마트 폰에도 적용하여 OLED 패널의 점유율 경쟁에 활용하고 있다. BOE는 월 32K의 8.6세대 (2290㎜×2620㎜) OLED 생산 라인을 Chengdu B16에 건설하고 있으며, IT 기기용 hybrid OLED와 스마트폰용 flexible OLED를 생산할 수 있도록 장비를 주문하고 있다.   

“2025 소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소형 OLED 제품의 트렌드 분석과 패널 업체별 패널 개발 현황 및 라인 현황, 향후 시장 전망 등을 수록한 보고서다.

패널 업체별 기술 개발 동향과 2024년 월간 가동률을 분석하였으며, 2029년까지 OLED 전체 시장과 패널 업체별, 응용 제품별, 국가별 시장을 전망하였기에, 본 보고서는 시장 현황을 파악하고 새로운 사업 기획을 위한 중요한 가이드 라인이 될 것이다.

유비리서치 노창호 애널리스트(chnoh@ubiresearch.com)

▶2025 소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Sample

삼성디스플레이 2024년 notebook용 OLED 패널 55% 증가, 2025년 1,000만대 이상 출하 전망

유비리서치 ‘1Q25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유비리서치 ‘1Q25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유비리서치의 ‘1Q25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에 따르면 2024년 삼성디스플레이의 notebook용 OLED 패널 출하량은 약 840만대로 2023년 대비 55% 급증하였다. 삼성전자 뿐만이 아니라 Dell과 HP, Lenovo 등 해외 노트북 세트 업체들에게 공급하는 삼성디스플레이의 notebook용 OLED패널 물량이 증가하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24년 840만대의 notebook용 OLED를 출하하였으며, 2025년에는 1070만대, 2026년에는 1,830만대의 notebook용 OLED 패널을 출하할 것으로 전망된다.

Apple의 iPad Pro에 OLED가 적용된 수혜를 입은 2024년처럼 Apple MacBook Pro에 OLED가 적용되는 시점인 2026년에 notebook용 OLED 시장이 40%이상 급성장 할 것으로 전망된다.

Apple뿐만 아니라 해외 notebook 세트 업체들의 OLED notebook 출시 제품 또한 증가하고 있다. 2020년에 불과 12종이 출시되었던 OLED notebook은 2023년 33종, 2024년에는 80종이 출시되며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일반 notebook 뿐만 아니라 Lenovo나 Asus에서 출시한 foldable notebook, 출시 예정인 slidable notebook 또한 시장 확장에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비리서치 김준호 애널리스트(alertriot@ubiresearch.com)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Sample

[MWC 2025] Samsung Display, Light Field Display

[MWC 2025] Samsung Display, Round Display

[MWC 2025] Samsung Display, Rollable Display

[MWC 2025] Samsung Display, Next Gen Foldable Display

[MWC 2025] Samsung Display, Micro LED Stretchable Display

[MWC 2025] Samsung Display, Foldable Display

[MWC 2025] Samsung Display, Bezel less Display

초대형 차량 디스플레이의 전진

차량 디스플레이의 크기와 댓수가 증가할 뿐 아니라 최근에는 대시보드의 여러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스크린으로 통합하는 필라투필라 디스플레이가 자동차에 적용이 되고 있다. 필라투필라 디스플레이는 단순하고 세련된 인테리어를 통하여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의 경쟁력 강화시키고, 대형 화면을 통하여 자동차에서 영화나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는 잇점이 있다. 작년에 출시된 Geely Galaxy E8 전기차에는 45인치 필라투필라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비정질 실리콘 TFT와 Mini-LED를 적용한 패널로서 BOE에서 제공되었다.

소니 혼다 모빌리티가 오는 2026년 출시할 전기차인 아필라(AFEELA)에는 40인치 필라투필라 디스플레이가 적용이 된다. 40인치 필라투필라 디스플레이 LTPS TFT와 Mini-LED를 적용한 패널로서 LG디스플레이에서 제공이 된다.

(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 제공)

LTPS TFT는 비정질 실리콘 TFT보다 이동도가 빨라서 고해상도의 고휘도 패널을 만들기 용이하고 블랙 테두리 부분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로칼디밍을 이용하는 Mini-LED는 칩 수를 증가시킬수록 가격은 상승하지만 외부 시인성에 있어서 중요한 명암비를 높이고 두께를 줄여 OLED와 유사한 화질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유비리서치의 한창욱 수석 애널리스트는 “자동차 디스플레이의 LTPS TFT 점유율이 매출액 기준으로 2024년에 34.7%였고, 2030년에는 52.3%로 성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Mini-LED의 자동차 디스플레이 점유율은 2024년 6.4%였지만 2030년에는 29.1%로 점유율이 증가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유비리서치 한창욱 애널리스트(cwhan@ubiresearch.com)

▶2025 Automotive Display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XR의 미래, 4월 OLED & XR KOREA 2025에서 만나다

글로벌 디스플레이 산업의 최신 기술과 혁신을 조망하는 “OLED & XR KOREA 2025” 컨퍼런스가 2025년 4월 16일부터 18일까지 양재 EL타워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서는 글로벌 OLED 디스플레이 및 XR 산업의 핵심 기업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과 시장 전망을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폼팩터 혁신,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XR 광학 기술, 퀀텀닷(QD) 응용, 그리고 중국 OLEDoS 산업 동향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된다.

주최자인 유비리서치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들이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에서 본 행사를 개최하게 되어 의미가 깊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글로벌 기술 교류와 협력을 촉진하고, 디스플레이 및 XR 기업, 부품 공급업체, 패널 제조업체, 연구 기관, 투자자들이 모여 새로운 비즈니스 협력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본 행사에서는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디스플레이, XR 디스플레이, Micro LED 디스플레이, 퀀텀닷(QD) 기술, 중국 OLEDoS 산업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XR 관련 핵심 주제를 다룬다.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는 유연성과 디자인 자유도를 강조하며, SDV 디스플레이는 전기차 및 자율주행 시대에 적합한 기술을 소개한다. Micro LED 와 XR 디스플레이의 기술과 산업 동향을 조명하며, 퀀텀닷 기술은 자동차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최신 트렌드를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중국 OLEDoS 산업 세션에서는 중국 시장의 현황과 주요 도전 과제를 분석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다고 밝혔다.

본 행사의 사전 등록 기간은 2025년 4월 11일까지이며, 자세한 내용은 OLED & XR KOREA 공식 홈페이지(https://olednxrkorea.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OLED & XR KOREA 2025 사전등록

AI/AR 안경 성장,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발전에 크게 기대

AI 기술 연착륙이 진행되며 AI 시대가 열리고 있다. 근래에 와서 AI 전쟁의 승리자가 되기 위한 빅테크 기업들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AI의 멀티모달(multimodal) 기술을 통해 음성, 영상, 사진 등의 인터랙션 방식이 AI 기능에 대한 시장의 인식을 새롭게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AI/AR 안경 제품은 투시 기능이 있는 동시에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등 다양한 센서를 탑재해 실시간으로 자료와 음성 또는 디스플레이에 접근해 상호작용을 완성할 수 있는 AI 단말이 더욱 선호될 것으로 본다. 이에 따라 작년에 AI/AR 안경은 많은 관심을 얻은 제품이다.

Ray-Ban META AI 안경(좌) 및 META Orion AR 안경 프로트타입 제품(우) (source: META)

Ray-Ban META AI 안경(좌) 및 META Orion AR 안경 프로트타입 제품(우) -(source: META)

레이밴 스마트 안경은 메타의 현재이자 오리온(Orion) 프로젝트는 메타의 미래라고 볼 수 있다. 2024년 9월, 메타는 오리온 안경 프로토타입을 선보이며 혁신적인 디스플레이 기술로 AR 안경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마이크로 LED를 오리온 AR 안경의 디스플레이 솔루션으로 채택하였다. AR 안경은 실외 환경에서 잘 보이려면 초고휘도(5,000니트 이상, 이상적으로는 10,000니트 이상)가 필요하다. 또한 마이크로 LED는 매우 슬림하고 착용시 멋스런 AR 안경에 필요한 경량 소형 디스플레이 엔진으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JBD “허밍버드 미니 II” 모노칼라 엔진 (0.15cc, 0.3그램)과 일상용 안경 (source: JBD)

JBD “허밍버드 미니 II” 모노칼라 엔진 (0.15cc, 0.3그램)과 일상용 안경 (source: JBD)

“AI”는 CES 2025의 하이라이트이었으며 AI 스마트 안경은 주목의 초점 중 하나가 되었었다. 브젝스(Vuzix), 록키드(Rokid), 고어텍(Goertek), 레이네오(RayNeo) 등 업체가 마이크로 LED를 적용한 AI 안경 신제품을 선보였다.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제조 업체중에 중국 제이드 버드 디스플레이(JBD)는 마이크로 LED 마이크로디스플레이 전문업체로서 허페이에 있는 시설에서 연간 1억개 이상의 0.13인치 마이크로LED 패널을 생산할 수 있는 제조 캐파를 갖추고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 미국 및 유럽업체 이외에 스탄(Sitan), 레이솔브(Raysolve) 등 중국과 대만 업체들의 개발 및 생산 준비가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 2월 14일에 개최된 유비리처치 상반기 세미나에서 XR용 마이크로 LED기술과 업체 동향에 대한 발표를 한 바 있다. AI 안경은 AI와 AR 기술의 발전과 접목하여 2024년에 꽃이 피기 시작하였고, 2025년에는 더 많은 대형 제조업체가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AI/AR 스마트 글래스가 AI/AR 산업의 가속화된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낙관하며, 마이크로 LED 기술 발전에도 큰 기대가 되고 있다.

유비리서치는 1월에 XR용 Micro-LED 기술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본 보고서에는 XR 안경에 필요한 LEDoS 패널 제작과 관련된 기술을 정리하였다. LEDoS의 Micro-LED 기술의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Micro-LED 관련 기술 개발을 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미래 기술 발전 방향을 설계하는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유비리서치 김남덕 애널리스트(ndkim@ubiresearch.com)

▶XR용 Micro-LED Display 기술 보고서

Panoramic HUD의 경연장이 된 CES 2025

2025년 2월에 유비리서치에서 출간된 “2025 Automotive Display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내용을 시리즈로 소개한다. 첫번째 시리즈로 보고서 내용 중에 있는 Panoramic-HUD를 소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head up display는 자동차 앞 유리인 windshield에 투사되어 운전자로부터 몇 미터 떨어져 생성되는 가상의 이미지를 보는 방식이다. Panoramic HUD는 일반 HUD와 달리 디스플레이에서 투사된 이미지를 windshield 아래 면에 코팅된 블랙 필름에 직접 반사하는 방식이지만, 운전자가 운전 중에 head up 상태로 전방 시야를 유지할 수 있게 해 주므로 HUD로 분류된다.

