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 어디까지 가능한가? – 규제, 기술, 시장 적용성 분석

자동차에 적용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의 활용 영역은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화되고 있으며, 현재 대표적으로 네 가지 주요 영역에서 실현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다. 첫째는 차량의 앞유리(windshield)에 디스플레이를 직접 통합하는 윈실드 투명 디스플레이, 둘째는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 설치되는 전면 컴바이너형 투명 디스플레이, 셋째는 뒷좌석 측면 유리창에 적용되는 뒷좌석 측면 투명 디스플레이, 넷째는 운전석과 뒷좌석을 구분하는 투명 파티션 디스플레이이다. 각 디스플레이는 적용 부위의 특성과 법적 기준에 따라 요구되는 투과율과 기술 요건이 다르다.

윈실드 투명 디스플레이는 차량 주행 정보를 전면 유리 위에 직접 투사하여 운전자가 시선을 도로에서 떼지 않고도 다양한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하지만 전면 유리는 법적으로 가시광선 투과율(VLT) 70% 이상이 의무이며, 현재 투명 OLED(약 45%) 및 Micro LED(약 55%) 기술로는 이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윈실드에 디스플레이를 직접 삽입하는 것은 기술적 한계뿐만 아니라 규제적 측면에서도 아직 현실적으로 어렵다.

전면 컴바이너형 투명 디스플레이는 계기판 위 또는 전면 유리 근처에 별도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VLT 70% 이상의 투과율 확보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도 현재 OLED나 Micro LED 기술은 투과율 면에서 규제 충족에 제한이 있으며, 일부 시범 제품은 크기와 설치 위치를 제한하여 규제 기준을 회피하는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다.

뒷좌석 측면 투명 디스플레이는 엔터테인먼트, 정보 제공, 광고 등의 목적으로 활용 가능하며, 대부분의 국가에서 뒷좌석 측면 유리에 대한 투과율 규제가 없거나 완화되어 있어 상용화 가능성이 높다. 투과율이 45~55% 수준인 OLED 및 Micro LED 기술로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며, 차량 외부에서도 시인성이 확보되어 광고형 투명 디스플레이로 활용된 사례도 있다. 특히 Micro LED는 높은 밝기와 내구성, 외부 온도 변화에 대한 강한 내성으로 인해 상용화 측면에서 OLED보다 유리한 평가를 받고 있다.

투명 파티션 디스플레이는 자율주행 고도화에 따라 차량 내에서 운전석과 뒷좌석 공간을 분리하고, 동시에 프라이버시 보호 및 정보 전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이다. 해당 부위는 차량 내부 공간에 위치하므로 투과율에 대한 법적 규제는 적용되지 않으며, OLED와 Micro LED 모두 자유롭게 활용 가능하다.

현재 자동차용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의 가장 큰 제약은 낮은 투과율이다. 투명 OLED는 약 45%, Micro LED는 약 55% 수준의 VLT를 갖고 있어, 전면 유리나 전면 컴바이너 영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70%, 이상적으로는 75% 이상의 투과율 확보가 필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픽셀 투명부 향상, 발광부 최소화 설계, 고투명 전극 개발, 광학 구조의 최적화 등 다양한 기술적 진보가 필요하다. 특히 Micro LED는 이론적으로 픽셀 사이의 비점유 영역 확대를 통해 투과율을 더 높일 수 있는 구조이므로, 향후 규제를 충족할 가능성이 더 높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결론적으로, 차량용 투명 디스플레이는 각 부위별로 적용 가능성과 요구 투과율이 다르며, 현재 기술 수준으로는 뒷좌석 측면, 내부 파티션과 같은 영역에 우선 적용이 가능하다. 전면 유리 및 시야 직결 영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투과율 향상과 법적 기준 충족이라는 두 가지 과제가 병행 해결되어야 하며, 이때 요구되는 투과율은 최소 70%, 실사용 기준으로는 75% 이상 확보가 이상적이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기술 개발이 이뤄질 때, 진정한 의미의 투명 디스플레이 기반 스마트카 환경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Required Transmittance for Automotive Transparent Displays

Required Transmittance for Automotive Transparent Displays

Windshield Transparent Display

Windshield Transparent Display

Combiner Transparent Display (Source: AUO)

Combiner Transparent Display (Source: AUO)

Partition Transparent Display

Partition Transparent Display

Rear Side Window Display (Source: LG display)

Rear Side Window Display (Source: LG display)

유비리서치 한창욱 부사장/애널리스트(cwhan@ubiresearch.com)

▶2025 Automotive Display 기술과 산업 동향 분석 보고서