Panoramic HUD는 direct image 방식으로 구현되므로, 설계가 단순하고 시스템 비용이 낮다. 이는 제조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프리미엄 차량의 디지털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P-HUD는 p-편광을 반사하므로 눈부심을 방지하는 편광 선글라스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AR-HUD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전에 panoramic HUD가 시장에 먼저 진입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올 해 CES에서도 여러 업체에서 Panoramic HUD를 발표하며 P-HUD 경연장을 방불케 하였다.

BMW는 panoramic HUD를 “Panoramic Vision”이라고 부르며, 2025년부터 출시될 뉴 클래스(Neue Klass) 모델에 탑재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TFT-LCD를 이용한 방식으로 휘도가 약 5,000nit를 구현하지만 야외 시인성을 높이려면 더 높은 휘도를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하여 블랙 필름을 제조하는 대만 업체인 e-LEAD와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

(Source: BMW)

(Source: BMW)

BOE는 44.8 인치 Oxide TFT-LCD 패널과 2,850 zone의 로칼 디밍을 적용하여 휘도5,000nit(normal)/7,000nit(10% peak)인 P-HUD를 소개하였으며, P-편광 반사율이 25%이므로 편광 선글라스를 사용할 수 있다.

TCL-CSOT는 11.98 인치 TFT-LCD 3개의 패널과 384 zone의 로칼 디밍을 적용하여 휘도가 11,000nit인 P-HUD를 소개하였다.

Innolux가 2019년 설립한 자회사 CarUX는 48 인치 P-HUD를 소개하였으며 micro-LED 패널을 사용하였으므로 14,000nit라는 높은 휘도를 자랑하였다.

Hyundai Mobis는 독일 Zeiss 사의 홀로그램 기술을 도입하여 투과율 95%인 투명 P-HUD를 소개하였으며 2027년에 양산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Continental도 2023년에 TFT-LCD 3개의 패널과 로칼 디밍을 적용한 panoramic HUD인 “Scenic View HUD”를 소개하였으며, 2026년 출시할 계획이라고 한다.

P-HUD가 통풍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난방, 환기 및 공조 하드웨어 등을 재배치해야 하고, 방열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하므로 디스플레이 외에도 여러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있어서 시간이 많이 걸렸지만 2025년이 P-HUD 출시 원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보고서는 HUD를 포함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술의 전반적인 동향과 완성차, 전장업체 그리고 패널업체의 디스플레이 개발 및 차량 적용 현황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자동차 및 디스플레이 산업의 관계자라면, 지금이 바로 시장의 흐름을 분석하고 미래 전략을 준비해야 할 중요한 시점입니다. 미래 차량 디스플레이 시장의 흐름을 미리 파악하고, 산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본 보고서를 통해 한발 앞선 인사이트를 확보하시기 바랍니다.

유비리서치 한창욱 애널리스트(cwhan@ubiresearch.com)

▶2025 Automotive Display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유비리서치 2025 상반기 세미나, 2월 14일 과학기술컨벤션센터 개최

디스플레이 시장조사업체 유비리서치가 2025년 2월 14일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유비리서치 2025 상반기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OLED 기술은 스마트폰, TV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동차 디스플레이, AR/VR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디스플레이와 같은 새로운 응용 분야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유비리서치 소속 애널리스트와 외부 전문가들이 디스플레이 산업과 기술 동향, 시장 전망에 대해 발표하며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발표 주제는 △OLED 시장 동향과 전망 △자동차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마이크로 LED 전사 기술 동향 △LEDoS 기술 및 업체 동향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기술 현황 △발광 재료 및 부품소재 개발 동향 △IT향 OLED 시장 동향 및 전망 등으로 구성된다.

유비리서치는 이번 세미나가 디스플레이 시장과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련 기업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사전등록은 2월 12일(수)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유비리서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비리서치 2025 상반기 세미나 사전등록 하러가기

[CES 2025] TCL CSOT, QD Mini LED Display

[CES 2025] TCL CSOT, IJP Medical Ultrasound Suitcase

[CES 2025] TCL CSOT, Curved Wood Infused Display / Entertainment Display

[CES 2025] TCL CSOT, 163-inch Micro LED TV

[CES 2025] TCL CSOT, 115-inch QD Mini LED TV

[CES 2025] TCL CSOT, 14-inch IJP QD EL Notebook

[CES 2025] TCL CSOT, 4K 120Hz IJP OLED MNT

[CES 2025] TCL CSOT, 3D AR HUD

[CES 2025] TCL CSOT, 21.6″ 4K IJP OLED Professional Display

[CES 2025] 서울반도체, 360 Same color

[CES 2025] 삼성디스플레이, Stretchable 디스플레이

[CES 2025] 삼성디스플레이, Slidable Flex Vertical

[CES 2025] LG전자 투명 OLED T

[CES 2025] LG전자 투명 OLED T

[CES 2025] 삼성디스플레이, OLED 노트북의 AI Winning Mode On

[CES 2025] 삼성전자, Micro LED TV

[CES 2025] LG전자, LG Signature OLED T

[CES 2025] LG전자, AI홈

[CES 2025] Kyocera, BIFOCAL Mirror

[CES 2025] Hisense, Ultra Bright Laser TV

[CES 2025] Hisense, Rollable Laser TV

[CES 2025] Hisense, RGB Local Dimming Mini LED TV

[CES 2025] Hisense, Micro LED Transparency Display

[CES 2025] Changhong, 77-inch OLED TV

[CES 2025] BOE, Foldable + Curvable Flexible Automotive Display

[CES 2025] BOE, Automotive Slidable OLED Display

[CES 2025] 삼성디스플레이 Micro LED Watch

[CES 2025] LG전자, 투명 OLED

삼성디스플레이의 첫 마이크로엘이디 워치

CES2025가 개최되는 라스베이거스의 Encore 호텔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프라이빗 부스를 준비했다. 최신 기술들이 접목된 OLED 속에서 유일하게 마이크로 엘이디가 등장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수년간 조용히 마이크로 엘이디를 개발해 왔으며, 이번에 처음으로 워치용 마이크로 엘이디를 선보였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마이크로 엘이디는 2.1인치이며 418×540 해상도, 326ppi이다. 휘도는 4,000nit 이상이다.

LG전자 투명 OLED T

CES2025에서 LG전자의 부스에 전시된 TV는 투명 OLED로 만든 “OLED T”이다.

77인치 OLED T는 박스 형태로 만들어져 있으며, 투명 OLED 패널 뒤편에 커튼이 설치되어 있다. 이 커튼이 내려가 있으면 투명 TV이나 커튼이 올라가면 일반 TV가 된다.

엘지 전자는 투명 OLED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양문형 투명 도어 냉장고를 전시하였다. 이 냉장고의 양 문은 투명 OLED가 설치되어 있다. 불투명 도어를 노크하면 냉장고 내부가 보이는 구조이다.

LG전자, CES에서 투명 OLED로 전시장을 밝혔다

LG전자가 CES2025에서 가장 역점을 둔 TV는 투명 OLED이다. 24장의 77인치 투명OLED를 코드리스 방식으로 연결하여 원형 전시 공간을 만들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 CES2025 키워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QD-OLED 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필승 키워드를 CES2025에서 공개하였다. “Brightness, Highest, Fastest”이다.

“Brightness”는 업계 최초로 TV용 OLED에서 4,000nit를 달성한 제품이다.

2025년 QD-OLED는 OLED 구조를 바꾸어 4,000nit라는 고 휘도를 OLED 업계 최초로 달성했다. OLED구조는 4스택에서 5스택으로 변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스택 QD-OLED에는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녹색(Green)층이 하나 더 추가가 되어서 청색(Blue)-청색(Blue)-녹색(Green)-청색(Blue)-녹색(Green)으로 구성된다.

“Highest”는 증착 방식으로 제조한 27인치 OLED 모니터에서 160ppi를 달성한 제품이다. 이전에 JOLED(JDI로 흡수)에서 잉크젯 방식으로 204ppi를 달성한 적이 있지만 증착 방식에서는 세계 최초의 고해상도 제품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추후 27인치에서 220ppi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니터에서 또 다른 혁신은 “Fastest”이다. 점차 늘어나고 있는 게임층을 공략하기 위해 500Hz의 주사율 OLED 모니터를 개발하였다. 이 모이터는 잔상이 없고 매우 빠른 응답 속도를 보유하고 있어 빠르게 전개되는 게임 속도에 맞추어 게이머가 플레이를 할 수 있다.

2024년 3사분기 OLED 발광재료 구매량 32.7톤, 2024년 발광재료 구매량 역대 최대 달성 전망

유비리서치의 ‘4Q24_Quarterly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er’에 따르면 2024년 3사분기 발광재료 구매량이 32.7 톤으로 집계되었다. 기존에는 코로나 19 특수로 시장이 확대되었던 2021년에 재료 구매량이 가장 높았으나, 2024년 3분기 역대 최고점을 다시 갱신했다. 매년 4사분기에 가장 높은 사용량을 나타내는 OLED 발광재료의 특성을 고려해봤을 때, 2024년도는 역대 최고의 사용량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꾸준히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전체 OLED 발광재료 시장에서 구매량 기준 41.4%의 점유율을 차지하였으며, LG디스플레이는 20.5%, BOE는 11.6%, Visionox는 8.3%로 뒤를 이었다.

기판별로는 RGB OLED가 구매량 기준 점유율 83.7%로 여전히 80%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8.6G 라인들이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하면서, RGB OLED의 점유율은 점차 내려올 것으로 예상된다. WRGB-OLED의 점유율은 2사분기와 비슷한 11.3%를 차지하였으며, QD-OLED의 점유율은 2.8%였다.

RGB 2 stack tandem OLED의 점유율은 2사분기에 iPad Pro OLED 출하량 급증으로 한때 점유율이 6.4%까지 상승하였으나, 3사분기에 수요가 저조하며 2.2%대로 낮아졌다. 패널 출하량과 비교해봤을 때, single stack OLED가 적용되는 스마트폰용 OLED에 2stack tandem OLED가 적용되는 IT기기는 패널 면적이 크고, 발광층이 2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재료 구매량은 출하량보다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였다.

다만 BOE의 8.6G라인에서 스마트폰용 OLED를 우선 공급하는 것이 확정되면서, 2 stack tandem OLED 시장의 성장은 삼성디스플레이의 손에 달리게 되었다. MacBook Pro에 OLED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6년부터 2 stack tandem OLED에 적용되는 발광재료 구매량이 2024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MacBook Pro에 공급되는 2 Stack tandem OLED 패널은 삼성디스플레이에서 우선 공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비리서치 김준호 애널리스트(alertriot@ubiresearch.com)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 Sample

삼성디스플레이 Auto용 OLED 출하량 급증, tablet PC용 패널 출하 줄어도 매출액 건재

‘4Q24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4Q24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삼성디스플레이의 3사분기 중대형 OLED향 출하량과 매출액이 2사분기와 비슷하게 집계되었다. iPad Pro OLED의 판매 저조로 인해 tablet PC용 OLED 출하량이 감소되었으나, 다른 application에서 출하량이 증가하여 매출액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중대형 OLED로 tablet PC뿐만 아니라 notebook과 Monitor, 자동차용 OLED까지 다양한 application의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최근 발간된 유비리서치의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에 따르면 2사분기에 iPad Pro OLED의 패널이 본격적으로 양산되기 시작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중대형 OLED 패널 출하량과 매출액이 급증하게 되었다. 다만 3사분기에 들어 iPad Pro OLED의 판매 저조로 인해 패널 출하량이 급감하면서 tablet PC향 OLED 출하량과 매출액이 두 패널 업체 모두 급감하게 되었다. TV향 OLED 출하량과 tablet PC향 OLED 출하량이 동시에 급증하여, 2021년 4분기 이후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한 LG디스플레이의 출하량은 전분기 대비 34% 감소하였으며, 매출액은 23% 감소하였다. 다만 TV향 OLED 출하량이 전년대비 회복되었기 때문에 전년 동기 기준으로는 중대형 OLED 출하량은 124%, 매출액은 111% 상승하였다.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에도 tablet PC향 출하량과 매출액이 감소되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삼성전자와 Apple에 tablet PC용 OLED를 공급하고 있는데, 삼성전자향 tablet PC용 OLED 출하량은 크게 변화가 없었지만 Apple향 패널 공급이 감소하였다. 이에 따라 tablet PC향 매출액도 전분기 대비 38% 감소되었지만, 다른 Application 들의 매출액 증가로 전분기와 비슷한 매출액을 유지할 수 있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application중 가장 크게 성장한 것은 자동차용 OLED이다. 자동차용 OLED 출하량은 1사분기에 10만대, 2사분기에 약 20만대, 3사분기에 약 50만대로 급증하고 있다.

8.6G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삼성디스플레이의 중대형 OLED 출하량은 2025년 연말부터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디스플레이가 8.6G 라인 양산 시점을 2025년 연말로 앞당기면서 시장의 팽창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Tablet PC와 Auto향 OLED 뿐만 아니라 notebook과 monitor 시장도 Apple의 시장 진입과 동시에 급격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비리서치 김준호 애널리스트(alertriot@ubiresearch.com)

▶중대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Sample

3사분기 소형 OLED 출하량, 전분기 대비 7.8% 상승, LG디스플레이 출하량 급증

‘4Q24 소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4Q24 소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3사분기 소형 OLED 시장이 이전분기 대비 7.8% 상승했다. 대부분의 패널 업체들은 2사분기와 비슷한 수준의 패널 출하량을 기록하였으나, LG디스플레이와 중국의 Everdisplay의 출하량이 급증하면서 전체 출하량이 증가하게 되었다.

최근 유비리서치에서 발간한 ‘4Q24 소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에 따르면 2024년 3사분기 소형 OLED 출하량은 2억 4700만대로 전분기 대비 7.8%, 전년 동분기 대비 32.6% 상승했다. 삼성디스플레이와 BOE를 비롯한 중국 패널업체들의 출하량은 이전 분기와 비슷하거나 조금 적은 출하량을 기록하였지만, LG디스플레이와 중국의 Everdisplay의 출하량이 급증하면서 전체 출하량은 증가하게 된 것이다.

LG디스플레이는 본격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iPhone 16 시리즈를 기반으로 전분기 대비 64% 상승한 1,760만대의 iPhone용 패널을 출하하였으며, 스마트워치는 147% 상승한 1,220만대의 출하량을 기록하였다. 출하량 증가의 영향으로 LG디스플레이의 매출액은 전분기 대비 74%, 전년 동분기 대비 115% 증가하였다.

LG디스플레이의 출하량은 4분기에 이어 내년에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에 출시될 예정인 iPhone 17 시리즈에 LTPO TFT가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BOE의 초기 패널 공급이 사실상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며, BOE가 패널을 공급하지 못하는 만큼 LG디스플레이에게 물량이 이관될 수 있다. 다만 LG디스플레이는 현재 풀 캐파에 가깝게 패널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패널을 더 많이 생산하기 위해서는 라인 증설이 필요하다. 8.6G 투자를 빠르게 시작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기 때문에 6G라인을 증설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분석이 있다.

중국 패널 업체 중에서는 Everdisplay와 Tianma의 출하량이 증가하였다. Tianma의 출하량은 증가하긴 하였으나, 미미한 수준이었고, Everdisplay의 출하량은 1,300만대로 전분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삼성디스플레이의 출하량은 다소 감소되었지만, 매출액은 2사분기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BOE의 출하량은 2사분기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매출액은 15% 증가하였다. 4사분기에는 LG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삼성디스플레이와 BOE의 출하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4사분기에 출하량이 가장 높은 OLED 시장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2024년 전세계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은 8억대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비리서치 김준호 애널리스트(alertriot@ubiresearch.com)

▶소형 OLED 디스플레이 마켓트랙 Sample

2025년 출시될 iPhone 17 시리즈, 삼성과 LG디스플레이에서 패널 공급, BOE는 미지수

iPhone 17 Slim 예상 이미지 (유튜브 Apple Explained 캡쳐화면)

iPhone 17 Slim 예상 이미지 (유튜브 Apple Explained 캡쳐화면)

내년에 출시될 iPhone 17 시리즈에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두 업체만 패널을 공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BOE가 새로운 모델에 공급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지만, 2025년 안으로 패널 승인을 받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BOE는 기존에 노말 모델인 iPhone 13~16 시리즈를 공급하고 있었다. 올해 중순 패널의 품질 문제로 iPhone 15용 패널 생산이 잠시 중단되긴 했지만, 다시 재개되었고, iPhone 16용 패널도 승인을 받아 양산하고 있다. 하지만 Pro모델에만 LTPO TFT가 적용되고 있었던 기존 모델들과는 달리 iPhone 17 시리즈부터는 전 모델에 LTPO TFT가 공급되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기술력이 부족한 BOE에서는 노말 모델인 iPhone 17도 초기에 생산을 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 iPhone 17 시리즈부터 저유전 TFE를 적용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BOE는 해당 기술 개발에도 차질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BOE의 물량이 줄어든만큼,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물량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는 iPhone 17 시리즈의 전 모델, LG디스플레이는 17과 17 Slim(가칭), 17 Pro Max 모델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 삼성디스플레이는 Apple향으로 1억 3,000만대의 패널을, LG디스플레이는 7,200만대의 패널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된다. BOE에서는 2025년 Apple향 물량 계획을 6,500만대로 계획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이보다 적은 4~5000만대의 패널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비리서치 김준호 애널리스트(alertriot@ubiresearch.com)

▶Small OLED Display Market Track Sample

8.6G OLED라인 양산 앞당긴 삼성디스플레이, 추격하는 중국 패널 업체들

지난 9월 진행된 Hefei Visionox V5 착공식

지난 9월 진행된 Hefei Visionox V5 착공식

최근 삼성디스플레이가 A6 8.6G OLED라인의 양산 시점을 2025년 연말로 앞당긴다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뒤를 이어 중국 패널 업체들도 발빠르게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OLED 패널 업체들이 앞다퉈 8.6G OLED라인에 투자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면취율에 있다. 초기에 OLED는 중소형 제품에 먼저 적용되기 시작했는데, 10인치 이하의 중소형 제품들을 생산할 때는 6G 기판의 크기로도 충분한 면취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중소형과 달리 패널의 면적이 큰 IT제품에도 OLED가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6G라인에서는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면적이 늘어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더 큰 기판을 사용하는 라인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8.6G OLED라인의 선두주자인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초 생산 라인 구축을 시작했으며, 2025년 말부터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Apple의 MacBook Pro향 2 stack tandem OLED를 양산하기 위해 8.6G라인 투자를 진행하였지만, 당초 계획보다 양산을 앞당기면서, MacBook Pro용 패널을 양산하기 전 시간을 벌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Apple에 공급할 패널을 양산하기 이전에 삼성전자나 Dell, HP, Lenovo 등 노트북 세트 업체들에게 공급할 tandem OLED를 먼저 양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후발주자인 BOE도 8.6G 라인 투자를 시작했다. BOE는 2025년에 선익시스템의 증착기 2대를 반입 후, 2026년 3분기부터 양산을 시작할 전망이다. BOE의 8.6G라인 양산 시기는 2026년 3분기부터지만, iPhone과 마찬가지로 초기에 Apple에 IT용 OLED패널을 공급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다른 6G라인과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중국 내수용 패널을 양산하면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Apple향 제품 공급을 목표로 삼을 것으로 전망된다. BOE는 현재 순차적으로 모듈라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Phase1에는 총 18개의 모듈라인이 투자될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와 달리 BOE는 8.6G라인에서 IT용 OLED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중소형 OLED용 모듈 투자도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BOE의 뒤를 이어 Visionox도 8.6G 투자를 진행했다. 지난 9월 Hefei에서 Visionox의 8.6G OLED라인인 V5의 착공식을 진행하였으며, 10월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Hefei V5라인을 방문했을 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또한 이번달에는 Visionox 관계자들이 한국 장비 업체들을 방문하여 미팅을 진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Visionox는 ViP(Visionox intelligent Pixelization)을 기반으로 정부 투자를 유치할 계획이나, 수직 증착의 기술적 어려움 때문에 이는 pilot라인으로만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TCL CSOT도 inkjet 기술을 기반으로한 8.6G 라인 투자를 준비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연말에 투자 발표를 할 가능성이 크며, 위치는 Guangzhou시, 라인 캐파는 inkjet 방식이 16K, FMM방식이 16K로 총 32K의 투자를 할 가능성이 높다.

앞서 말한 업체들 외에 Tianma도 8.6G 라인 투자의 가능성이 있으며, HKC는 6G OLED 신규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처음 투자를 진행한 삼성디스플레이의 뒤를 이어 중국 패널 업체들의 추격이 매서운 지금, 삼성디스플레이가 어떻게 기술 격차를 벌려 나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유비리서치 김준호 애널리스트(alertriot@ubiresearch.com)

▶2024 IT용 OLED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Tandem OLED 도입한 iPad Pro와 MatePad Pro 출시에 따른 IT 용 OLED 시장 본격 확대, OLED 출하량 급증과 패널사 전략 경쟁 가속

Tandem OLED가 적용된 APPLE의 iPad Pro와 HUAWEI의 MatePad Pro가 출시되면서, IT 제품에 OLED를 채용하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또한 소비전력이 낮고 배터리의 용량을 키우기 용이한 OLED는 전력 소모가 많은 on-device AI 노트북에도 적합해 앞으로도 IT 용 제품에 OLED가 좀 더 채용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24년 2사분기부터 IT 용 OLED 패널 출하량이 증가하고 있고, 주요 패널사들의 IT 제품을 위한 8.6세대 라인 투자가 구체화되고 있다. IT OLED의 수요와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2024년 전체 출하량은 2,320만 대 더 나아가 2028년에는 5,08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IT 용 OLED 시장은 앞으로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유비리서치는 이번에 발간한 “2024 IT 용 OLED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IT 용 OLED 산업의 동향과 전망에 대해 다루면서 tandem OLED의 재료 구성, hybrid OLED의 glass thinning과 panel separation, photolitho OLED, cover window 그리고 UTG 등 기술과 관련 업체의 동향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2024 IT용 OLED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Sample

상반기 한국 OLED 패널 업체 발광재료 구매액 점유율 51.2%, 하반기에는 소량 회복 전망

유비리서치가 최신 발간한 ‘3Q24 OLED 발광재료 마켓트랙’에 따르면, 한국 OLED 패널 업체의 2024년 상반기 발광재료 구매액은 4억 9,500만 달러로 51.2%의 점유율을 차지하였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한 수치이다. 중국 업체는 4억 7,100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48.8%의 점유율을 차지하였다.

중국 패널 업체들의 출하량이 증가하면서 발광재료 구매액의 차이는 점점 좁혀지고 있다. 2024년 1사분기에는 처음으로 한국 OLED 패널 업체들의 발광재료 구매액 점유율이 중국 보다 낮은 47.4%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2사분기부터는 IT 용 OLED 패널 출하량이 증가하고, 한국 패널 업체들이 iPhone 16용 패널을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구매액 점유율은 54.7%까지 증가하였다. BOE도 iPhone 16 샘플 인증을 통과했지만, 시기가 늦어져 올해 출하량은 많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B12에서 양산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iPhone 16 Max의 인증은 통과되지 않았다.

BOE의 iPhone향 물량이 줄어든 만큼 한국 패널업체들의 패널 출하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iPhone과 iPad Pro 등 Apple향 OLED 패널 출하량 증가에 힘입어 2024년 한국 발광재료 구매액은 상반기 대비 증가한 55.6%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AM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 Sample

Tablet PC용 OLED iPad Pro에 힘입어 출하량 급증, 2024년 출하량 전년대비 6배 이상 증가 전망

유비리서치에서 발간한 “3Q24 Medium-Large OLED Display Market Track”에 의하면, Apple의 tablet PC용 OLED 시장 진입에 힘입어 2024년 tablet PC용 OLED는 1,200만대 이상 출하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 1사분기에 iPad Pro OLED의 양산이 시작되면서 tablet PC용 OLED의 1사분기 출하량은 120만대, 2사분기에는 340만대로 급증하였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중국 패널 업체들도 tablet PC용 OLED 양산을 시작하면서 tablet PC용 OLED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패널 업체들 중 BOE는 2024년 약 150만대, Visionox는 약 80만대의 tablet PC용 OLED 패널을 출하할 것으로 전망된다.

Apple과 중국 업체들의 패널 출하량 증가로 인해 tablet PC용 OLED 출하량은 2028년 3,0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Medium & Large OLED Display Market Track Sample

2사분기 Foldable OLED 출하량 990만 대, 1사분기 대비 2배, 사상 최대

유비리서치에서 발간한 “3Q24 Small OLED Display Market Track”에 의하면, 2024년 2사분기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994만 대로 1사분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2사분기 전체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 중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이 차지하는 비율은 5.2%로 역대 두 번째로 높았다.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2024년 하반기에 폴더블폰용 OLED 물량이 더욱 증가하여, 2024년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4,000만 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2028년에는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전체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 중 9.9%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2024년 2사분기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 점유율은 5%대에 머물렀지만, 매출액 부분에서는 16.3%를 넘어섰다. 폴더블폰용 OLED의 매출액 점유율은 2028년 27.5%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Small OLED Display Market Track Sample

[디일렉] LCoS vs OLEDoS vs LEDoS, 미래 디스플레이의 승자는 누구?

출처 : 디일렉

[디일렉] 중국의 디스플레이 시장 장악, 한국의 대응책은?

출처 : 디일렉

유비리서치, 7월 11일 (목) 디스플레이 산업 성공 전략 세미나 개최

디스플레이 시장조사업체 유비리서치가 7월 11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2025년 디스플레이 산업 성공 전략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한국의 OLED 기업들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주요 패널사들은 플렉서블 OLED, 폴더블 디스플레이, 롤러블 디스플레이 등 첨단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의 OLED 기술은 스마트폰, TV뿐만 아니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동차 디스플레이, AR/VR 디바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디스플레이와 같은 새로운 응용 분야에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으로 중국의 OLED 산업은 기술 개발, 생산 능력 확대, 정부 지원 등을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점점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술 혁신과 시장 전략을 통해 더욱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한국의 OLED 기업들은 다가오는 2025년을 위한 전략기획이 필요로 하는 시기가 왔기에 유비리서치는 이를 돕고자 한다.

본 세미나에서는 유비리서치 소속 애널리스트들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 및 기술 동향과 시장 전망에 대해 발표한다.

발표 주제는 △중국 OLED 산업 동향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 동향과 전망 △Micro-OLED 기술 개발 현황 △IT 및 자동차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MicroLED 기술 및 산업 동향 △XR 트렌드와 전망 등 6개다. 

유비리서치는 이번 세미나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 및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 디스플레이 산업 종사자들 간의 네트워킹을 통해 비즈니스의 중요한 결정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사전등록은 7월 10일(수)까지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유비리서치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2025년 디스플레이 산업 성공 전략 세미나 사전등록

OLED 발광재료 수요량, 2028년까지 177톤으로 성장 전망

유비리서치가 최신 발간한 ‘2024 OLED 발광재료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체 발광재료 수요량은 131톤으로 예상되며, 2028년까지 연평균 7.9%의 성장률로 177톤의 발광재료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전체 발광재료 수요량

전체 발광재료 수요량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에서 Galaxy A 보급형 제품에 rigid OLED를 적용하면서 기존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삼성디스플레이의 rigid OLED 출하량이 증가하였고, iPad를 비롯한 IT기기로 OLED의 적용이 확대되면서 발광재료 수요량은 2028년까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됐다.

OLED 발광재료 시장의 규모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OLED 발광재료 전체 시장은 2024년 24억 달러에서 2028년 27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중 한국 패널업체들의 OLED 발광재료 구매액은 2024년 14억 달러에서 2028년 15억 달러까지, 중국 패널업체들의 재료 구매액은 2024년 9.8억 달러에서 2028년 12.1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OLED 발광재료 보고서’에는 최근 생산을 시작한 iPad Pro OLED 최신 동향과 발광재료 구조 및 서플라이 체인, 패널 업체별 8.6G IT라인 투자 동향, tandem OLED 발광 소재 개발 동향, 고효율 및 장수명 발광 재료 개발 동향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 2024 OLED 발광재료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Tablet PC용 OLED 시장, Apple의 진입으로 2024년, 6~7배 성장

태블릿 PC 용 OLED 출하량 전망

태블릿 PC 용 OLED 출하량 전망

유비리서치에서 최신 발간한 ‘2024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tablet PC용 OLED 패널 출하량은 2024년 1,200만 대에서 연평균 24.1%의 성장률로 2028년 2,840만 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Tablet 용 OLED 패널 출하량은 2022년 130만  대, 2023년 180만대로 작은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2024년 출시 예정인 Apple iPad에 OLED가 탑재가 결정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iPad 향 table PC용 OLED 패널을 생산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1인치 모델, LG디스플레이는 12.9인치 모델용으로 패널을 생산하고 있으며, Apple의 합류에 힘입어 2024년 tablet PC용 OLED 시장은 2023년 대비 6~7배의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tablet PC뿐만 아니라 여러 IT 제품군에 OLED를 적용하기 위해 패널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삼성디스플레이의 8.6G IT 라인 투자에 이어 BOE도 8.6G IT 라인 투자를 진행했으며, LG디스플레이도 IT 라인 투자를 위한 자금 확보를 위해 유상증자를 진행하고, Guangzhou LCD 라인 매각을 계획하고 있다. 패널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의 영향으로 IT 용 OLED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2024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폰용 OLED 시장 독주 지속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

유비리서치에서 최신 발간한 ‘2024 소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에 따르면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2024년 2,740만 대에서 2028년 5,270만 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폰용 OLED 출하량은 1,340만대로 2022년 1,260만 대 대비 6.3% 증가했다. 또 중국 패널 업체들 중에서도 특히 BOE는 2022년 190만 대 대비 3배가 넘는 620만 대의 폴더블폰용 OLED를 출하하였으며, TCL CSOT와 Visionox는 각각 110만 대의 폴더블폰용 OLED를 출하하였다.

중국 업체들의 매서운 추격이 있긴 하지만 폴더블폰 시장에서는 여전히 삼성디스플레이가 주도권을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디스플레이가 패널을 공급하는 삼성전자에서는 올해 출시 예정인 Galaxy Fold 시리즈의 모델을 확대할 전망이며, 차후 출시될 Apple의 폴더블 iPhone에도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폰용 패널이 먼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기술력과 경쟁력을 기반으로 당분간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폰 시장 독주는 계속될 것으로 분석된다.

▶ 2024 소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국제 비즈니스 컨퍼런스: 2024 OLED Korea & 2024 eXtended Reality Korea 동시 개최!

디스플레이 전문 조사 업체 유비리서치가 2024년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서울 양재에 위치한 The-K Hotel에서 국제 비즈니스 컨퍼런스 OLED Korea와 eXtended Reality Korea를 동시 개최한다. 본 행사는 전 세계 디스플레이 산업과 관련된 기업, 학계 그리고 연구기관 종사자들이 참석하고, 최상의 정보를 교환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eXtended Reality Korea는 유비리서치가 처음 개최하는 XR 산업 관련 비즈니스 컨퍼런스로 Micro display, XR Hardware/Software, 재료, 장비 등에 관한 동향과 전망을 다룰 예정이다.

본 행사는 튜토리얼, 키노트 발표, 패널 토론 등 포괄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참석자들이 디스플레이와 XR 영역을 깊이 탐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3월 27일 튜토리얼은 XR의 미래,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기술, 차세대 OLED 디스플레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에 대한 발표가 준비되어 있다.

또한, 3월 28일과 29일에 진행될 컨퍼런스에서는 ▲유비리서치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현대모비스, ▲Fortell Games의 키노트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유비리서치의 이충훈 대표는 “OLED and XR indusry outlook”에 대해서 발표를 할 예정이다. IT용 OLED를 포함한 전반적인 OLED산업과 MR 장비에 적용될 마이크로 OLED 산업에 대해 발표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AR/VR Development Strategy for Future Display”를 제목으로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의 기술적 장애를 극복하기 위한 SDC의 계획을 바탕으로 AR/VR 시장 확대를 위한 SDC의 로드맵을 소개할 예정이다.

LG디스플레이는 “Life with OLED”란 주제로 일상에서 적용되는 OLED 디스플레이의 분야를 살펴보고, OLED 기술의 지속적인 진화와 이점을 다룰 예정이다.

현대모비스는 “Automotive Display / HUD Trend and Future Display”란 주제로 Pillar To Pillar 디스플레이부터 Rollable 디스플레이까지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트렌드와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미래의 자동차 디스플레이에 대해 예측하고 발전 전략에 대해 발표한다.

마지막으로 Fortell Games는 :Next-Gen Mixed Reality: New Horizons for Spatial Computing” 란 주제로 혼합 현실 기술의 최신 발전과 게임 산업의 미래에 대한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는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이 외에도 AR/VR 개발 및 기술,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OLED 산업, 백플레인 기술, MicroLED 디스플레이의 발전 등 총 34명의 국내외 연사자 와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동시 행사이므로 한곳에 등록하여도 양쪽 모두 참석할 수 있으며, 2월 29일까지 얼리버드 기간 특별 할인가로 등록이 가능하다.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https://oledkoreaconference.com/, https://extendedrealitykorea.co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OLED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의 미래가 궁금하지 않으십니까? OLED Korea와 eXtended Reality Korea가 그 답을 드릴 것입니다!

한국은 IT 제품과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최고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OLED Korea는 OLED가 LCD를 대체할 수 있도록 전 세계 OLED 산업의 가교 역할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International Business Conference이다. 150~200명 정도의 업계 전문가들의 참가로 이루어진 이 컨퍼런스는 한국의 OLED와 더불어 전 세계 OLED 산업의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주요한 위치로 자리 잡고 있다.

 eXtended Reality Korea는 이번에 처음 개최되는 International Business Conference이다. XR 용 디스플레이에서도 OLED는 핵심 디스플레이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한국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발 방향은 XR 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 키가 될 것이다.

OLED Korea와 eXtended Reality Korea가 2024년 3월 27일부터 29일까지 서울 양재 소재 더케이 호텔에서 동시 행사로 진행된다. 삼성과 LG를 중심으로 전 세계 관련 업계의 최고 전문가들의 발표와 패널 토론으로 이 행사는 이루어져 있다. 동시 행사이므로 한곳에 등록하여도 양쪽 모두 참석할 수 있다.

OLED Korea와 eXtended Reality Korea는 한국의 OLED 산업과 XR 산업에서 성공하기 위한 기업들에게 답과 최상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교류회가 될 것이다.

OLED Korea : https://oledkoreaconference.com/

eXtended Reality Korea : https://extendedrealitykorea.com/

[디일렉] 11조원 강수 두는 BOE, 삼성D·LGD 무조건 이기는 방법은?

출처 : 디일렉

IT용 LCD를 Foldable OLED와 Slidable OLED가 대체한다

스마트폰 시장에서 시작된 Foldable OLED 기술은 notebook 시장에서도 싹이 돋고 있다. Foldable OLED 기술은 스마트폰이나 notebook의 전면을 모두 화면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화면을 접어서 사용하기 때문에 휴대성을 강화한 제품이다. 따라서 점점 고도화되어 가고 있는 정보화 시대에서 필수적인 제품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Notebook은 Form factor 자체가 접어서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Foldable OLED의 최적 어플리케이션이며, 휴대폰 시장에서도 이전에는 Folding phone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Foldable phone 또한 자연스럽게 현대인의 생활 속에 접목되어 가고 있다. Foldable Book은 20인치까지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모니터 시장까지 넘볼 수 있는 새로운 제품으로 진화할 것이다.

Foldable OLED 기술에 뒤 이어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기술이 Slidable OLED이다. Slidable OLED는 기기 내부 공간에 있는 OLED를 외부로 꺼내어 화면을 확장하는 방식이다. Slidable OLED는 Foldable OLED와 마찬가지로 화면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에 휴대성이 강화된 제품이다. Slidable OLED가 적용될 어플리케이션은 tablet PC를 대체할 Slidable PC이다. 13인치에 머물러 있는 tablet PC 대신에 17인치까지 확장할 수 있는 Slidable PC는 notebook 시장까지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새로운 제품이 될 것이다.

Foldable Book과 Slidable PC는 LCD가 사용되고 있는 IT 시장의 경계를 허무는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다.

2024년에 처음 발간된 “Foldable & Slidable OLED 기술과 시장 전망” 보고서에서는 Foldable OLED와 Slidable OLED가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들을 세부적으로 다루었으며, 이와 더불어 미래 시장에 대해서 전망하였다.

▶ Foldable & Slidable OLED 기술과 시장 전망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디일렉] IT용 OLED 시장 변화, 중국을 상대하는 삼성·LG디스플레이의 전략

출처 : 디일렉

2028년 OLED 발광재료 시장, 연평균 5.8% 성장률로 24.3억 달러 전망

유비리서치에서 최신 발간한 ‘4Q23_Quarterly OLED Emitting Material Market Tracker’에 따르면, OLED에 사용되는 발광재료 시장이 2023년 18.4억 달러에서 연평균 5.8%의 성장률로 2028년에는 24.3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 패널 업체들의 재료 구매액은 2023년 11.1억 달러에서 연평균 4.2%의 성장률로 2028년에는 13.6억 달러가, 중국의 재료 구매액은 2023년 7.3억 달러에서 2028년 10.7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예상대로라면 2028년 국가별 재료 구매 비율은 한국이 56%, 중국이 44% 이지만 중국의 패널 업체들은 중국 내수용과white box용으로 패널을 주로 양산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패널 출하량이 증가한다 하더라도 저가 재료가 사용이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중국의 발광재료 시장 확대는 현재 예상보다 더 축소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유비리서치는 2028년 삼성디스플레이의 발광재료 구매액을 8.1억달러, LG디스플레이는 5.5억 달러, BOE는 4.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발광재료 시장 전망

발광재료 시장 전망

▶ 4Q23 OLED 발광재료 마켓 트랙 Sample 보러가기 

2023 하반기 유비리서치 애널리스트 세미나 (2023.11.14)

2023년 11월 14일(화)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2023 하반기 유비리서치 애널리스트 세미나”에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내년 4월에 유비리서치가 주관하는 2024 OLED Korea와 2024 eXtended Reality Kore가 The-K 호텔에서 동시에 개최될 예정입니다. 유익한 프로그램 및 다양한 업체들의 스폰서 및 전시와 함께 찾아뵐 예정이니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유비리서치 홈페이지를 통해 세미나 자료를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유비리서치 홈페이지
https://ubiresearch.com

LG디스플레이 2023년 3분기 실적 발표

매출 4조 7,853억원, 영업손실 6,621억원

  • 사업구조 고도화에 역량 집중하고, 원가혁신 운영 효율화 지속 추진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손실 규모 축소 및 손익 개선 흐름 이어가
  • 시장 수요와 사업환경 변화에 대응해 핵심 사업 강화, 전사 차원의 지속적인 원가 혁신 통한 수익 구조 개선에 역량 집중
  • 대형 OLED, 초대형 제품 중심 고객 포트폴리오 강화 및 원가 혁신 통해 프리미엄 TV 시장 내 입지 확대
  • 중소형 OLED, 모바일 제품 출하 본격 확대 및 IT OLED의 ’24년 양산·공급체제 적기 준비
  • 차량용 디스플레이, 수주 및 매출 성장으로 세계 1등 위상 강화
  • 김성현 CFO 사업구조 고도화와 원가 혁신에 전사 역량을 집중해 손익을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 전방 산업의 패널 재고 조정이 완화되고, 중대형 제품과 모바일 신제품 패널 출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4분기 흑자 전환 예상

LG디스플레이(대표이사 사장 정호영/www.lgdisplay.com)는 25일 매출 4조 7,853억원, 영업손실 6,621억원의 2023년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거시경제 불확실성에 따른 수요 회복 지연과 전방 산업의 재고 조정 기조가 계속된 가운데, TV·IT·모바일 등 제품군별로 그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나며 매출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

사업구조 고도화에 역량을 집중하고, 원가 혁신 및 운영 효율화 활동을 지속 추진해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손실 규모를 축소했고, 손익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제품별 판매 비중(매출 기준)은 TV용 패널 23%, IT용 패널(모니터, 노트북 PC, 태블릿 등) 40%, 모바일용 패널 및 기타 제품 28%, 차량용 패널 9%이다.

당기순손실은 7,754억원, EBITDA(상각전 영업이익)는 3,822억원(이익률 8%)을 기록했다.

LG디스플레이는 시장 수요와 사업환경 변화에 대응해 핵심 사업을 강화하고, 전사 차원의 지속적인 원가 혁신을 통해 수익 구조를 개선해 나가는데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대형 OLED 부문에서는 초대형 제품 중심의 고객 포트폴리오 강화와 핵심부품의 재료비 절감 등 원가 혁신을 통해 프리미엄 TV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대하고 수익성을 개선해 나간다.

중소형 OLED 부문에서는 증설된 생산능력을 최대로 활용해 모바일 제품 출하를 본격 확대해 나가는 한편, IT용 OLED 기술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며  ’24년 양산·공급체제를 차질 없이 준비하고 있다.

차량용(Auto) 디스플레이 부문에서는 탠덤 OLED와 하이엔드 LCD를 아우르는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과 철저한 품질 관리, 안정적인 공급 능력을 기반으로 수주와 매출 성장을 통해 세계 1등 업체로서의 위상을 지속 강화한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CFO(최고재무책임자)는 “올해 어려운 시장 환경 하에서도 사업구조 고도화와 원가 혁신에 전사 역량을 집중하며 손익을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며, “전방 산업의 패널 재고 조정이 완화되고, 연말 성수기 수요 대응을 위한 중대형 제품과 모바일 신제품 패널 출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4분기에는 흑자 전환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2023년 3분기 실적 요약]                                                                                                                                                                                                                                                                             (단위: 억 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3년 2분기 2023년 1분기 2022년 3분기 QoQ YoY
매 출 액 47,853 47,386 44,111 67,714 1% -29%
영업이익 -6,621 -8,815 -10,984 -7,593
EBITDA 3,822 1,297 -802 3,912 195% -2%

[디일렉] 커지는 IT용 OLED 시장, 삼성D와 LGD의 투자전망은?

출처 : 디일렉

IT용 OLED 출하량, 연평균 41%의 성장률로 2027년 3,100만대 전망

유비리서치에서 최신 발간한 ‘IT용 OLED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tablet PC와 notebook, monitor용 OLED 출하량은 연평균 41%의 성장률로 2027년에 3,1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전망은 삼성디스플레이의 5.5세대 라인과 6세대 라인, 8.5세대 QD-OLED 라인, 8.6세대(2290 x 2620 mm2) IT용 라인, LG디스플레이와 BOE, Visionox의 6세대 OLED 라인을 기준으로 하였다.

IT용 OLED 출하량 전망

IT용 OLED 출하량 전망

IT 제품으로써 OLED는 스마트폰이나 TV에 비해 주목받지 못한 시장이었으나, COVID-19 사태로 인한 IT제품 수요 증가와 Apple의 IT용 OLED 탑재 전망으로 인해 크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기존에는 삼성디스플레이가 5.5세대 rigid OLED 라인인 A2와 8.5세대 QD-OLED 라인 일부에서, EDO 등 일부 중국 업체에서 IT용 OLED를 소량 양산하는 수준이었으나, 2024년부터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6세대 라인에서 Apple의 iPad용 OLED를 본격적으로 양산할 예정이며, BOE도 B12 라인에서 IT용 OLED를 양산할 계획이다.

또한,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초 IT용으로 8.6세대OLED 라인 투자를 결정하였으며, 2026년 상반기부터 notebook용 등 다양한 IT용 제품을 양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LG디스플레이와 BOE도 각각 투자금과 고객사를 확보하는 대로 8.6세대 라인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며, Visionox 또한 8.6세대 라인 투자를 위해 주요 장비 업체들과 미팅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IT용으로 세트 업체들의 OLED 수요가 증가하고 패널 업체들의 8.6세대 라인 투자가 진행된다면, 스마트폰 시장에 이어 IT 시장이 OLED의 새로운 고부가가치 시장이 될 전망이다.

▶ IT용 OLED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유비리서치 “2023 하반기 유비리서치 애널리스트 세미나” 개최

2023 하반기 유비리서치 애널리스트 세미나

2023 하반기 유비리서치 애널리스트 세미나

디스플레이 전문 시장조사 업체인 유비리서치가 ‘2023 하반기 유비리서치 애널리스트 세미나’를 2023년 11월 14일 (화), 한국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다.

해당 세미나는 유비리서치 소속 디스플레이 애널리스트들이 연사로 참여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 동향 및 시장 전망에 대해 발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디스플레이 기술과 동향 및 시장에 대해 공유하여 관련 기업들의 비즈니스 결정에 도움을 줄 예정이다. 핵심 발표 주제로는 ▲XR 기기 메가트랜드 분석 ▲OLED 시장 동향과 전망 ▲MicroDisplay 용 microLED 기술 및 업체 동향 ▲OLED 발광 재료 개발 동향 ▲OLED 부품소재 개발 동향 ▲IT OLED 기술 및 동향 ▲발광재료 시장 동향과 향후 전망 ▲OLED 산업 이슈 분석 ▲중국 OLED 패널 업체 동향까지 하여 총 9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사전등록은 11월 10일(금)까지이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https://ubiresearch.com/2023-2nd-ubiresearch-analyst-seminar/)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디일렉] XR이 컴퓨팅 시장 판도 바꿀까 애플 메타 삼성의 한판 승부

출처 : 디일렉

▶ XR 산업의 메가트랜드 분석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스마트폰용 OLED 출하량, 2025년에 중국에 역전된다

유비리서치가 발간한 3사분기 OLED 마켓트랙에 의하면, 중국의 스마트폰용(폴더블 폰 포함) OLED 출하량이 2025년에는 한국을 앞설 것으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중국 기업들이 만드는 OLED는 한국 제품에 비해 저렴하기 때문에 매출액에서는 한국이 2027년까지는 우위를 점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가 생산하는 OLED는 품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매출액에서는 당분간 우위를 유지하겠지만, 막대한 내수 시장과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한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 역시 품질이 높아지고 있으며, 가성비로 시장을 두들기기 때문에, 2028년 이 후에는 매출액 부분에서도 역전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이 디스플레이 산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국 기업들이 아직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IT와 TV용 OLED 시장 확장을 꾀해야 하며, 더불어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XR용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산업으로 빠른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는 중국의 투자가 앞서 있지만, 반도체와 유사한 정밀 공정을 요구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한국 디스플레이들이 쉽게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분야이다. 이제까지는 중국 디스플레이 기업들이 한국을 추격하는 상황이었지만, 이제는 한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이 중국을 추격해야 하는 상황임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Small OLED Display Quarterly Market Track Sample

[IMID 2023 Keynote] LG디스플레이의 차량용 tandem OLED, 현대 제네시스에 탑재된다

LG디스플레이 ‘Discovering the Best Automotive Display Solution for Tomorrow

LG디스플레이 ‘Discovering the Best Automotive Display Solution for Tomorrow

23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IMID 2023’에서 LG디스플레이 김병구 오토 사업 그룹장은 ‘Discovering the Best Automotive Display Solution for Tomorrow’를 주제로 기조 연설을 진행했다.

김 그룹장은 “전기자동차 시장은 현재 1,500만대에서 연간 18% 성장하여 2030년에는 연 5,000만대 시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고 발표했다. 또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은 연간 10% 성장하여 2030년에는 120억 달러 시장을 이룰 전망이며, 특히 자동차용 OLED 시장은 연간 28%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차량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의 숫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사이즈는 매년 커지고 있다. 김 그룹장은 “차량에 탑재되는 디스플레이 개수는 매년 증가하여 2030년까지 평균 2.3개의 디스플레이가 탑재되고, 평균 크기는 15인치 이상이 될 전망”이라고 말하며 “수년내로 50인치 이상의 차량용 대형 OLED를 제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LG디스플레이 ‘Discovering the Best Automotive Display Solution for Tomorrow

LG디스플레이 ‘Discovering the Best Automotive Display Solution for Tomorrow

LG디스플레이 ‘Discovering the Best Automotive Display Solution for Tomorrow

LG디스플레이 ‘Discovering the Best Automotive Display Solution for Tomorrow

이어 김 그룹장은 제네시스와 벤츠, GM, 볼보, 재규어 등 LG디스플레이의 tandem OLED 고객사들을 공개했다. 김 그룹장은 이중 현대차의 제네시스를 강조하며 “현대차그룹과 2년간 개발 협력을 진행했고, 조만간 LG디스플레이의 tandem OLED가 탑재된 제네시스가 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 그룹장은 “LG디스플레이는 지속적인 고객 가치 실현과 미래 기술 기반의 양질의 수주를 바탕으로 a-si LCD를 제외한 2026년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 자동차용 OLED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는 6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발표를 마쳤다.

[IMID 2023]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전시한 OLED

8월 22일에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IMID 2023’에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다수의 OLED 제품을 전시하였다.

먼저 삼성디스플레이는 ‘IMID 2023’에서 77인치 QD-OLED와 light field display인 ‘2D↔3D Display’, ‘Slidable Flex Solo’와 ‘Slidable Flex Duet’, ‘Rollable Flex’, ‘Flex G’, ‘Flex S’, ‘Flex Note’ 등의 폴더블 및 슬라이더블 제품을 전시했다. ‘2D↔3D Display’를 제외한 제품들은 지난주 개최된 ‘K-Display 2023’에서 전시된 제품이며, 전시 규모는 ‘K-Display 2023’보다 작았다.

삼성디스플레이 2D↔3D Display

삼성디스플레이 2D↔3D Display

Light Field Display

Light Field Display

삼성디스플레이가 전시한 ‘2D↔3D Display’의 크기는 16인치, 패널 해상도는 3840×2400이었으며,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eyetracking 기술이 삽입되어, 40° 이상의 3D 시야각을 지원한다.

LG디스플레이는 ‘META Technology’가 적용된 77인치 8K OLED와 45인치 및 27인치 게이밍 OLED, ‘34” Full Dashboard OLED’, ‘18” Rollable OLED’, ’15.6” Light Field Display’, ‘0.42” OLEDoS’를 전시했다.

LG디스플레이 Rollable OLED

LG디스플레이 Rollable OLED

LG디스플레이가 국내에서 최초로 공개한 18인치 rollable OLED는 텐덤 소자 구조를 적용해 더 밝아진 화면을 구현했으며, 10만번 이상의 롤링테스트를 통과했다. ‘18” Rollable OLED’의 해상도는 2560×1440, 밝기는 1,000nits, 롤링 반경은 20R이며, 커버윈도우 소재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이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18인치 rollable OLED를 양산할 계획은 아직 없으며, 실제 제품 양산시의 롤링 반경은 5~10R 사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3500ppi의 초고해상도 제품인 ‘0.42” OLEDoS(OLED on silicon)’는 ‘K-Display 2023’에서 전시한 제품과 동일한 제품이었으며, LG디스플레이의 패널에 국내 광학 모듈 개발 업체인 레티널(LetinAR)의 광학계를 접합한 제품이다.

XR 산업 메가 트랜드

현실 세계에 확장 현실을 오버레이하는 XR(extended reality) 기기는 스마트폰이 가져온 디지털 컨버전스를 다시 한번 갱신하는 2차 디지털 컨버전스를 몰고 올 disruptive 디바이스로 등장하고 있다. MR(mixed reality) 기기는 TV와 모니터, 노트북을 컨버전스 할 제품으로, AR(augmented reality) 기기는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 테블릿 PC를 통합할 디바이스가 될 것이다.

유비리서치는 다가올 2차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를 맞이하기 위해 세트 업체와 디스플레이 업체, 그리고 부품/소재/장비 업체들이 알아야 할 XR 산업의 과거와 현재를 정밀 분석한 ‘XR 산업 메가 트랜드 분석’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1989년부터 출시되기 시작한 VR 기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시장에 나온 XR 기기들의 모든 모델들을 분석해 본 결과, XR 기기는 이제까지 존재했던 웨어러블 기기와 모바일 기기, IT 기기들과는 다른, 매우 복잡한 산업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R기기의 특징은 의자에 앉아 다루든 기존의 IT 제품과는 달리 움직이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제품이며, AR기기는 양손을 자유롭게 해주면서도 고개를 움직이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가장 화면이 조정되어 정보를 제공해주는 제품이다.

따라서 세트 업체를 비롯하여 디스플레이 업체와 장비/부품/소재 등 모든 관련 기업들이 차세대 혁신 제품인 XR 기기 산업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최우선 XR 기기의 구성과 동작 원리, 컨텐츠를 포함한 모든 방향에 대해 이해하고 사업 방향을 준비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XR 기기의 핵심 부품으로는 Optics와 디스플레이, tracking용 센서가 있으며, 이들 3 부품의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컨텐츠도 다르다. 기존의 IT산업은 하드웨어의 성능이나 사양에 따라 사용될 컨텐츠가 결정되었지만, XR 기기는 반대로 컨텐츠에 따라 XR 기기의 사양이 결정되는 반대 방향으로 산업이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상반기에 출시된 XR 기기의 광학계와 디스플레이를 모두 정리하였다.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기기의 사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광학계와 디스플레이의 상관 관계 이해는 XR 기기 산업의 필수 요소이다.

1989년부터 출시되기 시작한 모든 XR 기기들의 광학계와 디스플레이, tracking 방식들을 분석하였다.

디스플레이 동향을 살펴보면, LCD 사용 모델 수는 조금씩 줄어들고 있는 반면, micro-OLED를 채택한 XR 기기 모델은 점차 비율을 높여가고 있다.

투명한 윈도우를 가진 OST(optical see-through) AR에서도 micro-OLED 사용이 가장 많으며, 광학계는 waveguide와 birdbath가 같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자사가 개발 또는 생산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와 어떤 광학계의 조합이 적절한지를 같이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XR 기기가 범용이 아닌 특정한 목적에만 사용되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광학계의 FoV(field of view)애 따라 선택되는 디스플레이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AR 기기의 해상도 트랜드를 분석하였다. 최근 출시 AR 기기들에서는 FHD인 1920×1080해상도가 메인 사양으로 굳어가고 있다. Micro-OLED가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Micro-LED는 휘도가 우수하여 AR 기기의 메인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지만, 0.25인치 정도의 패널 사이즈에서 FHD 제품이 나오기는 아직 패널과 LED 제조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최소 5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XR기기의 특징은 사용 용도에 따라 사양이 달라, 소프트웨어에 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여, 2010년부터 XR용 소프트웨어를 출시한 178개사의 472개 제품을 분석하였다.

국가별로 소프트웨어 업체 수를 조사한 결과, 미국의 기업수는 79개사로서 44.1%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XR용 소프트웨어 산업은 미국이 주도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소프트웨어 기업들의 활동상황을 분석하기 위해 2018~2022년 사이에 제품을 출시한 기업들의 장르별 업체 수를 조사하였다. 각 국가의 장르별 업체 수를 분석한 결과, 미국은 모든 장르에 골고루 업체들이 분포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보고서는 XR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모든 서플라이 체인의 업체들과 향후 XR 산업에 진입하기를 희망하는 업체들이 XR 산업의 특성을 이해하여 성공적인 사업 방향을 찾을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다.

▶ XR 산업의 메가트랜드 분석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XR 산업의 메가트렌드 분석: XR 기기와 소프트웨어 산업 정밀 분석

Display & optics

유비리서치는 최근 발간한 ‘XR 산업의 메가트랜드 분석 보고서’에서 웨어러블 기기와 IT 기기 대체를 목표로 서서히 규모를 키우고 있는 XR 기기 산업의 발자취를 조명하고 미래 시장을 전망하기 위해, 1989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출시된 XR 기기 모델과 사양을 분석하였다. 이 기간 중 출시된 것으로 조사된 XR 기기의 모델 수는 327개이며, 업체 수는 127개이다.

XR 기기는 VR과 MR, AR로 분류하였다. AR 기기는 optical see-through (OST) 제품만 AR로 분류하였고, 카메라를 통해 현실 세계를 볼 수 있는 video see-through (VST) 방식은 MR로 분류하였다. 업체에 따라 MR과 VR 기기에 대한 표기 방식이 섞여 있어 고정 방식도 면밀히 조사하여 기기 분류에 참조하였다.

XR 기기의 트렌드를 분석하기 위해서 기간별로 3가지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1) 2023년 상반기에만 출시된 제품들의 최신 동향

2) 1989년부터 2022년까지 출시된 제품 분석을 통한 전체 XR 기기 흐름

3) 현재 제품을 출시하지 않거나 회사의 인수, 합병, 폐업 등을 감안, 정확한 현황 분석을 위한 2018~2022년 사이의 5년간 동향

1989~2022년 사이에 출시된 모델 수들을 기기별로 분석한 결과 XR 기기 산업은 2016년부터 개화하기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기 모델들은 대부분이 VR 용이었으나 2017년에 출시된 모델 수가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새로운 VR 기기 모델 수는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Covid-19가 시작된 2020년 이후 AR 기기 모델 수가 VR 기기 모델 수를 앞지르고 있다. 신규 출시 VR 기기 모델 수가 감소한 이유 중에는 MR 기기 모델 수 증가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분석을 통해 2021년부터는 XR 기기 산업이 VR에서 AR과 MR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XR 기기 산업의 국가별 경쟁력 또한 분석하였다. 최근 디바이스 산업은 각 나라의 ecosystem에 따라 전체 공급 망이 영향을 받고 있어, XR 세트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국가와 응용 분야를 살펴보았다. 2018~2022년 사이에 XR 기기를 출시한 업체 수가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으로서 25개로 확인되었다. 다음은 미국으로서 20개, 한국은 9개 업체로서 세 번째로 업체가 많다. 응용 분야별 업체 수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중국 업체는 VR과 MR 제품을 출시한 기업 수가 가장 많으나, AR 기업 수로는 미국이 1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은 AR과 VR 제품 분야에서 각각 3위를 차지하였다.

XR 기기 제품 모델 수를 분석하였을 때는 중국이 1위이며, 2위는 미국, 3위는 대만으로 분석되었다.

2010~2022년 사이의 XR 용 소프트웨어 업체와 출시된 제품, 응용분야를 분석하였다. 이 기간에 출시된 소프트웨어 수는 472개이며, 업체 수는 178개 사이다. XR 용 소프트웨어 출시 수 증가는 2016년부터로, 472개 소프트웨어를 XR 종류별로 분석했을 때 VR 용이 311건으로서 비율이 66%이며, AR과 VR 용은 각각 81건과 80건으로 집계되었다. 아직은 VR 소프트웨어가 XR 소프트웨어 산업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로 XR 종류별 소프트웨어를 분석하였을 때, 중국에서 VR 용이 177건으로서 가장 많은 제품을 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VR 소프트웨어 산업은 중국이 주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장르별로 분석한 결과 게임용이 233건으로서 전체의 49%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업용이 62건으로서 13%, 오락용이 41건으로서 9%를 점유하였다.

소프트웨어 업체 수를 국가별로 분석하였을 때는 미국 기업이 79개로서 압도적인 업체 수를 보유하고 있다. 반면 VR 용 소프트웨어 출시가 가장 많은 중국은 기업 수가 12개사에 불과했다.

▶ XR 산업의 메가트랜드 분석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K-Display 2022 LG디스플레이 부스

LG디스플레이 “지난해부터 지속된 패널 재고 조정 상당 부분 진행, 4분기 흑자 전환 예상”

LG디스플레이 2023년 2분기 실적 요약

LG디스플레이 2023년 2분기 실적 요약

LG디스플레이가 26일 진행된 2023년 2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김성현 LG디스플레이 CFO가 “패널 재고 조정이 상당 부분 진행돼 올해 4분기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부터 TV, IT 제품을 중심으로 전방 산업의 강도 높은 재고 조정이 계속되며 산업 생태계 전반의 패널 재고 수준이 낮아지는 가운데, 2분기에는 OLED TV를 포함한 중대형 제품군의 패널 구매 수요가 늘어났고 출하가 확대되었다. 전분기 대비 출하 면적은 11%, 매출은 7% 증가했다.

2분기 제품별 판매 비중(매출 기준)은 TV용 패널 24%, IT용 패널(모니터와 노트북, 태블릿 PC 등) 42%, 모바일용 패널 및 기타 제품 23%, 차량용 패널 11%이다.

LG디스플레이는 ‘수주형 사업’ 중심의 ‘사업구조 고도화’를 지속 추진하며, OLED 사업의 비중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대형 및 중소형 전 제품군에서 OLED 비중과 사업 경쟁력도 한층 높여 나갈 계획이다. 올해 OLED의 전사 매출 비중은 5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중소형 OLED 부문에서는 증설된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모바일 제품 출하 확대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 IT OLED 기술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며 ’24년 양산ㆍ공급체제를 차질없이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차량용(Auto) 디스플레이 사업은 텐덤(Tandem) OLED 및 하이엔드 LCD를 아우르는 다양하고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매출과 수주 확대에 집중할 계획이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CFO는 “지난해부터 지속된 전방 산업의 재고 조정이 상반기를 기점으로 상당 부분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하반기에는 산업 생태계 전반의 재고 건전성 회복에 따른 패널 구매 수요 증가가 기대되고, 모바일 제품 출하 증가 등 수주형 사업 성과 확대에 힘입어 4분기 흑자 전환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2023년 2분기 실적으로 매출 4조 7,386억원, 영업손실 8,815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 2023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OLED 패널 업체들의 8.6세대 IT용 라인 투자 동향, LG디스플레이와 BOE의 투자 지연

애플의 iPad Pro

애플의 iPad Pro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중국 패널 업체들의 flexible OLED 저가 공세와 LCD 철수에 따른 매출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부가가치가 높은 8.6세대 IT용 라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26일 진행된 LG디스플레이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공시했던 6세대 IT용 관련 투자는 예정대로 잘 진행되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까지 투자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8.6세대 IT OLED 투자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아직 확정된 바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LG디스플레이는 “기술 발전 가능성과 진척도, 시장 수요가 회사 수익에 기여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하는가 등을 면밀하고 살펴보고 투자를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디스플레이의 8.6세대 IT용 라인 투자는 영업 적자로 인한 신규 라인 투자 자금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삼성디스플레이에 비해서 늦어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2026년부터는 Apple에 패널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LG디스플레이 뿐만 아니라 중국 패널 업체 BOE의 투자도 지연되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삼성전자와 Apple, LG디스플레이는 LG전자와 Apple을 고객사로서 확보할 수 있지만, BOE는 고객사 확보의 불확실성 때문에 BOE의 IT용 8.6세대 라인 투자는 최소 2년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중국 패널 업체인 Visionox도 IT용 8.6세대 라인 투자를 준비중이다. Visionox는 총 30K 캐파의 8.6세대 라인 투자를 9월 중 발표할 예정이다.

반면 삼성디스플레이의 8.6세대 IT용 라인 투자는 이미 결정됐다. 삼성디스플레이는 8.6세대 IT용 라인의 TFT는 Oxide를 적용하며, 2 stack RGB OLED로 구축할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기존에 IT용 라인으로 8.6세대 수직 증착 2 stack RGB OLED를 개발해왔으나, 투자는 8.6세대 수평 증착으로 결정났다. 삼성디스플레이의 IT용 라인에는 캐논의 노광기가 2024년 4월에 반입될 계획이며, 캐논 토키와의 증착기 가격 협상은 이미 완료됐다.

▶ 2023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유비리서치 애널리스트 세미나 (OLED & Micro Display)

2023년 07월 05일(수)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개최한 “2023 OLED & Micro Display 애널리스트 세미나”에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올해 11월에도 유비리서치 애널리스트 세미나가 개최 될 예정입니다. 더욱 유익한 프로그램으로 찾아뵐 예정이니 많은 참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유비리서치 홈페이지를 통해 세미나 자료를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유비리서치 홈페이지
https://ubiresearch.com

유비리서치 이충훈 대표 “삼성디스플레이, 고부가가치 IT용 OLED 생산으로 수익성 강화한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중국 패널 업체들의 flexible OLED 저가 공세로 줄어드는 A2 라인 가동율을 보완하기 위해서 tablet PC와 notebook용 패널 생산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5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2023 OLED & Micro Display 애널리스트 세미나’에서 이충훈 유비리서치 대표는 ‘IT OLED 산업 동향과 시장 전망’에 관하여 발표를 진행했다.

유비리서치 이충훈 대표가 7월 5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OLED&마이크로디스플레이 애널리스트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유비리서치 이충훈 대표가 7월 5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OLED&마이크로디스플레이 애널리스트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이 대표는 “삼성디스플레이는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줄어드는 A2라인의 가동률을 보완하기 위해서 tablet PC와 notebook용 rigid OLED 생산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IT용 OLED 생산에 집중하는 만큼 스마트폰용 rigid OLED 출하량은 급감하겠지만, 부가가치가 높은 IT용 rigid OLED 생산으로 매출 유지가 가능하다”고 말하며 “삼성디스플레이는 2026년부터 IT용 OLED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LG디스플레이는 삼성디스플레이보다 1년, BOE는 삼성디스플레이보다 최소 2년 더 늦게 양산이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충훈 대표의 말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LCD라인에서 OLED라인으로의 전환이 늦어져 발생한 적자에 의해 신규 라인 투자 자금 확보가 어려워 결정이 지연되고 있다. 그럼에도 LG디스플레이는 2026년부터 Apple에 IT용 패널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아직 생산 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선익시스템 장비의 공정 안정화와 수율 확보 등 해결해야 하는 문제들이 남아있다.

BOE는 스마트폰용 OLED 라인 공장을 3개 투자했지만, 가동률은 1개 공장에 머물고 있는 수준이며, Apple 물량 확보가 미흡해 베이징시 정부에서 과잉 투자에 대해 큰 불만을 가지고 있다. 앞의 이유들과 IT용 OLED의 고객사 확보가 정해지지 않은 이유로 BOE의 IT용 OLED 라인투자에는 최소 2년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 대표는 “중국 패널 업체들이 저가 공세로 시장 점유율을 높이려고 하고 있으나, 삼성전자나 Apple 같은 대형 고객사를 확보한 국내 업체들이 경쟁에서 월등히 유리하다. 향후 TV와 IT용 OLED 산업은 한국 기업 위주로 전개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발표를 마쳤다.

▶ 2023 중대형 OLED Display 연간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Foldable OLED 출하량2027년에 6,100만대까지 확장, UTG 시장도 3배 이상 커진다

OLED 시장 조사 전문 업체인 유비리서치(www.ubiresearch.com)에서 최근 발간된 ‘2023 OLED 부품소재 보고서’에 의하면 2023년 foldable OLED 출하량은 2,200만대를 기록하고, 연평균 29%의 성장률로 2027년에는 6,100만대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UTG 시장 전망

UTG 시장 전망

폴더블 시장의 확대에 따라 폴더블용 커버윈도우 시장도 확대될 전망이다. 폴더블용 커버윈도우 시장은 2023년 4.1억 달러에서 2027년 8.4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삼성디스플레이가 향후에도 UTG만으로 폴더블 OLED를 양산할 계획이고, BOE나 TCL CSOT, Visionox도 UTG가 적용된 폴더블 OLED를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폴더블폰용 커버 윈도우 시장은 앞으로 UTG(UItra thin glass)가 주도하고, colorless PI의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UTG 시장은 2023년 2.4억 달러에서 2027년 7.4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colorless PI 시장은 2023년 1.7억달러에서 2027년 9,500만 달러까지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폴더블폰 선두주자인 삼성전자는 ‘Galaxy Z Fold2’부터 출시된 모든 폴더블폰에 커버 윈도우용으로 UTG(Ultra thin glass)를 적용해왔다. 삼성전자는 Corning의 유리를 자체 가공해 사용하고 있으며, 삼성디스플레이는 Schott의 유리를 공급받고 있다.

최근에는 그동안 기술력 부족으로colorless PI를 커버윈도우로 채택했던 중국 업체들도 UTG 사용을 늘려나가고 있다.

Motorola는 6월 clam-shell타입의 ‘Razr 40’과 ‘Razr 40 Ultra’를 출시하였다. 두 제품 모두 패널 공급업체는 TCL CSOT이며, 커버 윈도우는 Schott의 UTG를 SEED(赛德)가 가공해서 공급한다. 이중 ‘Razr 40 Ultra’는 삼성전자에서 출시할 ‘Galaxy Z Flip5’와 비슷하게 기존 폴더블폰 대비 외부 디스플레이가 3.6인치로 커졌다.

Oppo는 6.8인치 clam-shell 타입과 8.1인치 book타입의 폴더블폰 출시를 준비중이다. Oppo의 신제품 폴더블 OLED 패널은 모두 BOE에서 공급할 예정이며, TOKEN이 Schott의 UTG를 가공해서 공급할 예정이다.

Huawei는 지난 4월 Mate 시리즈의 후속작 ‘Mate X3’를 출시하였다. ‘Mate X3’의 폴더블 OLED 패널은 BOE와 Visionox가 공급하며, 커버윈도우는 KOLON의 colorless PI를 DNP가 하드 코팅해 공급한다. Huawei는 커버 윈도우용으로 UTG를 개발하고 있었지만 성능 이슈로 인해 colorless PI를 채택했다.

이번에 발간된 ‘2023 OLED 부품소재 보고서’는 세트 및 패널 업체별 폴더블/롤러블 OLED 개발 및 사업현황과 MLA(Micro lens array)와 QD 소재, Oxide TFT, encapsulation 기술 등 최신 OLED 주요 개발 현황 분석, OLED 패널 업체 양산 캐파 분석, 주요 부품소재 시장 전망 등에 대해 다루었다.

▶ 2023 OLED 부품소재 보고서 Sample 보러가기

[디일렉]올 가을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온다 가상현실·증강현실·혼합현실 시대 임박

출처 : 디일렉

‘2023 OLED & Micro Display 애널리스트 세미나’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